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헤로도토스 역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헤로도토스의 『역사』
1.1. 헤로도토스의 생애 및 저술 배경
1.2. 『역사』의 내용과 관점
1.3. 역사의 탄생
1.3.1. 이야기와 구별되는 역사의 등장
1.3.2. 사료 수집 및 비판을 통한 역사 기술
1.4. 헤로도토스 '역사' 이전의 그리스의 인식 관
1.5. 헤로도토스 '역사'
1.6. 헤로도토스 이후의 역사의 해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헤로도토스의 『역사』
1.1. 헤로도토스의 생애 및 저술 배경
헤로도토스의 생애 및 저술 배경은 다음과 같다.
헤로도토스(Herodotos)는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의 중요한 역사가로서 후세에는 '역사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가 저술한 『역사』(Historiai)는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지중해세계 최초의 역사서로 여겨진다.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생애에 관한 기록들은 많지 않은 편이다. 그의 저술인 『역사』가 당대 유일한 문헌이고 나머지는 후대의 단편적인 기록들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헤로도토스 스스로 자신에 대한 언급을 극히 적게 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신상을 파악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역사』에 따르면 헤로도토스는 할리카르나소스(Halikarnassos) 출신이며,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을 기록하였고 그리스와 여러 해외지역을 직접 여행하였다는 것 정도만 확실히 알려져 있다. 그 외에 헤로도토스의 정확한 출생 연도와 가문 등에 대해서는 후대 문헌들에서도 단편적인 언급만이 있을 뿐이다.
헤로도토스의 고향인 할리카르나소스는 소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도시로, 당시 대페르시아 정책을 펴오던 곳이었다. 그러나 후에 이 지역의 세력이 반페르시아 정책으로 변화하면서 헤로도토스도 추방을 당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헤로도토스는 사모스로 피신하였다가 다시 할리카르나소스로 돌아와 참주를 축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결국 시민들과의 불화로 자진하여 투리(Thurii)로 건너가 거주하다가 그곳 또는 마케도니아의 펠라에서 생을 마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헤로도토스의 출생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지만, 겔리우스(A. Gellius)의 전승에 따르면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발발한 기원전 431년에 헤로도토스의 나이가 53세였다고 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그의 출생 연대는 기원전 484년 경으로 추정된다. 이 추정 출생 연대는 그의 투리 식민사업 참여(기원전 444/3년) 시기와도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헤로도토스의 가문에 대해서는 수이다스 사전의 기록이 유일한 근거이다. 이에 따르면 그는 릭세스와 드리오의 아들이었으며 상당한 명망을 지닌 인물이었다고 한다. 헤로도토스 자신은 자신의 가문 내력을 드러내지 않으려 했던 것 같다. 그러나 그가 넓은 지역을 여행했고 그리스어로 저술할 만큼 교육 수준이 높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의 가문은 부유한 상류계층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할리카르나소스의 참주에 맞서 활약했다는 점에서 그의 가문은 할리카르나소스에서 영향력 있는 세력이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헤로도토스의 구체적인 행적과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나, 그의 『역사』 저술 배경과 관련하여 그의 고향 할리카르나소스가 처한 정치·사회적 상황과 그가 경험한 여행, 그리고 당시 그리스인들의 탐구 전통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1.2. 『역사』의 내용과 관점
『역사』의 내용과 관점은 다음과 같다.
헤로도토스가 저술한 『역사』의 주제는 그리스인과 이방인들, 즉 페르시아인 사이의 전쟁이었다. 그는 자신의 『역사』에서 그 전쟁의 경과뿐 아니라 전쟁의 원인에 대해서도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먼저 그리스인과 이방인의 대립과 전쟁의 역사를 그 시원부터 밝혀내고자 했다.
헤로도토스는 1권에서 먼저 그 대립에 관한 신화적 사례들을 소개한 후, 이어서 자신이 규명한 역사상의 사례를 설명한다. 그는 그리스인과 이방인의 대립이 시작된 역사상 최초의 사례를 리디아의 크로이소스의 군사원정에서 찾는다. 크로이소스는 '그리스인들에게 맨 처음으로 해악을 저지른자' 였고 '이방인들 중에서 최초로 그리스인들을 정복하여 조세를 내도록 한' 자였던 것이다. 크로이소스가 페르시아의 키로스에게 패해 몰락한 이후부터, 그리스인과의 전쟁을 주...
참고 자료
김봉철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사료비판 사례」 『서양고전학연구』(1995)
조의설 『희랍사학사』 장왕사 1965
헤로도토스 천병희 옮김『역사』도서출판 숲 2009
플루타르코스,『헤로도토스의 편의에 관해』
E.M. 포스터 이성호 역『소설의 이해』 문예출판사 1985
김경현, 「헤로도토스를 위한 변명」『서양고전학연구』24, 2005, 276~277쪽.
김진경 ‘서양고대사강의‘ 한울 2011
김경현 ‘그리스 역사의 기원’ 2006
권오경 ‘헤로도토스의 역사’ 김영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