소개글
"인구구조변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복지
1.1.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
1.2. 인구구조 변화의 양상
1.2.1. 총인구 감소
1.2.2. 생산가능인구 감소
1.2.3. 고령인구 증가
1.2.4. 1인가구 증가
1.2.5. 외국인 거주자 증가
1.2.6. 지역 소멸 및 공동화
1.3. 인구구조 변화가 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
1.3.1. 노인 돌봄 및 요양 서비스 수요 증가
1.3.2. 건강 취약 인구 증가와 질병구조 변화
1.3.3. 건강보험 재정 안정성 악화
1.4. 사회복지제도의 개선 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복지
1.1.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은 전 세계적인 인구구조 변화의 핵심적인 특징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합계출산율이 OECD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며, 동시에 고령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우선 저출산의 경우,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2명 수준에 불과해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출산 현상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주거 및 교육비 부담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특히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총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고령화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의 노령화 속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래, 2017년에는 14.2%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5년에는 20.3%로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급격한 고령화 현상은 평균수명 증가, 출산율 저하,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같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은 향후 우리나라 사회에 많은 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인한 경제활력 저하, 부양비 증가에 따른 재정 부담 가중, 노인 돌봄 및 건강관리 수요 증가 등 다양한 도전과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부와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1.2. 인구구조 변화의 양상
1.2.1. 총인구 감소
총인구 감소는 우리나라의 가장 두드러진 인구구조 변화 양상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이 1명 이하로 떨어지면서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한 고령인구 증가로 총인구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2020년 5,178만 명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위 추계 기준으로 2030년에는 5,187만 명, 2040년에는 5,007만 명, 2050년에는 4,735만 명, 2060년에는 4,396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1960년대 이후 지속되었던 인구 증가 추세가 역전되어 감소로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총인구 감소는 우리나라 인구구조 변화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우려되고 있다. 총인구 감소는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저하, 사회보장제도 지속가능성 악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출산율 제고, 외국인력 유치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총인구 감소 추세를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2.2. 생산가능인구 감소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20년 37,303천명에서 2060년 22,731천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20년 72.1%에서 2060년 51.7%로 크게 낮아질 것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다음과 같은 요인...
참고 자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노인상담 / 이호선 저 / 학지사 / 2012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노인을 위한 시장은 없다 / 조지프 F. 코글린 저 / 부키 / 2019
노인문제와 노인복지 / 허정무 저 / 협신사 / 2005
노인복지론 : 권중돈 저 / 학지사 / 2016
노인 정신건강과 노인상담 / 홍주연 역 / 학지사 2016
노인교육론 / 임구원 저 / 지식공동체 / 2020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제3권,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346.php#prettyPhoto, p.346.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제인 케어(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문재인케어 플러스)”,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3918, 2020.
권유정, “예산정책처 ”국민연금, 2054년 고갈“...3년 당겨져”,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1/2020062100575.html, 2020.
소현정,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6.
우해봉 외 3명, 「인구구조 변화와 복지지출 전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김수옥 외 4명, 「인구구조 변화와 사회안전망 정책 분석 Ⅰ」, 국회예산정책처, 2017.
신윤정 외 13명, 「미래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보건복지 대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윤소영 외 1명,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문화적 영향 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