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골전자간골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대상
2. 문헌고찰
2.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정의
2.2. 관련 요인
2.3. 골절의 분류
2.4. 병태생리
2.5. 진단적 검사
2.6. 치료방법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개인력
3.1.2. 신체사정
3.1.3. 낙상위험도 사정
3.1.4. 통증사정
3.1.5. 정서상태사정
3.1.6. 영양초기평가
3.1.7. 기능평가
3.2. 간호진단과 계획
3.2.1. 항생제 부작용 관련 오심
3.2.2. 수술부위 통증 관련 신체기동성장애
3.3. 간호수행과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현재의 의료체계의 현저한 발전과 충분한 영양공급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노인의 인구 수가 늘어났다. 이에 따라 노인성 골다골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로 인해 일상생활 도중 및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의 골절 빈도가 급증하였다. 노인의 고관절 골절은 합병증과 사망률(1년내 17%)이 높으며, 치료가 되더라도 장애가 남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고관절 골절의 치료는 견고한 수술을 통한 관절 내 고정을 하여 환자의 조기보행을 가능게 해 장기간 침상생활로 인한 욕창, 호흡기문제(폐렴), 유치도뇨로 인한 요로감염 등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1.2. 연구 대상
본 사례연구의 연구대상은 92세 여성 김○○씨이다. 김○○씨는 2024년 01월 18일 오후경 노인정에 가다 길에서 넘어져 우측 엉덩이와 허벅지 통증을 호소하여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내원 시 우측 엉덩이 통증(NRS 3점)을 호소하였고, 진단 결과 우측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확인되어 TPN fixation 수술을 받았다. 김○○씨는 고령의 여성 환자로, 골다공증 등으로 뼈가 약한 상태에서 낙상으로 인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한다. 고령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향후 이러한 질환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 문헌고찰
2.1.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정의
대퇴골(femur)은 허벅지 뼈로 인체에서 가장 길고 강한 뼈이다. 대퇴골은 골반뼈와 함께 고관절을 형성하며, 경골과 함께 슬관절을 형성한다. 골절(fracture)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한다. 대퇴골절은 크게 관절강내 골절(intracapsular fracture)과 관절강외 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로 나눌 수 있다. 관절 강내 골절은 관절강 내에서 발생하며, 골절 부위에 따라 대퇴두부 골절, 대퇴두부하 골절, 대퇴경부 골절로 불린다. 관절강외 골절은 대퇴골 전자 부위의 골절로 대전자와 소전자 자체나 전자간에서 일어난다. 이때, 대퇴골 전자간 골절(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은 근위부 전자간 선으로부터 소전자 5cm 이하 까지의 부위 즉, 대퇴골의 전자부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2.2. 관련 요인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주요 관련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적인 외부 충격이다""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강한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이다""자동차 사고, 넘어짐, 추락 등 강한 외력이 가해지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응전력(근육 수축)이다""갑작스럽고 강한 근육 수축력은 대퇴골을 뒤틀어 전자간 부위에 골절을 유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넘어지면서 다리에 긴장이 가해지거나 상체를 지지하기 위해 팔에 힘을 주는 경우 등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근육 피로이다""노화에 따라 근력이 저하되면 뼈를 지지하는 힘이 감소하여 고른 힘이 가해지지 않아 전자간 부위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넷째, 병리적 상태이다""골다공증, 골종양 등 뼈의 강도가 약화된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외력에도 전자간 골절이 일어날 수 있다""특히 폐경 이후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골다공증은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주요 위험 요인이다""
2.3. 골절의 분류
골절은 크게 상처의 상태, 골절의 형태, 골절선의 방향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상처의 상태에 따라 골절은 개방(복합) 골절과 폐쇄성(단순) 골절로 나뉜다"" 개방 골절은 골절 부위의 피부가 손상되어 외부로 창상이 있고 골절된 뼈가 노출된 상태이며, 주위 조직의 손상과 감염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폐쇄성 골절은 피부의 창상이 없어서 골절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골절의 형태에 따라서는 완전 골절, 불완전 골절, 충돌골절(감입골절, 압박골절), 분쇄골절, 전위골절, 병리적 골절, 각형성 골절, 행군 골절, 견열골절, 스트레스 골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완전 골절은 뼈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고, 불완전 골절은 뼈의 한쪽 면만 파괴된 상태이다"" 충돌골절은 한 개의 골절편이 다른 골편이나 뼈조직에 박히는 형태이며, 분쇄골절은 골절편이 3개 이상으로 부서진 상태를 말한다"" 전위골절은 완전히 골절되어 있으면서 골절편이 골절선이나 관절 밖으로 분리된 경우이고, 병리적 골절은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2 9판개정,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2021)
통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병원
골절,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병원
비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약학정보원
드럭인포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0
황옥남 외 공역 (2018)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현문사
유양숙 외 공역 (2022) 성인간호학 하권 제8판 현문사
병리학교재개발연구회 (2021) 핵심 병리학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DataLab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대한정형외과학회 http://www.koa.or.kr/info/index_1_2.php
황옥남 외, 성인 간호학 하권, 제7판, 서울 : 현문사, 2019, p272-303, p311-318
한국기초간호학회,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제 4판, 서울 : ELSEVIER, 2021, p295~297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 과정, 경기도 파주시, 2014, p71~98
드러그인포플러스, 약물 정보, 부작용, 투여 경로, 제품명, 효능, 부작용, 용량
OrthoInfo 미국정형외과 학회, intertrochanteric fracture 이미지
정미영 외 2명, “냉요법을 이용한 수술 후 구강간호가 오심, 구토 및 구강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1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