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난해 우리나라 아동학대 발생률은 아동 십만 명당 502건이었다. 지난 2001년 우리나라 아동학대 발생률이 아동 십만 명당 약 17건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불과 19년 만에 우리나라 아동학대 발생률이 약 29배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사회적으로 아동학대가 만연함에 따라 아동학대로 목숨을 잃는 아동도 적지 않게 되었다. 이는 아동학대가 매우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를 참고하여 본 과제에서는 아동학대의 유형을 설명하고 피해아동에 대한 실천적 개입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본인의 생각을 기술하고자 한다.
2. 아동학대의 이해
2.1.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에 의하여 아동의 건강,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 혹은 가혹 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을 의미한다. 즉, 아동학대의 개념은 적극적인 가해행위뿐만 아니라 소극적 의미의 방임행위까지 포함하는 광의의 정의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아동학대는 아동의 복지나 발달을 위협하는 보다 넓은 범위의 행위를 포함하게 되며, 좁은 의미의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 언어적 폭력, 성적 괴롭힘, 방임, 발달 저해 행위나 환경,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권리침해 등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2.2. 아동학대의 유형
2.2.1. 신체적 학대
신체적 학대란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아동의 신체에 훼손을 가하는 일련의 모든 폭력행위를 의미한다. 신체적 학대로 아동은 신체에 멍이 생기거나 골절 및 화상, 장기파열 등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약 25%가 이러한 신체적 학대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적 학대의 구체적인 행위로는 떠밀고 움켜잡는 행위, 뺨을 때리는 행위, 벨트 등 도구를 사용하여 때리는 행위, 발로 차거나 물어뜯고 주먹으로 치는 행위, 팔·다리 등을 심하게 비틀어 쥐어짜는 행위, 뜨거운 물이나 물체, 담뱃불 등으로 화상을 입히는 행위 등이 있다. 따라서 신체적 학대의 징후로는 신체 여러 부위의 설명할 수 없는 상처나 심한 구타자국, 두 눈에 심한 멍, 줄등으로 목 졸린 흔적, 목에 난 상처, 담뱃불, 양말이나 장갑·다리미 모양의 화상, 입·입술·팔·다리·몸에 난 열상, 설명할 수 없는 골격손상, 경직되고 부어 오른 관절, 다발성 혹은 나선형 골절, 없어지거나 흔들리는 치아, 이빨 자국, 머리카락이 없어진 부분, 스트레스로 인한 원형탈모, 흔들린 아기증후군(shaken baby syndrome), 사지골절 및 안구출혈, 고막파열, 내부장기파열, 두뇌손상, 사망 등을 들 수 있다.
2.2.2. 정서적 학대
정서적 학대란 언어적, 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