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노인 간호학 개론
1.1. 노인의 특성
노인은 60세(환갑) 이상으로 정의되며, 노인에 대한 관점은 존경의 대상이 될 수도 있고 동정과 보살핌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노화의 4가지 특징으로는 보편성, 점진성, 고유성, 유해성이 있다. 노인 간호학은 노년학의 지식을 간호학에 적용하는 학문으로 전인적인 관점의 간호이다. 노년기에 겪게 되는 4가지의 고통은 빈곤, 병고, 무위, 고독이다.
노인의 인구학적 특성으로는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7% 초과), 고령 사회(14% 초과), 초고령 사회(20% 초과)가 있다. UN 인구 추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90년 6.2%에서 2020년 9.3%, 2075년 19.5%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5년부터 초고령 사회에 도달하고 2075년에는 4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기대수명이 2020년 남자 80.3세, 여자 86.1세에서 2065년 남자 88.3세, 여자 91.5세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노인의 건강학적 특성으로는 노화에 따른 기능의 저하로 질병에 이환될 확률이 높으며, 여러 가지 질병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노인의 84%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병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만성질환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골관절염 또는 류머티즘 관절염, 요통 및 좌골신경통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기능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병의 특성은 3M의 병(운동, 정신, 조절)과 5I의 병(의원성 질병, 불완전, 실금, 운동실조, 항상성 장애)으로 요약된다. 노인병은 두 가지 이상의 질병이 동시에 발병하며, 여러 가지 약을 병용하므로 부작용이 많고,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치료약에 대한 반응도 젊은 사람과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환자의 예후가 사회, 환경적인 요소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노화 이론에는 생물학적 이론, 사회적 이론, 심리적 이론이 있다. 생물학적 이론에는 유전자 이론, 텔로미어이론, 소모이론, 자가면역이론, 지방갈색소와 산화기이론, 신경내분비이론, 단순기관이론 등이 있다. 사회적 이론에는 활동이론, 사회유리이론, 지속성이론, 사회교환이론 등이 있다. 심리적 이론에는 인간욕구 이론, 발달적 관점의 이론 등이 있다.
생물학적 이론 중 유전자 이론은 나이에 따른 유전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텔로미어이론은 세포분열 능력의 제한이 염색체 말단의 길이 감소에 의해 기인된다고 설명한다. 소모이론은 신체의 에너지가 고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사용으로 능률이 저하된다고 하며, 자가면역이론은 노화과정에서 자가면역 반응이 불안정한 세포, 나이, 다른 신체조직과 관련있다고 본다. 지방갈색소와 산화기이론은 세포내 축적되는 지방갈색소와 산화기 형성이 세포 파괴의 원인이라고 설명하며, 신경내분비이론은 뇌와 내분비선의 변화가 노화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한다. 단순기관이론은 생명유지 기관의 기능부전과 관련된 질병으로 노화가 진행된다고 본다.
사회적 이론 중 활동이론은 노인의 사회적 활동 참여가 성공적인 노화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사회유리이론은 노화를 사회적 역할과 상호작용의 위축과정으로 가정한다. 지속성이론은 개인의 인격적 요소, 적응능력, 생활만족 등이 노화과정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사회교환이론은 노인과 사회 간의 교환과정에서 불균형이 나타나는 것이 노화라고 설명한다.
심리적 이론 중 인간욕구 이론은 낮은 단계의 욕구를 충족해야 더 높은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하며, 발달적 관점의 이론은 노년기를 "통합자아 대 절망"으로 정의하고, 노년기 발달과업을 제시한다.
1.2. 노화 이론
노화 이론은 크게 생물학적 이론, 사회적 이론, 심리적 이론으로 나뉘며, 이를 통해 노화 과정의 다양한 측면을 설명할 수 있다.
생물학적 이론에는 유전자 이론, 텔로미어이론, 소모이론, 자가면역이론, 지방갈색소와 산화기이론, 신경내분비이론, 단순기관이론 등이 있다. 유전자 이론은 나이에 따른 유전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텔로미어이론은 염색체의 말단 부분인 텔로미어 길이 감소가 세포노화의 원인이 된다고 설명한다. 소모이론은 신체의 에너지 활용량이 고정되어 있어 지속적인 사용으로 기능이 저하된다고 보았고, 자가면역이론은 자가면역 반응이 불안정한 세포를 공격하여 세포가 죽게 된다고 설명한다. 지방갈색소와 산화기이론은 세포 내 지방갈색소와 산화기의 축적이 노화의 원인이 된다고 보며, 신경내분비이론은 뇌와 호르몬의 변화가 노화를 유발한다고 본다. 단순기관이론은 생명유지 기관의 기능부전이 노화의 근본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사회적 이론에는 활동이론, 사회유리이론, 지속성이론, 사회교환이론 등이 있다. 활동이론은 사회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도움이 된다고 보며, 사회유리이론은 노인의 사회적 역할과 상호작용이 축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속성이론은 개인의 인격과 적응 능력이 노화 과정에 중요하다고 설명하며, 사회교환이론은 노인과 사회 간 자원 불균형이 노화 과정의 원인이 된다고 본다.""
심리적 이론에는 인간욕구이론, 발달적 관점의 이론 등이 있다. 인간욕구이론은 욕구 단계에 따른 심리적 발달을 설명하며, 발달적 관점의 이론은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발달과업과 그에 따른 과제를 제시한다.""
이처럼 노화 이론은 다양한 관점에서 노화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인 간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1.3. 노인간호 서비스 전달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