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암의 이해
1.1. 폐암의 정의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하며, 크게 암세포가 기관지나 폐포에서 처음 발생한 원발성 폐암과 암세포가 다른 기관에서 생겨나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폐로 이동해 증식하는 전이성 폐암으로 나눌 수 있다."
1.2. 폐암의 분류
1.2.1. 소세포암
소세포암(small cell carcinoma)은 폐암 환자의 약 15~25%에서 발생하며, 대부분 흡연량이 많은 흡연가들에게 발병률이 높다. 소세포암은 전반적으로 악성도가 강하여 발견 당시 림프관이나 혈액 순환을 통하여 이미 다른 장기나 반대편 폐, 종격동으로 전이되어 있는 상태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기도(기관지나 세기관지)에서 처음 발병하며, 급속히 성장하고 대체적으로 종괴가 크며 회백색을 띠고 기관지벽을 따라 증식하는 경우가 많다.""
1.2.2. 비소세포암
비소세포암은 폐암의 약 80-85%를 차지하며, 조기에 발견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을 경우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비소세포암에는 편평상피암, 선암, 대세포암 등의 아형이 포함된다.
편평상피암은 폐의 중심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남성에게 많이 나타나고 흡연과 관련이 깊다. 이 암종은 천천히 자라고 침윤성이 낮으며, 기관지와 말초 폐조직에서 발견된다.
선암은 최근 그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여성이나 비흡연자에서도 많이 발생한다.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해 크기가 작아도 조기에 전이되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다. 선암은 주로 말초 폐조직에서 발견된다.
대세포암은 폐암의 10% 미만을 차지하며, 말초 폐조직에서 주로 발생한다. 세포의 크기가 크고, 일부는 빠른 증식과 전이 경향이 있어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종합적으로 비소세포암은 조기 발견 시 수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지만, 선암의 경우 조기 전이로 인해 예후가 좋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대세포암은 빠른 증식과 전이로 인해 예후가 다른 비소세포암에 비해 좋지 않다.
1.3. 폐암의 증상
1.3.1. 기관지 및 폐 관련 증상
폐암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는 기침이다. 폐암 환자의 약 75%가 잦은 기침을 호소한다. 그러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경우 기침이 생겨도 단순히 담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무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폐암 환자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대표적인 증상은 객혈이다. 피 섞인 가래나 피를 토하는 것은 폐암의 중요한 증상이지만, 이것이 언제나 폐암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아니다. 폐로부터의 출혈은 가래와 섞여 있고 붉은 빛을 띤다. 일단 피 섞인 가래나 피를 토하는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호흡 곤란 또한 폐암 환자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암 덩어리가 커져서 호흡이 가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폐암으로 인한 흉막 삼출, 폐 허탈, 상기도 폐색 등도 호흡 곤란을 유발할 수 있다.
폐암 환자의 약 1/3이 가슴 통증을 호소한다. 폐의 가장자리에 생긴 폐암이 흉막과 흉벽을 침범하여 생기는 통증은 가끔씩 느껴지며 날카로운 경향이 있고, 폐암이 더 진행하면 둔한 통증이 지속되기도 한다. 또한 폐암이 갈비뼈로 전이되어 통증이 생기거나, 흉막으로 암이 전이되어 악성 흉막삼출증을 일으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목소리가 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