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퇴골 전자간 골절
1.1. 골절의 정의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완전 또는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골절의 원인으로는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손상, 자연 골절 등이 있다. 즉,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인체의 뼈는 강력한 구조로 되어있지만 외부의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면 손상될 수 있다. 뼈의 연속성이 완전히 끊어지는 경우를 완전골절,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경우를 불완전골절이라고 한다. 이러한 골절은 일상생활에서의 사고나 외상, 질병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골절은 뼈의 구조적 손상을 의미하는 의학적 용어라고 할 수 있다.
1.2. 골절의 해부학적 분류
골절의 해부학적 분류에 따르면, 골절은 근위부, 간부, 원위부, 대퇴전자부골절, 과골절, 과상부 골절, 관절내골절 등으로 나뉜다"" 근위부 골절은 골반과 고관절을 포함하며, 간부 골절은 골의 길이 중간 부분에서 일어나는 골절을 말한다"" 원위부 골절은 말단부에서 일어나는 골절을 의미하고, 대퇴전자부 골절은 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 쪽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말한다"" 과골절은 골 말단부 뼈와 골간단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골절이며, 과상부 골절은 골 말단부에서 바로 위에 발생하는 골절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관절내 골절은 골절선이 관절면을 침범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1.3. 대퇴골 전자간 골절
1.3.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정의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란 대퇴골 상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부위 쪽에서 발생하는 골절을 말한다. 대퇴골의 대전자와 소전자를 연결하는 선에서 내측으로 골절선이 들어가는 것을 전자간골절이라 한다. 이 선을 교차하고, 대전자, 소전자가 분단하는 것과 같은 골절일때에는 전자관통골절이라 한다. 이 부위는 혈행이 풍부하여 불유합은 많지 않아 보존적 요법으로 치료하여도 치료하여도 유합은 되나 대퇴 골두의 외형의 변형과 하지의 외회전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조기에 견고한 금속 내 고정을 시행하여 조기 운동을 시켜야한다.
1.3.2.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원인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전자부골절은 대퇴경부골절보다 더 고령에서 빈발하고 더 강한 외력에 의해서 골절되며, 대부분이 분쇄골절이다. 경부골절에 비해 발생빈도가 낮고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호발한다. 해면골이 많으므로 골다공증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다발성 외상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며 자동차사고, 오토바이사고, 총상, 낙상, 산업재해 등에 의해 생긴다. 전이 암이나 원발성 암에서 병적 골절의 형태로도 생길 수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신체의 유연성 및 균형 감각이 떨어지고 뼈가 약하기 때문에 가벼운 낙상에도 뼈가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미끄러운 길에서 넘어지거나 화장실에서 미끄러져 고관절 골절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급격히 진행된 도시화와 생활습관의 변화 때문에 50세 이상 성인 남녀의 고관절 골절이 증가했다. 또한 도시화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바깥 생활을 덜 하게 되어 비타민 D의 생성이 부족해져 뼈의 강도 자체가 약해졌다고 추정하기도 한다.""
1.3.3.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분류
대퇴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