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근경색 시뮬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1.1. 환자 사정
1.1.1. 흉통의 사정
1.1.2. 심전도 소견
1.1.3. 심근효소검사
1.2. 간호중재
1.2.1. 산소 공급
1.2.2. 약물 치료
1.2.2.1. 니트로글리세린
1.2.2.2. 모르핀
1.2.2.3. β 교감신경 차단제
1.2.2.4. 항혈소판제
1.2.2.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1.2.2.6. 항부정맥제
1.2.2.7. 변연화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간호
1.1. 환자 사정
1.1.1. 흉통의 사정
흉통의 사정은 심근경색 환자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흉통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병인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흉통의 시작 시간을 확인한다. 심근경색의 경우 통증이 갑자기 발생하며, 지속 시간은 보통 30분 이상이다. 이전에도 유사한 흉통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때마다 어느 정도 지속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대부분 처음 경험하는 통증이다.
통증의 빈도와 지속 양상도 살펴봐야 한다. 심근경색 환자는 대체로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지만, 협심증 환자처럼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의 유발요인에 따라 간헐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의 양상도 중요한데, 심근경색 환자는 "조이는", "누르는"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협심증의 경우 "쑤시는", "찌르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이 팔이나 목, 등으로 방사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통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파악해야 한다. 심근경색 환자의 경우 활동이나 스트레스, 식후 등에 의해 통증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 투여에 의해 통증이 완화되는지 살펴본다.
이와 함께 통증과 관련된 증상, 즉 발한, 오심, 구토, 호흡곤란 등이 동반되는지 확인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심근경색 진단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심근경색 환자의 흉통은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30분 이상 지속되는 특성을 보이며, 활동이나 스트레스에 의해 악화되고 휴식 및 니트로글리세린 투여로 완화되는 양상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자율신경계 증상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1.1.2. 심전도 소견
심전도상에서 심근경색의 변화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시간에 따라 허혈(T파), 손상(ST분절), 경색(Q파), 경색된 부위의 용해(resolution) 등의 일련의 과정과 경색된 부위의 반대편 유도에서 나타나는 역변화를 볼 수 있다.
ECG상에서 괴사부위는 Q파로 그려지며 신뢰성이 가장 크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약 10~34%에서는 Q파의 출현이 없는 비-Q파 심근경색일 수 있다.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은 완전한 관상동맥 폐색으로 인한 광범위한 심근경색으로, ST 분절이 상승한다. 반면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non-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NSTEMI)은 혈전 형성의 진행이 천천히 일어나는 경우로, 협착 정도가 심한 관상동맥이라도 측부순환이 형성되어 ST 분절이 비상승한다.
초급성기(발작 직후~수시간)에는 T파의 파고와 폭의 증대가 나타나고, 급성기(수시간~1일)에는 ST상승과 이상Q파가 출현한다. 아급성기(수일~2주간)에는 상승되었던 ST 상...
참고 자료
최신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김금순 외 공저, 여덟째 판, 수문사
김금순 외 11인,『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8
김금순 외 11인,『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8
송경애 외,『기본간호학1』, 수문사, 2018
송경애 외,『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8
성미혜 외3인,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수문사, 2018
『성인간호학7 실습지침서』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labtestsonline.kr/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79
국내➀
이은경, 장재원. (2012). 급성신손상의 신대치 요법: 적응증, 적절한 시기 및 방법. Korean Journal of Medicine(구 대한내과학회지), 82(1), 17-21.
국내➁
김의식, 함영록, 장원익, 정지윤, 권오경, 정사라, 최대은, 나기량, 이강욱, 신영태. (2010). 지속적 신대치요법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으로 치료받은 급성 신부전증 환자들의 예후 인자.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구 대한신장학회지), 29(1), 54-63.
국내➂
김은정, 정철호, 박무용, 최수정, 김진국, 황승덕. (2011). 지속적 신대체 요법을 시행받은 급성 신부전증 환자들에서 사망률 예측인자에 대한 분석.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구 대한신장학회지), 30(1), 73-79.
국외➃
Nash DM, Przech S, Wald R, O'Reilly 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nal replacement therapy modalities for acute kidney injury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Crit Care. 2017 Oct;41:138-144. doi: 10.1016/j.jcrc.2017.05.002. Epub 2017 May 9. PMID: 28525779.
국외➄
Perner A, Prowle J, Joannidis M, Young P, Hjortrup PB, Pettilä V. Fluid management in acute kidney injury. Intensive Care Med. 2017 Jun;43(6):807-815. doi: 10.1007/s00134-017-4817-x. Epub 2017 May 3. PMID: 28470347.
국외➅
Co I, Gunnerson K.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of Acute Kidney Injury, Electrolyte Abnormalities, and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the Critically Ill. Emerg Med Clin North Am. 2019 Aug;37(3):459-471. doi: 10.1016/j.emc.2019.04.006. Epub 2019 May 24. PMID: 31262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