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현대시 교육의 의의와 성격
1.1. 현대시 교육의 의의
현대시 교육의 의의는 가장 섬세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교육을 지향하며, 국어교육의 근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시 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글자 그대로의 축자적 의미를 넘어선 섬세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며, 시인과 소통할 수 있으며, 진정한 소통에 대해 다각도로 탐구할 수 있다. 또한 섬세한 문학적 감수성까지도 기를 수 있으므로 의사소통, 언어, 감수성 등 국어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의 상상력 및 창의력 신장, 인성과 문화공동체 유지·발전에 기여한다. 시의 다의성과 비유적 표현 등은 학습자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시적 언어를 통해 세상을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한다. 또한 문학적 감수성과 이해력 향상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자질도 기를 수 있다.
현대시 교육은 추상적이면서도 구체적이며, 개별적이면서도 경제적이다. 시의 다의성으로 인해 학습자 개개인의 독특한 해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개성을 기를 수 있다. 동시에 시적 언어의 함축성과 압축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국어교육이 가능하다.
종합하면, 현대시 교육은 섬세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 상상력과 창의력, 문화적 소양 등 국어교육의 핵심 역량을 골고루 기르는 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1.2. 현대시 교육의 목표
현대시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시 교육은 사고력과 창의력의 신장을 지향한다. 현대시는 언어의 다의성과 함축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의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신장하는데 기여한다. 학습자는 현대시 작품을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사고력과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현대시 교육은 인성과 문화 공동체 유지·발전을 목표로 한다. 현대시는 개인의 주관적 정서와 경험을 성찰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학습자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현대시는 작가의 시대적·사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는 문화 공동체의 가치와 전통을 이해하고 계승할 수 있다.
셋째, 현대시 교육은 추상적이고 구체적인 언어적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시는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언어 사용을 통해 보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므로, 학습자는 구체적인 언어 사용 능력과 더불어 추상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삶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넷째, 현대시 교육은 개성적이고 개별적인 문화적 능력의 신장을 지향한다. 현대시는 시인의 독창적인 언어 사용과 표현을 통해 개인적이고 고유한 미학을 드러내므로, 학습자는 작품 해석 과정에서 자신만의 개성적인 관점과 감수성을 기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향유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1.3.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구성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구성은 시 작품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시의 언어와 표현 기법, 시적 화자와 어조, 운율과 이미지 등을 분석하는 텍스트 중심 교육과, 작품의 사회·문화적 맥락, 문학사적 배경, 상호 텍스트성 등을 고려하는 콘텍스트 중심 교육으로 구성된다""
우선 텍스트 중심의 시 교육에서는 시어의 특성과 역할, 비유와 상징, 이미지와 운율 등 시 작품 자체의 언어적·표현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시어의 함축성, 애매성, 시적 언어의 사물성 등을 탐구하고, 시적 심상과 운율 등 시 텍스트의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 된다""
콘텍스트 중심 교육에서는 시 작품을 사회·문화적 맥락, 문학사적 배경, 상호텍스트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작가의 생애와 작품 창작 시기, 작품의 역사적·사회적 배경, 작품과 다른 문화 콘텐츠와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작품의 의미를 다각도로 탐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시 작품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 작품의 창작을 직접 경험하는 시 창작 교육도 이루어진다"" 시 창작 교육은 학습자 개인의 생각과 느낌을 시적 형식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문제 해결 능력, 구성 능력, 수사적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
이처럼 현대시 교육은 시 작품의 언어적 특성과 맥락적 의미를 균형 있게 탐구하는 것을 지향하며, 시 창작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와 표현 능력 신장을 도모한다""
2. 시의 언어와 시적 표현
2.1. 시어의 특성과 역할
시어의 특성과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어는 함축적 의미를 지닌다. 시의 언어는 지시적 의미보다 정서적으로 사용되며, 간접적이고 개인적인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시어는 사전적 의미를 넘어 다양한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시인은 시어를 통해 주관적이고 복합적인 정서를 암시하고, 독자는 이러한 함축성을 토대로 능동적인 해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시어는 운율을 지닌다. 시는 언어의 음악성을 통해 독자에게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시어는 운율감 있는 언어로 구성되어 시의 음악성을 구현한다. 이때 운율은 시어의 소리, 길이, 강약, 고저 등의 특성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시인은 시어의 운율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