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병원에도아침이온다 오리나심리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정보
1.2. 영화 줄거리
2. 본론
2.1. 주인공 분석
2.1.1. 성장 과정
2.1.2. 심리 상태
2.1.3. 태도와 행동
2.2. 진단: 조현병
2.2.1. 정의
2.2.2. 원인
2.2.3. 증상
2.2.4. 치료
3. 결론
3.1. 영화에 대한 감상
3.2. 영화에 나오는 진단에 대한 소감과 견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정보
'뷰티풀 마인드' 영화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 영화는 2002년 2월 22일에 개봉한 미국 드라마 영화로, 존 내쉬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주연 배우는 러셀 크로우이며, 제7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여우조연상, 각색상을 수상하였다. 편의점연구소가 선정한 "21세기 가장 위대한 영화 100선"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이 영화는 1949년 27쪽 짜리 박사 논문 하나로 150년 동안 지속되어 온 경제학 이론을 뒤집고 신경제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천재 수학자 존 내쉬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1.2. 영화 줄거리
1940년대 최고의 엘리트들이 모이는 프린스턴 대학교의 대학원에 시험도 보지 않고 장학생으로 입학한 웨스트버지니아 출신의 한 천재 존 내쉬가 캠퍼스에 등장했다. 너무도 내성적이라 무뚝뚝하지만 자기 확신에 차 있는 수학과 새내기 존 쉬. 그는 자신의 룸메이트인 찰스와 어울려 지낸다. 1949년 27쪽 짜리 박사 논문을 발표한 20살의 청년 존 내쉬는 하루아침에 학계의 스타이자 '제2의 아인슈타인'으로 떠오른다. 이후 MIT 교수로 승승장구하던 그는 정부 비밀요원 윌리엄 파처를 만나 소련의 암호 해독 프로젝트에 비밀리에 투입된다. 그는 잡지, 신문 등의 대중매체에서 소련의 비밀 암호를 알아내어 해독내용을 작성한 보고서를 우편함에 넣고 돌아오는 일을 한다. 그러다 자신의 수업을 듣던 알리샤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하고, 그 후에도 윌리엄과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점점 소련 스파이가 자신을 미행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히는 존. 하버드 대학에서 강의를 하다가 소련의 특수요원들이 자기를 잡으러 오는 것을 느끼자 강의를 하다말고 도망치지만 알고 보니 그를 잡으려는 사람은 정신과 전문의였다. 대학원 시절부터 병이 방치되면서 계속 악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찰스와 윌리엄 파처는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았던 사람이었으며 파처가 말해준 국가 기밀과 소련의 핵무기들은 정말로 존의 망상이었다. 맥아더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약물치료를 받게 되고 퇴원 이후에도 약을 주기적으로 복용하지만 수학 연구에 집중하지 못하자 삶의 의미를 잃는다. 아내 몰래 약을 끊으며 증세가 심각해지는데 찰스의 조카 마시가 나이를 먹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자신의 환각증상을 확실히 인식하게 된다. 입원치료를 거부하고 사람들과의 만남으로 치료에 도움 받고자 프린스턴을 방문한다. 점차 나이를 먹고 장년기에 접어들어서 그의 증상은 굉장히 호전된다. 존은 모든 것을 이겨내고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 영화보다 더 극적인 삶을 살았다.
2. 본론
2.1. 주인공 분석
2.1.1. 성장 과정
존 내쉬는 1928년 6월 13일 미국 버지니아 주의 한 작은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내성...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병 [schizophrenia] (2021. 11. 07)
네이버 영화, “뷰티풀 마인드”(2021.11.07)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34010
박경애(2007). 인지·정서·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박아청(2006). 성격 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오윤선(2008). 청소년의 학습장애 이해와 치료. 한국가정상담연구소.
이장호 외(2007). 상담 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김강미자,김금자,차영남 외, 2006)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4-한언출판사(이노우에 도모코,사토 치후미,2014)
정신건강간호학-현문사(양수,이경순 외,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