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2022개정 교육과정 반영, 미디어 리터러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중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2022개정 교육과정 반영, 미디어 리터러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중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초등국어교재연구
1.1. 성취기준 분석
1.1.1. 내용체계에서의 성취기준
1.1.2. 성취기준의 위계
1.1.3. 성취기준의 배분
1.1.4. 성취기준이 적용된 단원
1.1.5. 성취기준과 교과서 제재
1.1.6. 성취기준 관련 교육과정
1.2. 교과서 분석
1.2.1. 학습요소 분석
1.2.2. 학습 활동 구성 및 전략
1.3. 수업설계
1.3.1. 단원 선정 이유
1.3.2. 단원 설계 주안점
1.3.3. 단원 설계
1.3.4. 7차시 수업지도안
1.3.5. 평가 방법

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2.1. 서론
2.2. 본론
2.2.1. 사례 1 - 어디나 (어르신 디지털 나들이) 지원단
2.2.2. 사례 2 - 서초구립 느티나무쉼터 (할마할빠이야기 유튜브)
2.2.3. 교육대상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2.3. 결론

3.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
3.1. 서론
3.2. 본론
3.2.1. 한국어 교재의 특징
3.2.2. 국어 교과서의 특징
3.2.3. 한국어 교재와 국어 교과서의 차이
3.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초등국어교재연구
1.1. 성취기준 분석
1.1.1. 내용체계에서의 성취기준

'[2국01-02]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여 듣고 말한다.'는 듣기·말하기 영역의 성취기준으로 일이 일어난 순서를 시간 표현을 사용하여 듣고 말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성취기준이다. 자료1의 듣기·말하기 내용체계표를 보면 '일의 순서'는 1~2학년군의 내용 요소로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듣기의 과정 중 시간 표현을 찾아 듣는 내용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시간 표현에 맞추어 순서대로 말할 내용을 조직하여야하는 이 성취기준은 기능 중 내용 확인하기, 내용 조직하기와 관련이 있다.


1.1.2. 성취기준의 위계

이야기에서 일이 일어난 차례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이야기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하여 일의 차례를 확인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사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일이 일어난 차례를 파악하는 것이다.

[2국01-02]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을 사용하여 일의 차례를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성취기준을 지도할 때는 시간 표현을 중심으로 지도하고,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은 간접적으로만 안내하도록 해야 한다.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일이 일어난 차례를 알아보는 학습은 3~4학년군의 성취기준 '[4국01-03]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고려하며 듣고 말한다.'를 적용한 3~4학년에서 하도록 한다.

이처럼 두 가지의 일이 일어난 차례를 파악하는 방법은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위계성을 갖고 구분되어 있다."


1.1.3. 성취기준의 배분

성취기준의 배분은 2학년 국어과 성취기준이 1학년과 2학년에 어떻게 배분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교과서 내 성취기준의 배분을 살펴보면, '[2국01-02]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며 듣고 말한다.'는 2학년 1학기와 2학기에 걸쳐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학년에서는 이 성취기준을 다루지 않으며,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학습하도록 배분되어 있다"."
이처럼 성취기준의 배분은 학년군별로 학습 내용의 위계를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1.4. 성취기준이 적용된 단원

성취기준 '[2국01-02]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여 듣고 말한다.'는 2학년 1학기 6단원 '차례대로 말해요', 2학년 1학기 8단원 '마음을 짐작해요', 2학년 2학기 7단원 '일이 일어난 차례를 살펴요'에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중 2학년 1학기 6단원과 2학년 2학기 7단원이 [2국01-02]를 주요 성취기준으로 하는 단원이고, 2학년 1학기 8단원은 [2국02-04]를 주요 성취기준으로 하되 7~8차시에서 부수적으로 [2국01-02] 성취기준을 적용한 단원이다. 따라서 이 성취기준은 주로 듣기·말하기 영역과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연계되어 학습된다고 볼 수 있다"."


1.1.5. 성취기준과 교과서 제재

성취기준 '[2국01-02]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여 듣고 말한다.'는 주로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함께 제시된다"" 문학작품의 이야기구조를 시간 표현을 사용하여 구조화하고 이야기로 표현해보는 것을 학습한다"" 또한 국어과 교과 역량 중 문화 향유 역량이 반영되어 있어 제재 측면에서도 기름 장수와 호랑이, 까만 아기양, 쇠붙이를 먹는 불가사리 등 이야기를 통해 성취기준을 달성하려는 것을 볼 수 있다""


1.1.6. 성취기준 관련 교육과정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에서 대상 성취기준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에서는 듣기 활동을 지도할 때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이야기 구조가 있는 담화를 선정하고, 교사가 직접 이야기해 주거나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말하기 활동을 지도할 때는 학습자가 겪은 일이나 읽거나 보거나 들은 이야기를 말하게 하되,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가 대화를 주도하면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게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에서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말하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여 평가에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종합하면, 교육과정에서는 [2국01-02] 성취기준과 관련하여 이야기 구조가 있는 담화를 선정하고, 교사의 주도하에 저학년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말하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으며, 평가 시에는 학생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1.2. 교과서 분석
1.2.1. 학습요소 분석

성취기준 '[2국01-02] 일이 일어난 순서를 고려하여 듣고 말한다.'의 학습요소는 '일의 순서 이해하기'이다. 이 학습요소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차례를 나타내는 말을 생각하며 이야기를 듣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 방법에는 ①시간을 나타내는 말에 주의하며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와 ②중요한 내용은 메모를 하면서 듣는다가 있다. 또한 이야기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생각해 보고 언제 그 일이 일어났는지도 생각해 보는 활동을 한다.

일이 일어난 차례를 나타내는 말 가운데서 '아침, 어제, 토요일, 봄' 등과 같은 말을 가리켜 '시간 표현'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시간 표현'이라는 용어는 2학년 수준에 다소 어렵게 다가올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단원에서 '시간 표현' 대신에 '시간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말에서 시간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우리말에서 시간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문장에서 어휘로 시간을 지정해서 말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침', '점심', '저녁'은 자연 현상을 중심으로 시간을 표현한 어휘이다. 또 '초', '분', '시간', '날', '해' 등과 같이 시간의 길이를 중심으로 시간을 표현할 수도 있다. 둘째는 말하는 사람이 인식하고 있는 문장 내용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서술어의 어미를 통해 시간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나는 밥을 먹었다."에서 '-었'은 과거를 나타내는 어미이다. 이 성취기준에서는 주로 시간 표현 어휘를 통해 일이 일어난 차례를 드러내도록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일이 일어난 차례대로 이야기를 말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 방법은 ①이야기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말을 중심으로 일이 일어난 차례를 확인하고 ②시간을 나타내는 말을 사용해 이야기의 내용을 일이 일어난 차례대로 말하는 것이다.

말할 내용 조직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이 조직 방법에...


참고 자료

교육부,「(초등학교1~2학년군) 국어.2-1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2017, 미래엔
교육부,「(초등학교1~2학년군) 국어.2-2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2017, 미래엔
신헌재,「초등 국어 수업의 이해와 실제」, 2015, 박이정
교육부,「국어과 교육과정(제2015-74호)」, 2015
교육부,「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제2015-74호)」, 2015
제일기획 채널일,「광계자들 EP.01 스토리보드 작가」, 2021
교육부·한국직업능력연구원,「청소년 희망직업 조사」, 2019~2021
박주현. (2020).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 분석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4(2), 349–374.
조광희. “[기고] 청소년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 경기일보. 2020. 02. 10
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2238741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리 14호. “3.기초다지기_비대면 시대, 노인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시청자미디어재단 정책연구팀. 2021-06-30. 24-29p.
https://kcmf.or.kr/cms/board/board_view.php?menuIdx=23&btype=publication&search_field=&search_string=&page=&mode=v&idx=39557&mode=v&idx=39557
서울스마트캠퍼스 홈페이지. 교육과정 > 어디나 지원단
https://ssc.seoul.kr/course/course_list.jsp?cid=5414&ch=course&page=1
한유미 기자. "서울디지털재단, 디지털 소외 없는 서울 위해 '어디나 지원단' 모집" 복지타임즈. 2021.03.11
https://www.bokj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614
서초구립 느티나무쉽터 홈페이지
http://www.ntwelfare.org/
유튜브 ‘서초 할마할빠 이야기’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9UK-raVMHOPfisiO8pTDSw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