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심리검사 직업선호도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직업 선호도 검사와 직업 가치관 검사
1.1. 워크넷 사이트 직업심리검사 실시
1.2. 검사 선택 이유
1.3. 검사 결과지 화면 제시
1.4. 검사 결과 분석
1.4.1. 직업 가치관검사 결과
1.4.2. 직업선호도검사(S)형 결과
1.5. 검사 결과를 통한 자기이해 및 향후 계획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직업 선호도 검사와 직업 가치관 검사
1.1. 워크넷 사이트 직업심리검사 실시
워크넷 사이트 직업심리검사 실시는 새로운 직업을 선택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실시된다. 먼저 고용노동부 워크넷(http://www.work.go.kr) 사이트에 가입한 후 직업심리검사 성인대상 직업선호도검사 L형을 실시한다. 이 검사는 흥미검사, 성격검사, 생활사검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흥미검사는 개인의 관심과 선호도를 파악하고,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격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사검사를 통해 개인의 관심사와 습관을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검사들은 개인의 직업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적합한 직업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시 과정에서는 검사 문항들에 대해 솔직하고 성실하게 답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개인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1.2. 검사 선택 이유
직업가치관검사를 선택한 이유는 현재 어린이집교사를 하고 있는 본인의 직업과 가치관이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직업가치관은 일에 대한 개인의 중요한 기준과 신념을 나타내므로, 현재 하고 있는 직업이 본인의 가치관과 일치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가치관이 부합하지 않는다면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업무 수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가치관과 잘 부합한다면 직무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직업가치관검사를 통해 현재 직업과 본인의 가치관 간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로 방향을 모색하고자 ...
참고 자료
박현희, 2009, 성인 구직자의 진로자기효능감이 구직욕구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p.22~24
방혜진, 2003, 직업흥미검사도구 실시방법이 직종선정 명확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p.11~12
김태희, 2007, 직업상담원의 직업가치관과 내외통제성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p.8
워크넷 직업가치관검사결과, 직업선호도검사(S)형 결과
상담학사전, 김춘경교수외 4인, 학지사, 2016
어린이집교사의 정신건강, 직무만족도 (중략) 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조숙영(경동),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