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초미시경제론 무차별곡선 예산제약선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
1.1. 무차별곡선
1.2. 예산제약선
2. 도시계획의 역사
2.1. 고대도시
2.2. 중세도시
2.3. 근대도시
2.4. 현대도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무차별곡선과 예산제약선
1.1. 무차별곡선
무차별곡선은 효용의 서수적 측정만을 가정해서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을 도출하는 것으로써 소비자에게 동일한 효용을 주는 상품의 조합들에 대해서 소비자는 무차별하다고 의미한다. 무차별곡선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로 원점에서 멀리 떨어진 무차별곡선일수록 높은 만족수준을 나타낸다. 이에 다다익선, 포화점의 가능성을 배제하게 된다. 둘째로 무차별 곡선은 우하향한다. 이는 다다익선에서부터 파생되는 속성으로 우하향의 무차별곡선은 두 상품 사이에 대체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우상향, 수직, 수평인 무차별곡선은 다다익선의 위배된다. 셋째 무차별곡선은 교차할 수 없다. 임의의 두 무차별 곡선이 교차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모순, 다다익선 모순이다.
이처럼 무차별곡선은 소비자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이자 재화의 효용을 수량적으로 측정할 수 없으며 어느 재화의 묶음이 다른 묶음보다 더 선호 되는가 덜 선호되는 지를 비교하는 이론이다.
1.2. 예산제약선
예산제약선은 소비자가 가진 소득 수준 내에서 구매할 수 있는 재화의 조합을 나타낸다. 즉, 주어진 소득으로 대화를 구입했을 때에 가능한 재화 구매의 정도를 의미한다. 가격과 소득의 변화는 소비자 효용수준을 변화시키며 이에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시키는 데에는 소비자잉여, 보상변화, 동등변화가 있다.
예산선의 기울기는 두 상품의 상대가격, 가격비이다. 이 예산선을 통해서 현시선호이론에 근거해서 소비자의 선택의 원리를 다룰 수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소비자선택이론과 논리적으로 동등하며 상호보완적이다. 직접현시선호는 동일한 예산 집합 내에 있는 상품조합들간의 비교이고, 간접 현시선호는 서로 다른 예산 집합 내에 있는 상품조합들간의 비교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접현시선호관계에서 약공리가 이루어지며 간접현시선호관계에서 강공리가 이루어진다. 즉 현시선호에서 강공리를 가정하였을 때 약공리가 자동적으로 성립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소비에서 한계 효용의 법칙에 근거한 인간의 소비에 따른 효용의 증대의 소비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인간은 예산적인 제약이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예산의 제약선에서는 예산의 제약의 기준 범위에서도 가장 이상적인 소비를 통해서 인간은 효용의 극대화적인 소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풀이한다....
참고 자료
노호정. "외식산업 프랜차이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서울
이재율 저. 경제학의 이해 문영사
학술지
이상덕, 고대 도시의 탄생과 발전, 쇠퇴, 도시연구 Vol.- No.33, 2023
허경, 서구근대도시 형성의 계보학, 도시인문학연구 Vol.5 No.2, 2013
단행본
강명구, 도시의 자격, 서울연구원, 2021
기타
http://www.kocw.net/home/cview.do?mty=p&kemId=1104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