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심부전 간호진단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심부전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심부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2. 심부전의 병태생리
1.3. 심부전의 원인
1.4. 심부전의 증상
1.5. 심부전의 진단

2. 심부전의 치료
2.1. 약물 치료
2.2. 비약물 치료
2.3. 수술 치료

3. 심부전 간호
3.1. 가스교환 증진
3.2. 심박출량 증진
3.3. 체액 및 전해질 균형 유지
3.4. 환자 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심부전의 이해
1.1.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의 위치는 세로칸(종격동)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가로막(횡격막)이 있고, 가로막 위에 심방끝(심첨)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사이막(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정도, 하루에 약 7000L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심장은 심낭에 둘러싸여 있으며, 장쪽 심장막(장측 심막)과 벽쪽 심장막(벽측 심막)사이인 심낭강에는 약 10~20mL의 심낭액이 있다. 이 윤활액은 장쪽 심장막과 벽쪽 심장막의 접촉면을 매끄럽게하고,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킨다. 장쪽 심장막은 심장과 큰 혈관의 일부를 싸고 있다.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심장바깥막(심외막, epicardium)은 장측 심낭으로 이루어진 심장의 가장 바깥 층이고, 심근(myocardium)은 근섬유로 구성되어 심장의 수축을 담당하는 중간 층이며, 심장내막(심내막, endocardium)은 내피조직으로 되어있는 심장의 가장 안쪽 층이다.

심장은 사이막(중격)에 의해 오른심장과 왼심장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정맥혈은 우심방으로 들어와 삼첨판막(tricuspid valve)이 열릴 때 우심실로 흘러 들어가고, 우심실에서 폐동맥(pulmonary artery)을 거쳐 폐로 들어간다. 폐에서 산소화된 혈액은 좌심방을 거쳐 승모판막(mitral valve)이 열릴 때 좌심방으로 들어가고, 대동맥(aorta)을 통해 말초조직으로 공급된다. 우심방은 얇은 벽으로 된 구조로, 심장으로 돌아오는 정맥혈을 받아들인다. 정맥혈은 위·아래 대정맥과 심장의 심장정맥굴(관상정맥동, coronary sinus)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온다. 우심실은 정상적으로 심장의 가장 앞쪽에 있는 구조이며, 복장뼈(흉골) 바로 아래에 놓여 있다. 좌·우심실은 각각 똑같은 양의 혈액을 내보내지만 우심실은 폐순환으로, 좌심실은 전신순환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때문에 우심실벽의 두께는 4~5mm로 좌심실의 벽보다 얇다.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소화된 혈액을 받아들인다.

방실판막에는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삼첨판막(tricuspid valve)과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승모판막(mitral valve)이 있다. 삼첨판막은 3개의 소엽(leaflet)을 지니고, 승모판막은 2개의 소엽을 지닌다. 이 소엽들은 힘줄끈(건삭, choradae tendineae)이라 불리는 섬유끈(섬유삭, fibrous cords)과 꼭지근(유두근, papillary muscle)에 의해 심실벽에 고정되어 있다.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은 반달판막(반월형 판막)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3개의 컵 모양인 심장판막첨(cusps)으로 구성되어있다. 폐동맥판막(pulmonary valve)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있고, 대동맥판막(aortic valve)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있다.

심장동맥은 대동맥 시작부위인 대동맥판막 바로 위에서 나온다. 심장동맥계의 기능은 심근에 필요한 혈액을 공급하는 것이다. 심장동맥의 혈액흐름은 75%가 심장이 이완되고 저항이 낮아지는 이완기 동안 진행된다. 심근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심장동맥으로 가는 혈류가 증가된다.

좌관상동맥의 좌전하행(left anterior descending, LAD)가지는 심근으로 가는 혈액의 85%를 공급하며, 좌회선관상동맥(circumflex coronary artery)가지들은 좌심방과 좌심실의 옆면과 뒷면에 혈액을 공급한다. 우관상동맥은 우심실과 사이막(중격)의 일부에 혈액을 공급하고, 굴심방결절(동방결절)에 혈액을 공급하기도 한다.


1.2. 심부전의 병태생리

심장의 펌프기능은 전부하(용적부하), 후부하(압력부하), 심박수, 심근수축력 등 4가지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심박출량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기능이 떨어져 신체의 대사 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혈액을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부전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부하의 증가이다. 전부하란 심실수축 직전의 심실근육섬유의 길이로 이완기말 심실압력이나 심실혈류량을 나타낸다. 심근섬유의 길이가 증가하면 심실압력이나 심실혈류량이 증가하여 전부하가 증가한다. 전신에서 심...


참고 자료

[EBS 명의, 당신이 숨이 찬 이유, 심부전] 2019. 12. 10. 642회
[성인간호학 Ⅱ(section6 심혈관, 혈액장애)], 2019. 02. 윤은자 외 11인, 수문사
[N 의학정보( 심부전 [heart failure] )],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 health › nMedInfo › nView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상) p 624~632, 658~671, 현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 288~292, 307~310, 299~307,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7
대한심부전학회 http://khfs.or.kr/know/index.php?tab_num=5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