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무자극 검사(Non-stress test, NST)
1.1. 정의
NST(무자극 검사)는 태아의 움직임에 대한 반응으로 태아 심박동수가 적절하게 증가하는지 검사하여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즉, 임신 중 태아의 정상적인 활동에 의해 태아심음이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자궁 내에서 저산소증이 없다면 태아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중추신경계와 자율신경계에 의해 태아심음이 상승한다. 그러므로 태동에 대한 반응으로 태아 심음이 상승하는 것은 태아가 건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2. 검사 목적
NST(무자극 검사)의 검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전에 태아의 건강과 안녕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다. NST는 태동에 대한 반응으로 태아 심박수가 적절하게 증가하는지 확인하여 태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둘째, 태아의 생존능력을 평가하고 태아에게 혈액이 적절하게 공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NST를 통해 태아가 산소와 영양분을 적절히 공급받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고위험 임신에서 분만 유발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실시한다. NST 결과를 토대로 태아의 상태를 평가하여 분만 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1.3. 검사 주기
일반 산모의 경우 임신 마지막 달 산전에 무자극 검사(NST)를 시행한다. 이는 재태연령이 30~32주 정도에는 태아의 중추신경계가 미성숙하여 태아의 움직임이 있을 때 심박동수의 상승이 적절하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고위험 임신의 경우 최소 32주부터 위험 정도에 따라 담당 의사의 판단에 의해 주 1~2회 시행해야 한다. 시행 횟수 및 주기는 위험도에 따라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결정된다.
1.4. 적응증
무자극 검사(Non-stress test, NST)의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청진 상 태아 심음의 이상이 있을 때, 조기분만이 의심스러울 때, 다태 임신, 자궁 내 태아사망의 기왕력이 있을 때, 자궁 내 태아 발육지연이 의심될 때, 분만예정일 초과임신, 임신성 고혈압성 질환 군이나 만성고혈압성 질환, 임상적으로 생화학적 검사 상 태반기능 부전이 의심스러울 때 등이다. 이는 태아의 건강과 안녕을 평가하고 생존능력을 확인하며 태아에게 혈액이 적절하게 공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1.5. 검사 방법
1.5.1. 체위 및 태위 확인
체위 및 태위 확인은 무자극 검사(NST) 수행 시 중요한 단계이다. 먼저 체위 확인을 위해 임부를 반좌위로 취하게 한다. 이는 혈관 압박으로 인한 저혈압, 어지러움 등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른쪽 엉덩이 밑에 작은 베개나 타월을 대줌으로써 하대정맥의 압박을 감소시킨다.
다음으로 태위 확인을 위해 레오폴드 촉진법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태위(두위/둔위), 선진부, 태아의 등 위치, 팔의 달리 여부, 선진부 진입 정도, 하강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자궁저부를 촉진하여 태위와 선진부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복부 양측을 촉진하여 태아의 등(심음이 잘 들리는 곳)과 팔의 달리 여부를 확인한다. 그 후 치골결합 상부와 깊숙이를 촉진하여 선진부의 진입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