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진왓슨 간호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마가렛 진 하먼 왓슨(Margaret Jean Harman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
1.1. 이론가 소개
1.2. 이론의 배경과 출처
1.3. 이론의 발달과정
1.4. 이론의 개요: 돌봄의 과학 이론
1.4.1. 10가지 돌봄의 요소
1.4.2. 인간과학과 인간돌봄으로서의 간호
1.5. 이론의 주요 개념
1.5.1. 대인간 돌봄
1.5.2. 조화와 부조화
1.5.3. 인간(돌봄의 대상인 인간)
1.5.4. 현상학적 세계
1.6. 이론의 메타 패러다임
1.6.1. 인간
1.6.2. 건강
1.6.3. 환경
1.6.4. 간호
1.7. 이론의 적용
1.7.1. 실무 적용
1.7.2. 교육 적용
1.7.3. 연구 적용
1.8. 이론의 평가 및 한계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마가렛 진 하먼 왓슨(Margaret Jean Harman Watson)의 인간 돌봄 이론
1.1. 이론가 소개
마가렛 진 하먼 왓슨(Margaret Jean Harman Watson)은 1940년 7월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출생하였다. 1962년 버지니아주 Roanoke에 있는 Lewis Gale School of Nursing을 졸업하였고, 1964년 University of Colorado에서 간호학 학사학위를, 1966년 정신간호학 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1973년에는 교육심리와 상담분야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콜로라도대학교 건강과학센터에서 임상상담자로 위기 중재와 사별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1978년부터 1981년까지는 심리, 사회, 정신건강간호 박사과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위원회에 참여하였다.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콜로라도 대학교 간호대학 학장을 역임하였고, 1991년부터 현재까지 콜로라도 대학교의 간호학 교수와 인간 돌봄 센터의 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왓슨은 주요 저서로 1979년 「Nursing: The Philosophy and Science of Caring」, 1985년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A Theory of Nursing」, 1988년 재판본, 1999년 「Postmodern Nursing and Beyond」, 2005년 「Caring Science as Sacred Science」, 2012년 「Human Caring Science. A Theory of Nursing」, 2013년 「Caring Science」, 2013년 「Mindful Practice: Implementing Watson's Human Caring Theory」, 2016년 「Watson's Caring in the Digital World: A Guide for Caring when Interacting, Teaching, and Learning in Cyberspace」 등을 출간하며 국제적으로 인간 돌봄에 대해 많은 저술 활동을 해왔다."
1.2. 이론의 배경과 출처
마가렛 진 하먼 왓슨의 인간 돌봄 이론의 배경과 출처는 다음과 같다.
왓슨은 전통적인 간호학 지식과 나이팅게일, 핸더슨 등 많은 학자들의 업적에 추가하여 실존적 현상학과 동양적인 철학을 근거로 한 인본주의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접근으로 간호의 돌봄에 대한 과학성과 인본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왓슨이 제시하는 돌봄의 요소에서 인간의 잠재성을 인정하고 자기치유능력, 자기조절능력, 자기학습능력을 개발해야 한다는 관점은 로저스의 견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 밖에도 셀리와 라자루스의 스트레스 이론, 에릭슨의 발달이론, 마슬로우의 욕구이론 등에서 관련된 개념들을 추출하였다."
1.3. 이론의 발달과정
이론의 발달과정은 다음과 같다""
왓슨은 이론과 실무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자 간호와 돌봄의 철학을 제안하였다"" 그녀는 돌봄을 간호실무의 중심으로 보면서 과제 중심적인 행동이라기보다는 도덕적 이상이라고 보았다"" 또한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성의 궁극적인 유지가 건강관리 체계 내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왓슨에 따르면 전문간호는 과학과 시공을 넘어 간호사–대상자 상호작용에 있는 인본주의의 복합적 결과라고 한다"" 그녀는 얄롬(Yalom)의 11개 치료요소(curative factor)의 정신역동적이고 인간적인 사고에 자극을 받아 10개의 돌봄 요소(carative factor)를 도출하였다""
왓슨은 간호과학을 인간과학으로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논리 실증주의적 시각을 탈피하여 인간과학적 시각으로 간호의 본질을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녀의 이론은 인간과학과 예술(art)의 측면에서 간호현상을 조명하고 있으며, 생명의 경이와 신비에 대한 깊은 존경심과 변화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 인간의 주관적·영적 측면에 대한 높은 관심과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1.4. 이론의 개요: 돌봄의 과학 이론
1.4.1. 10가지 돌봄의 요소
첫 번째 요소인 "인본주의적-이타주의적(humanistic-altruistic) 체계의 가치관"은 남에게 무언가를 줌으로써 얻는 만족감이나 자신의 감각을 확장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가치체계의 형성으로서의 돌봄은 전반적인 인간의 가치-친절, 관심, 자신과 타인에 대한 사랑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적이고 이타적인 요소는 초기에 학습되며, 성인 초기에 이르면 가치체계는 더욱 확립된다.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간호사가 되기로 결정하는 이 시기에 인본주의적 가치체계는 간호교육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이다.
두 번째 요소인 "신뢰감과 희망감의 부여(instillation of faith-hope)"는 대상자가 건강추구 행위를 할 수 있도록 돕거나 긍정적인 제안을 함으로써 대상자를 지지하고 효율적인 간호사-환자의 관계를 개발하여 대상자의 안녕을 증진시키는 간호사의 역할을 설명한다. 또한 환자를 지지하는 강력한 암시를 주고 효과적인 환자-간호사 상호작용을 이루어 건강행위에 적응하도록 격려함으로써 안녕을 증진시키는 간호사의 역할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를 간호할 때 그 사람에게 의미있고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환자의 믿음을 무시하지 않고 격려하며 존중해주어 건강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게 해야 한다"이다.
세 번째 요소인 "자신과 타인에 대한 민감성의 개발"은 감정이나 느낌을 인식하는 것이 간호사와 대상자가 자아수용(self-acceptance)을 통하여 자기실현을 하도록 이끌어 준다는 것이다. 간호사가 자신의 민감성과 감정을 인식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좀 더 순수하고 확실하게 민감해질 수 있다. 간호사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을 때 다른사람의 감정표현을 더욱 잘 도와줄 수 있다"이다.
네 번째 요소인 "조력-신뢰관계의 개발"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들의 표현을 촉진시키고 수용하는 관계이다. 조력-신뢰관계의 개발에는 일치성(congruence), 공감(empathy), 비소유적 인 온화성(nonpossessive warmth), 비효율적인 의사소통과 같은 조건이 필수적이다. 간호사와 간호대상자 사이의 조력-신뢰관계 개발은 ...
참고 자료
1.이소우 외 5명 공저(2009)간호이론의 이해,수문사
2.편집부 편저(2000)핵심간호이론.은하출판사
3.편집부 편저(2000).요점간호이론,예지각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정면숙, 유미, 이동숙, 장선주, 한달롱.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2017. p. 319-329.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면숙.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2009. p. 307-316.
박영숙, 강현숙, 김주현, 안숙희, 이경숙, 조경숙, 고문희, 김혜원, 이명선, 이은희, 전나미, 전명희, 정면숙. 간호이론가와 이론Ⅰ. 대학서림. 2006. p. 109-128.
박형숙, 강인숙, 서은영, 안숙희, 최은숙. 간호철학과 간호이론. 수문사; 2018. p 507-510.
고진강. 간호이론. 수문사. 2016. p. 223-230.
김분한. 간호이론. 포널스 출판사. 2016. p. 16-17, 26, 117, 261-266.
이선옥. 간호이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