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시장세분화와 제품포지셔닝 전략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품 포지셔닝 전략
1.1. 포지셔닝의 정의 및 개념
1.2. 포지셔닝의 목적과 단계
1.2.1. 포지셔닝의 목적
1.2.2. 포지셔닝 단계
1.3. 포지셔닝의 유형
1.3.1. 제품 속성에 기반한 포지셔닝
1.3.2. 사용 상황에 따른 포지셔닝
1.3.3. 제품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포지셔닝
1.3.4. 경쟁 제품에 의한 포지셔닝
1.3.5. 니치시장 소구를 위한 포지셔닝
1.3.6. 이미지 포지셔닝
1.4. 포지셔닝의 요건
1.5. 포지셔닝 맵
1.6. 심리적 포지셔닝과 물리적 포지셔닝
1.7. 포지셔닝 사례 및 분석
1.7.1. 삼성 애니콜 휴대폰
1.7.2. 에이비스 렌트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품 포지셔닝 전략
1.1. 포지셔닝의 정의 및 개념
포지셔닝은 제품이나 브랜드를 경쟁 브랜드와 비교하여 차별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고객들의 마음속에 인식시키려는 마케팅 활동이다. 기업이 의도하는 제품의 속성이나 편익을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리매김하는 것이 포지셔닝 전략이다. 가격, 품질, 느낌, 용도 등의 제품 속성이 포지셔닝 기준으로 많이 사용되며, 연령, 지위, 라이프스타일 등의 소비자 특성도 포지셔닝 기준이 된다. 포지셔닝은 경쟁 제품과는 다른 차별적인 특징을 통해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음을 인식시키는 것으로, 광고, 포장, 디자인, 촉진 활동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소비자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기업이 제품의 장점을 강조해도 소비자가 다르게 인식한다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소비자의 마음속에 기업이 의도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하는 것이 포지셔닝의 핵심이다.
1.2. 포지셔닝의 목적과 단계
1.2.1. 포지셔닝의 목적
포지셔닝의 목적은 소비자의 마음속에서 제품이나 기업을 타깃 시장, 경쟁, 기업 역량과 관련된 가장 유리한 위치에 두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차별성과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포지셔닝은 시장 세분화 및 표적시장 선정 후의 마지막 단계로서, 소비자가 제품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하여 기업이 의도한 바를 실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포지셔닝의 목적은 결국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는 데 기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2. 포지셔닝 단계
포지셔닝 단계는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 선정 이후 수행되는 과정이다. 포지셔닝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마음속에 제품이나 브랜드를 경쟁 제품들과 차별화되는 위치에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된다.
첫째, 경쟁 제품들을 식별하고 이들과 비교할 수 있는 적절한 제품 속성을 선정한다. 소비자가 제품을 평가할 때 고려하는 주요 기준들을 선별하여 이를 기반으로 경쟁 제품들과 자사 제품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다.
둘째, 선정된 제품 속성을 토대로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경쟁 제품들과 자사 제품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포지셔닝 맵을 활용하여 다차원적으로 제품들의 상대적 위치를 시각화한다. 이를 통해 자사 제품이 시장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경쟁 제품들과 어떤 위치 관계에 있는지, 그리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상적인 위치는 어디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사 제품의 차별화된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한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속성을 중심으로 자사 제품의 강점을 부각시키고, 경쟁 제품과의 차별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포지셔닝을 설계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마음속에 제품이 차별화된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수립된 포지셔닝 전략을 토대로 광고,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일관된 메시지와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하여 소비자의 인식 속에 제품의 차별화된 위치를 각인시킨다.
이와 같은 포지셔닝 단계를 거쳐 기업은 시장에서 자사 제품의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하고, 소비자의 선호도와 충성도를 제고할 수 있다. 포지셔닝은 제품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1.3. 포지셔닝의 유형
1.3.1. 제품 속성에 기반한 포지셔닝
제품 속성에 기반한 포지셔닝은 기업 브랜드 또는 제품의 중요한 속성을 소비자가 원하는 요구 또는 이익과 관련짓는 것이다. 즉, 제품의 다양한 속성 중 타깃을 키 속성으로 자리매김하는 전략이다. 예를 들어 메르세데스-벤츠가 생산하는 승용차는 명품과 품위를 강조하고, 볼보차는 주로 '안전'을 강조하기 때문에 양사가 추구하는 속성이 다르...
참고 자료
라이터스 편집부, 「표적시장 선정 위한 시장세분화 전략」 라이터스, 2005
최성용 외, 「서비스경영론」, 삼영사, 2006
박종찬, 「제품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11
한상만,하영원,장대련, 「경쟁우위 마케팅 전략」, 박영사, 2011
R.E.LINNEMAN, 조봉진 역, 「마케팅 전략계획론」 계명대학교출판부, 1997
김광수, 권은아. (2014). 광고학. 한나래아카데미.
휴대폰·삼성 물량공세로 "극적 뒤집기.(1995. 11. 16.). 《한국경제》.
Batra, R., Myers, J. G., & Aaker, D. A.(1996년) Advertising Manage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Kotler, P.(1999년) Kotler on marketing. 김정구 역(2000년) 『미래형 마케팅』. 서울: 세종연구원.
Trout, J., & Ries, A.(2000년) Positioning: The Battle for Your Mind. 안진환 역(2006년) 『포지셔닝』. 서울: 을유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