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병원성 미생물감염과 안전관리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병원감염 및 감염관리
1.1. 병원감염의 개념과 사례
1.2. 감염관리의 중요성
1.3. 감염관리 매뉴얼 및 지침서
1.3.1. 손 위생
1.3.2. 격리
1.3.3. 소독과 멸균
1.3.4. 직원감염 관리
1.3.5. 병원성 요로감염과 폐렴의 예방과 관리
1.3.6. 수술부위감염 관리
1.3.7. 감염성 폐기물과 세탁물 관리
1.3.8. 환경관리
1.4. 대책 및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병원감염 및 감염관리
1.1. 병원감염의 개념과 사례
병원감염(hospital infection)이란 원내감염이라고도 하며 감염원(感染源)과 피감염원(被感染源)이 동거하고 있는 상태인 병원에서의 감염을 특히 병원감염이라고 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원과 외인성 감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내인성 감염원은 환자 자신이 보유한 균으로 인해 감염이 발생하는 것이고, 외인성 감염원은 환자 외부에 있는 균으로 의료종사자나 병원환경이 문제가 되는 경우이다.
병원감염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2018년 5월 서울 강남의 한 피부과에서 발생한 집단 패혈증 사건을 들 수 있다. 당시 조사 결과, 패혈증 증세의 원인은 프로포폴 주사액 오염에 따른 '판토에아 아글로메란스'균 감염인 것으로 밝혀졌다. 강남 피부과에서 시술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판토에아 아글로메란스균이 검출되었고, 이 균은 식물, 토양 등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관절염, 활막염뿐만 아니라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처럼 병원 내부의 미생물 오염으로 인한 감염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1.2. 감염관리의 중요성
감염관리의 중요성은 병원감염의 지속적인 증가와 항균제 내성균의 문제로 인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대 의료환경에서 병원감염은 입원환자의 3.7 - 15.5%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새로운 항생제와 소독제의 개발, 보호장비의 착용 등에도 불구하고 병원감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면역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항균제 내성균의 확산 때문이다""
감염관리의 목적은 환자, 보호자, 방문객, 직원의 감염위험을 감소시켜 안전한 의료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병원감염 발생을 줄임으로써 환자의 추가 재원일수와 의료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병원에서는 감염관리 전문간호사를 두어 체계적인 감염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감염관리의 중요성은 최근 더욱 부각되고 있는데, 이는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으로 인한 위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RSA)과 같은 슈퍼박테리아가 등장하면서 기존 항생제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관리를 통해 병원감염을 예방하고 항균제 내성을 억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최근 들어 COVID-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의 발생으로 인해 병원감염 예방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평소 철저한 감염관리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병원은 감염관리 매뉴얼과 지침에 따라 손 위생, 격리, 소독 및 멸균, 직원 감염관리, 요로감염 및 폐렴 예방, 수술부위 감염관리, 폐기물 및 세탁물 관리, 환경관리 등의 체계적인 감염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병원감염...
참고 자료
실험실 생물안전 매뉴얼 제 3판/세계보건기구/한국바이오협회/2004/10p
실험실 생물안전 지침/국립보건연구원/2019/23p
www.ibric.org /실험실 안전수칙 - BRIC
www.ibric.org /실험실 생물안전관리/12p
[네이버 지식백과] 병원감염 [hospital infection, 病院感染] (간호학대사전,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예스폼 서식사전, 감염관리
보건복지부.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 2005.
김영미. 병원감염관리의 구체적 전략 제시 : 일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2005. p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