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위시케어 앱을 활용한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리
'위시케어' 어플은 편리한 혈당 관리 어플로 임신성당뇨(임당), 1형 당뇨, 2형 당뇨 등 "당뇨"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건강관리 도우미 어플이다. 2018년 11월 5일에 출시되었으며 1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어플을 다운로드해서 사용하고 있다. '위시케어' 어플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첫째, 하루 3번 식전, 식후, 취침전을 구분하여 혈당을 기록할 수 있고 투약정보, 혈압, 심박수, 몸무게, 당화혈색소, 목표혈당 등을 입력하여 기록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당화혈색소 및 다른 기록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기간별 혈당, 혈압, 몸무게를 7일, 2주, 1개월, 3개월별로 그래프형태로 볼 수 있으며 표와 달력으로도 제공된다. 세 번째로, 건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가 있다. 우측을 보면 당뇨 정보 및 쇼핑이 있어서 실시간 뉴스와 대상자를 위한 추천 상품이 확인 가능하다. 네 번째로,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해서 다른 휴대폰에서도 데이터가 확인이 가능하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건강한 삶을 위해 환자 스스로 생활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생활관리를 하기 위해 식사조절, 적당한 운동, 약물요법을 시행하면서 정기적으로 혈당검사를 해야 한다. 위시케어 어플은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있어서 매일 체크한 항목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또한, 복잡한 내용이 아니고 심플하며 한눈에 알아복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 당뇨에 대해 기록할 수 있는 다른 여러 어플들을 비교해보면 위시케어가 간편하면서 디테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부모님세대는 스스로 당뇨를 관리하기 힘든데 '위시케어'어플에서 알아보기 쉽게 항목별로 구분해놔서 부모님세대와 노인분들도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위시케어'어플에는 여러 아쉬운 부분들이 있다. 첫 번째로, 약물요법 기록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약물요법으로 인슐린 요법이 있는데 '위시케어' 어플에 인슐린 투약을 따로 기록하는 항목이 없는 게 아쉽다. 두 번째로, 각 항목별 측정 기록지에 대한 것이다. 매일 기록하는 혈당, 투약, 식사, 운동 등의 기록지에서 기본적인 항목 외에 추가항목이 두세 칸이 따로 있는데, 추가로 기록해야할 때 칸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한다. 세 번재로, 식사관리에 대한 부분이다. 섭취한 음식들을 모두 구체적으로 기록 못할 경우 식사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쉽다. 네 번째로, 여러 항목의 수치 분석에 대한 것이다. 혈당, 혈압 등 각 항목에 따라 정상수치가 다른데 당뇨병 환자가 각 항목에 대해 기록을 할 때 정상범위의 유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 아쉽다. 마지막으로, 각 항목 측정 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처음 의료진에게 교육받은 후에 몇 개월 후에는 교육 내용을 까먹을 수 있는데 '위시케어'어플에서 각 항목의 측정을 기록하기 전에 측정방법과 주의사항 및 가이드를 제공하면 좋을 것 같다.
'위시케어'어플의 단점을 개선한다면 당뇨를 관리하는 환자들이 더 만족스러워 할 것이다. 인슐린 투약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항목을 추가하고, 기록에 필요한 칸을 제한 없이 추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식사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음식을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요청해서 정확한 식사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항목별 정상수치를 색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고, 각 항목 측정 시 측정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하면 좋을 것이다.
1.2. 디지털 헬스와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인공지능을 통해 지능화되는 데이터 기반의 건강관리로, '데이터로 연결된 지능 기반의 건강관리'이다. 즉, 디지털 헬스케어는 개인 디바이스와 건강 관련 앱을 통해 건강정보와 생체리듬 및 행동 그리고 일상기록 등의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에게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헬스의 유형에는 원격의료, 모바일헬스, 보건의료분석학, 디지털화된 보건의료시스템이 있다. 원격의료는 환자와 의사 간 임상적 데이터를 원격으로 교환하고, ICT를 이용하여 먼 거리에서도 의료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거나 보조한다. 모바일헬스는 웨어러블 기기와 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웨어러블은 활동 수준, 심박수 또는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하드웨어이며, 앱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 웰니스와 피트니스, 전문 의료 등 건강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건의료분석학은 건강 데이터 분석을 검토하고 기록하는 것이며, 소프트웨어 솔루션 및 빅데이터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분석적역량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화된 보건의료시스템은 환자가 보유한 의료기록과 건강시스템이 보유한 건강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