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동에서 응급보고가 필요한 상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1.2. 산소요법의 목적
2. 본론
2.1. 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
2.1.1. 호흡곤란 증상 및 사정
2.1.2. 가스교환 기능 검사
2.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재난 간호술
2.2.1. 낙상 예방 간호 흐름도
2.2.2. 낙상 발생 후 응급조치 및 보고서 작성
2.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
3. 결론
3.1. 자아성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산소요법의 개요
산소요법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키는 요법이다. 숨을 들이마실 때 산소농도가 낮을 경우, 폐포로부터 혈액으로 산소운반이 잘 되지 않을 경우나 조직으로 가는 혈류가 나쁠 경우에 적용한다. 산소요법을 시행하는 기본적인 목표는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또는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있다.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약 21%인데 대기 중의 산소로 신체의 산소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농도가 높은 산소를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1.2. 산소요법의 목적
산소요법의 목적은 산소결핍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공기 중에 함유된 산소농도(21%)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흡입시켜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증가시켜 세포의 비가역성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맥혈의 산소분압이 60-100mmHg를 유지하도록 흡입산소농도(fraction of inspired oxygen, FiO₂)를 결정하는 것이다.
둘째, 공기 중의 산소는 20.95% 존재하므로 이보다 높은 농도의 산소를 기구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셋째, 저유량법과 고유량법의 두 가지 산소요법을 통해 대상자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산소농도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산소요법의 목적은 저산소증 상태에 있거나 저산소증 상태로 이행하는 조직세포의 산소 분압을 높여 세포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다.
2. 본론
2.1. 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
2.1.1. 호흡곤란 증상 및 사정
호흡곤란이란 불쾌한 노력을 요구하는 호흡운동이 의식되는 하나의 자각 증상이다. 호흡곤란은 우선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한 응급상황으로, 호흡곤란의 지표는 Hugh-Jones의 분류가 사용된다. 호흡곤란의 원인은 심장성, 대사성, 빈혈성, 폐성 호흡곤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심장성 호흡곤란은 울혈성 심부전, 승모판 협착증 등의 판막질환으로 일어나며, 폐성호흡곤란은 흉곽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나타나는 제한성 호흡곤란과 폐기종, 기관지 천식 등의 기도 폐쇄로 나타나는 폐쇄성 호흡곤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중증 근무력증에서는 호흡근력의 저하로...
참고 자료
강혜원, 허혜경(2010).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3, No. 2.
김종임 외(2018). 기본간호학Ⅰ, Ⅱ. 수문사. EBP
김종임 외(2018). 기본간호학실습. 수문사. EBP
양진주, 장금성(2021). 호흡곤란 환자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황옥남. (2019). 성인간호학(하) 제 7판. 현문사. 서울특별시
황옥남. (2019). 성인간호학(상) 제 7판. 현문사. 서울특별시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2021). 낙상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조인숙 외(2019). 근거기간 임상간호실무지침 낙상관리. 병원간호사회, 1-199p
조경숙 외(2016).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서길준 외(2017). 개정 7판 사진으로 배우는 응급처치와 심폐소생술. 서울: 도서출판 의학서원.
김진영, 전성숙, 김동희, 최송실(2008). 일부 일반병동 간호사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수혜 실태. 기본간호학회지.
강혜원(2010).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양진주, 장금성(2009). 호흡곤란 환자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