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운증후군 영유아의 특성과 부모역할에 대히 설명하고, 다운증후군 부모의 역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운증후군
1.1. 개념
1.2. 특징
2. 부모 및 사회적지지
2.1. 부모지지
2.2. 사회적지지
3. 발달지체에 대한 이해
3.1. 발달지체의 개념과 유형
3.2. 발달지체의 원인과 진단
3.3. 발달지체의 구체적인 사례
3.4. 발달지체 영유아의 부모 상담 및 지도 방법
4. 지적장애의 특성과 상담 방법
4.1. 지적장애의 정의
4.2. 지적장애의 원인
4.3. 지적장애의 강도에 따른 지원체제
4.4. 지적장애 상담 시 유의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운증후군
1.1. 개념
다운증후군은 가장 흔하고 잘 알려진 염색체의 질환으로 정상인은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나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47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상은 1886년 영국의 의사 Down에 의해서 발견되어 Down's 증후군이라 부르며 몽고인과 신체조건이 같다고 하여 몽고증이라고 부른다. 다운증후군의 종류에는 터너증후군, 모자이크 증후군, 다운증후군 3가지 유형이 있다.
1.2. 특징
다운증후군 아동의 신체적 특징 중 대부분은 목, 어깨, 가슴, 허리, 무릎, 발목에 만성적인 긴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 만성적인 긴장은 다운증후군 아동의 지체와 왜곡된 자세의 원인이라고 설명하였다"" 일반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이 보이는 자세특성은 턱을 내밀고 목과 어깨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등이 굽어지고 배와 엉덩이가 앞뒤로 불쑥 나왔으며 무릎이 굴곡 되고 발이 기형적이다"" 행동적 특징은 전반적으로 발달 수준이 지체되지만 얌전하다 남의 흉내를 잘 내고 명랑하고 익살스러우며 붙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 부모 및 사회적지지
2.1. 부모지지
부모지지는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고비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의 출산 직후 자신의 자녀가 다운증후군 아동으로 판정되고 겪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상담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상담자는 부모가 신속한 기간 내에 충격에서 벗어나 자녀에 맞는 올바른 양육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특히 의료진과 지원서비스 센터를 통해 부모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자녀를 양육하면서 사회적·경제적·신체적 부담이 있고, 치료기관 이용 시 시설 열악이나 거리가 먼 등의 불편을 겪는다. 또한 적절치 못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잘못된 정보를 접하기도 하므로, 전문상담가가 지원받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부모들의 고통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영유아기부터 열정적으로 자녀의 치료와 교육에 매진하며, 자녀가 성장하면서도 사회 통합의 염원을 가진다. 이 시기 유치원 활동이 많아지면서 담당자가 다운증후군 부모, 유치원 교사, 일반 아동 부모 간의 중재 역할을 해야 한다.
다운증후군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 또한 성숙해지며 사회의 긍정적인 시선을 느끼게 된다. 부모는 자녀 양육에 대한 용기와 힘을 가지고 필요한 지원을 당당히 요구하게 된다. 이 시기 부모의 성숙을 도와주고 지속적인 지지를 해줄 필요가 있다. 상담가가 다운증후군 가족의 강점을 발견하여 상담을 통해 도움을 주면 가족들에게 힘과 용기를 줄 수 있다.
2.2. 사회적지지
사회적 지지는 다운증후군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원체계이다. 일반 아동과 함께 다운증후군 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에게는 다운증후군 아동을 지도한 경험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부모 및 교사 간의 중재 또는 자문 역할을 담당하는 상담자에게 효과적인 상담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국가가 장애아들에게 지원하는 통합 일반 초등학교 수업 중에 실시하는 지원프로그램과 방과 후에 실시하는 방과 후 지원 프로그램이 다운증후...
참고 자료
아동청소년 간호학 I (김희순 외, 수문사)
riss4u 학위논문 (영유아 다운증후군 자녀양육에 관한 질적 연구, 박남주)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ac9d40033ed40fb3ffe0bdc3ef48d419#redirect
임경옥, 발달지체 영유아 조기개입 인지편, 학지사, 2017
이금진, 언어치료와 함께 실시한 소집단 부모참여프로그램이 어머니와 발달지체 영유아의 상호작용행동 및 영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이지연, 한수진 저, 특수아 상담, 양서원, 2020
조윤경, 강지현 외 1명 저, 특수아상담 및 가족지원, 공동체, 2017
김동일 저, 특수아상담, 학지사, 2016
조용태, 이선미 저, 특수아 상담의 이해와 전략, 특수교육, 2004
김수진 저, 특수아 부모교육론, 동문사, 2019
장선철 저, 특수아동상담의 이해, 태영출판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