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문감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문감식 실험
1.1. 실험 목표
1.2. 실험 준비
1.2.1. 시약 및 기구의 물리화학적 성질
1.2.2. 땀의 주요 성분
1.2.3. 지문감식용 분말의 구성과 작용
1.2.4. 형광과 인광의 차이
1.3. 지문 채취 방법
1.4. 지문감식 실험 방법
1.4.1. Cyanoacrylate 증기법
1.4.2. Ninhydrin 용액법
1.4.3. 1,8-Diazafluoren-9-one (DFO) 용액법
1.5. 실험 결과
1.5.1. 지문감식 방법별 표면 적합성
1.5.2. 지문 패턴 분석
1.6. 실험 결과에 대한 고찰
1.6.1. 가열의 이유
1.6.2. Cyanoacrylate 증기법 개선 방안
1.6.3. 지문감식 시약의 용매 성질
1.6.4. Ninhydrin과 DFO의 반응 메커니즘
1.6.5. Ninhydrin법과 DFO법의 적용 범위 비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문감식 실험
1.1. 실험 목표
Cyanoacrylate 증기법, Ninhydrin 용액법, 1,8-Diazafluoren-9-one (DFO) 용액법 이렇게 화학적 원리에 기반을 둔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표면에서 잠재 지문의 감식을 시도하여 보도록 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표이다."
1.2. 실험 준비
1.2.1. 시약 및 기구의 물리화학적 성질
cyanoacrylate ester인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무색의 액체 상태로, 분자량이 125.13 g/mol이며 밀도는 1.05 g/cm³이다. 끓는점은 54~56 ℃, 녹는점은 -20~-25 ℃ 범위이다. 이 화합물은 수분에 반응하여 중합반응을 일으켜 빠르게 굳는 특성이 있어 접착제로 사용된다. 하지만 피부 및 호흡기 자극성이 있으므로 직접 접촉을 피해야 하며,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다루어야 한다.""
닌히드린(Ninhydrin)은 분자량이 178.14 g/mol이며 밀도가 0.862 g/cm³인 흰색~노란색 고체 물질이다. 끓는점은 351 ℃, 녹는점은 242 ℃ 수준이다. 이 화합물은 가연성 물질 및 환원성 물질과 반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열분해 시 유독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심한 눈 및 피부 자극성을 나타내므로 취급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8-디아자플루오렌-9-온(1,8-Diazafluoren-9-one, DFO)은 분자량이 182.18 g/mol인 화합물로, 229-233 ℃ 범위의 녹는점을 갖는다. 이 물질은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어 지문 감식에 이용된다.""
메탄올(Methanol)은 분자량이 32.04 g/mol이며 밀도가 0.79 g/cm³인 무색의 액체이다. 끓는점은 65 ℃, 녹는점은 -97.6 ℃이다. 고인화성 액체이며 흡입 또는 피부 접촉 시 유독하고 자극성이 있다. 또한 고온에서 분해되어 독성 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에탄올(Ethanol)은 분자량이 46.07 g/mol이며 밀도가 0.789 g/cm³인 무색의 액체이다. 끓는점은 78.5 ℃, 녹는점은 -114 ℃ 수준이다. 휘발성이 있어 쉽게 기화되며 증기는 높은 폭발성을 지니고 있다.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나 독성은 크지 않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석유 에테르(Petroleum ether)는 C5H12와 C6H14로 이루어진 혼합 화합물로, 밀도가 0.64 g/cm³ 수준이다. 끓는점 범위는 35~60 ℃, 어는점은 -40 ℃ 미만이다. 이 물질은 인화성 액체이며 피부 및 눈에 자극성을 나타내고, 생식세포 변이원성 및 발암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2.2. 땀의 주요 성분
땀의 주요 성분은 대부분 물이며 이외에 염화나트륨, 칼륨, 암모니아, 요소, 젖산 등의 무기물과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다.
체온 조절을 위해 분비되는 땀은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에서 나온다. 에크린 땀샘은 손바닥과 발바닥에만 분포하며, 보통의 땀은 에크린 샘에서 분비되는 액체를 가리킨다.
땀의 구성성분 중 98% 이상은 물이며, 나머지는 염화나트륨, 칼륨, 암모니아, 요소, 젖산 등의 무기 및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범죄 현장에서 지문의 형태로 존재하며, 지문감식 실험에 활용된다.
특히 지문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은 닌히드린(Ninhydrin)이나 1,8-Diazafluoren-9-one(DFO)와 반응하여 지문을 현출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땀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과 아미노산은 지문감식 실험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3. 지문감식용 분말의 구성과 작용
지문감식용 분말은 지문 감식을 위해 사용되는 분말로, 일반적으로 색을 나타내도록 하는 안료, 접착력을 가진 입자와 충전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탄소를 기반으로 한 흑색 분말을 사용하며, 이는 분말이 부착되도록 하는 수지성 중합체와 대조비를 높이는 착색제로 이루어져 있다.
탄소 기반의 분말은 검은색을 띠며, metal flake powder는 금속의 미세한 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granular powder는 탄소와 이산화 티타늄으로 구성되어 있어 흰색을 나타낸다.
이러한 지문감식용 분말은 물리적 방법에 의해 지문을 현출한다. 지문에 남아있는 수분이나 기름 성분에 분말이 ...
참고 자료
PubChem, https://pubchem.ncbi.nlm.nih.gov/
안전보건공단, http://msds.kosha.or.kr/
ncis 화학물질정보시스템, http://ncis.nier.go.kr/main.do
한국 화학물질관리협회, http://www.kcma.or.kr/main/main.asp “cyanoacrylate ester, ninhydrin, 1,8-diazafluoren-9-one, methanol, ethanol, petroleum ether”
김희수, 2020, 분말법을 통한 잠재지문의 현출에 정전기가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6 6. 홍성욱, 2019, 식물의 잎 표면에 남겨진 잠재지문의 현출, 17, 19, 20
기진영, 2017, 지문 현출용 붓에 의한 잠재 지문의 손상에 대한 연구, 14, 25
김채원 외 3인, 2018, 열에 노출된 종이에 유류된 잠재지문 현출에 관한 연구
이단비. 2014, 아미노산 반응 시약들의 다공성 표면에서의 잠재 지문 현출에 관한 연구, 3
(실험교재) 지문감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