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리더십의 정의
리더십이란 조직구성원들이 공동목표를 달성하려는 방향으로 따라오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술과 과정을 일컫는다.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 내의 개인 및 집단의 의욕을 고무하고 능동적으로 활동을 촉진하여 조정하는 기술 및 영향력이다.""
1.2. 리더십 이론의 발전과정
1.2.1. 특성이론(Traits Theory)
특성이론(Traits Theory)은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의 첫 번째 이론으로, 1940년대에 주장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어떤 사람이 특정한 자질을 갖고 있어 존경과 신뢰를 받아 지도자가 되며, 지도자의 자질이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으로 생각하는 이론이다.
특성이론은 리더의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성공적인 리더와 비성공적인 리더를 구분 짓는 중요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가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이론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가장 중요한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둘째,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질이 무엇인지가 분명하지 않아 성공적 지도자와 특정한 자질 간의 상관성 도출에 실패하였다. 셋째, 통합된 전체로서 인간을 보지 못했다. 넷째, 하급자의 영향과 환경적 영향 및 상황적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았다. 다섯째, 특성론은 선천설에 근거하고 있어 선천설의 문제점을 지닌다. 여섯째, 제시된 리더의 특성은 모든 사람들도 갖고 있는 것이다. 일곱째, 제시된 우수한 특성과 능력을 고루 갖춘 사람은 없다. 마지막으로, 어떤 상황에 필요한 특성이 다른 상황에서는 불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들로 인해 특성이론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리더십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2.2.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은 전통적인 리더십 이론의 두 번째 이론으로, 1950-1960년대에 주장되었다. 이 이론은 리더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자가 집단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따라 리더십의 효과성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행동이론에 따르면, 리더십의 효과성은 리더와 부하 사이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며, 모든 조직에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최선의 유일한 리더행동유형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리더십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교육개발이 가능하다고 본다.
대표적인 행동이론에는 아이오와 대학 연구, 오하이오 연구, 미시간대학 연구, 그리고 블레이크와 머튼의 관리격자모형 등이 있다.
아이오와 대학 연구는 행동주의적 접근을 처음 시도한 연구로, 르윈 등(Lewin et al., 1939)이 권위형, 민주형, 자유방임형의 3가지 리더십 유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