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태아 권리능력 법적 논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태아의 권리능력
2.1. 태아의 권리능력이란
2.2. 태아의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
2.2.1. 상속
2.2.2. 유류분
2.2.3. 유증
2.2.4. 인지
2.2.5.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
2.2.6. 연금수급권 및 보상금 취득권
2.3. 태아의 권리능력 취득 시기
2.3.1. 정지조건설
2.3.2. 해제조건설
2.3.3. 판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민법이 인정하는 권리능력은 '사람'에게 주어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말하는 '사람'이 누구를 의미하느냐에 대한 개념 정의가 매우 중요해진다. 민법에서 권리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사람이냐와 관련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쟁점이 존재한다. 첫째는 사람의 시기를 언제로 볼 것이냐는 문제이다. 이것은 태아의 권리능력을 인정할 것이냐의 여부와 관련된 쟁점이다. 태아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사람이 아니다. 모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스로 생존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태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을 인정할 것이냐가 문제 된다. 우리 민법은 제3조에서 사람이 출생한 때로부터 권리능력을 취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태아는 원칙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다만, 우리 민법은 태아에게도 예외적으로 권리능력을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태아에게 권리능력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태아에게 지나치게 불공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태아의 권리능력
2.1. 태아의 권리능력이란
태아의 권리능력이란 태아에게도 예외적으로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민법 제3조에서는 사람이 출생한 때부터 권리능력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태아는 권리능력이 없다. 사람이라 함은 모체로부터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아에게 권리능력을 전면적으로 인정하지 않으면 태아의 권리와 지위가 지나치게 불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아가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한 상속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에 민법은 태아에게도 예외적으로 일부 권리능력을 인정하고 있다. 주요 사례로는 상속권, 유류분, 유증, 인지, 불법행위 손해배상청구권, 연금 및 보상금 수급권 등이 있다.
즉, 태아의 권리능력이란 태아라는 지위에도 불구하고 태아에게 일정한 권리를 인정하는 민법상의 제도를 말하는 것이다. 이는 태아의 권리와 법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한 취지에서 마련된 것으로, 태아가 장차 출생한 후에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2. 태아의 권리능력이 인정되는 경우
...
참고 자료
국가법령정보센터, 민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민법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티아 및 신생아 관련 법령
대한민국 민법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easy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