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양의 조경 양식
1.1. 중국의 조경 양식
중국의 조경 양식은 도교, 유교, 불교 등 중국 전통 사상의 영향을 깊이 받아 발전해왔다. 이들 사상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였는데, 이는 중국 정원 양식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중국 정원은 문인, 화가, 조경가들이 협력하여 만든 작품으로 여겨졌다. 산수화에서 발달한 자연 표현 방식이 정원 설계에도 적용되었으며, 정원은 자연의 이상향을 구현하는 공간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중국 정원에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지 않았고, 대신 산맥과 물이라는 두 가지 기본 요소가 중심을 이루었다.
중국 정원의 4대 핵심 요소는 건축물, 연못, 꽃나무, 그리고 산석이다. 특히 괴석은 정원 조경에 많이 활용되었다. 또한 사의적 풍경식 양식도 발달했는데, 이는 자연의 느낌을 회화와 문학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조경에 반영한 것이다.
대표적인 중국 정원으로는 예원, 창랑정, 서호, 여름궁 등이 있다. 이들 정원은 문인, 화가, 조경가들의 협력작품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시하는 중국적 미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1.2. 일본의 조경 양식
일본의 축경식 조경 양식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고대로부터 발달했다. 6세기 중엽 백제의 귀화인 노자강이 정원을 만드는 기술을 전래하면서 일본의 조경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중국을 배경으로 한 독특한 조경양식이 발달하였는데, 임천 중도식, 침전임천식, 회유임천식, 고산수식, 다정, 에도임천식, 축경식 등이 그 예이다. 이들 양식은 모두 자연을 토대로 창안되었으며, 중국에 비해 훨씬 작은 규모로 표현되었다. 도서성이 있는 특징적인 경관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지형과 기후 등 자연조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또한 음양오행설과 신선설을 바탕으로 한 조경양식이었다. 부지 선정 역시 서늘한 심신궁곡에 소나무의 숲이 있는 곳, 폭포가 있는 외진 삼림고원인 경우가 많았다. 초기 일본 정원은 연못과 섬을 중심으로 하는 백제나 신라의 양식과 유사했다.
일본 정원의 특징은 자연 풍경을 애호하는 사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해안풍경과 제염 풍경을 정원 안에 추상적으로 묘사하여 신선설, 신토사상, 풍수지리사상, 수미사상, 만다라사상 등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이상주의적인 정원 양식에는 임천식 정원, 정토주의적 정원, 축경식 정원, 다정, 고산수식 정원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자연을 추상적으로 묘사한 자연식 정원이었다.일본의 조경 양식은 중국과 한국의 영향을 받아 발달했다. 6세기 중엽 백제의 귀화인 노자강이 일본에 건너가 정원을 만드는 기술을 전파하면서 일본 조경의 시작이 되었다. 이후 중국을 배경으로 한 독특한 조경 양식이 발달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임천 중도식, 침전임천식, 회유임천식, 고산수식, 다정, 에도임천식, 축경식 등이다. 이들은 모두 자연을 토대로 창안된 양식으로, 중국에 비해 매우 작은 규모로 표현되었다. 또한 도서성 있는 특징적인 경관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지형과 기후 등의 영향에 따라 형성되었다. 음양오행설과 신선사상을 바탕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