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nation and phonological rules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최초 생성일 2024.10.30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alternation and phonological rules"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1.1. Human Linguistic Knowledge and Grammar
1.2. Characteristics of Human Language
1.3. Subcategories of Grammar

2. Morphology
2.1. Content vs. Function Words
2.2. Bound vs. Free Morphemes
2.3. Roots vs. Stems
2.4. Derivational vs. Inflectional Morphology
2.5. Affixes vs. Bound Roots
2.6. Morpheme Analysis

3. Syntax
3.1. Grammaticality vs. Meaningfulness
3.2. Lexical vs. Phrasal Categories
3.3. Complement vs. Adjunct
3.4. Ambiguity and Constituency Tests
3.5. Phrase Structure and X-bar Theory

4. Semantics
4.1. Sense vs. Reference
4.2. Entailment vs. Presupposition
4.3. Lexical vs. Structural Ambiguity
4.4. Polysemes vs. Homonyms
4.5. Eventive vs. Stative Verbs
4.6. One-place vs. Two-place Predicates
4.7. Truth Conditions and Entailment

5. Phonetics
5.1. Segmental vs. Suprasegmental Features
5.2. Aspirated vs. Unaspirated Bilabial Stops
5.3. Voiced vs. Voiceless Sounds
5.4. Sonorants vs. Continuants
5.5. Tense vs. Lax Vowels
5.6. Front vs. Back Vowels
5.7. Phonetic Transcription

6. Fossilized Allomorphy and Etymological Pitfalls
6.1. Gradation and Rhotacism
6.2. Metathesis and Obscure Cognates
6.3. False Cognates and Affix Homophony
6.4. Pseudo-Suffixes and Semantic Variation

7. Pronunciation of Classical Words in English
7.1. Unassimilated Classical Words
7.2. Fully Assimilated Classical Words
7.3. Stress Placement in Classical Loanwords

8. References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Introduction
1.1. Human Linguistic Knowledge and Grammar

사람의 언어적 지식과 문법은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다. 인간은 자신의 언어에 숙달되어 있어 무한한 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언어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언어는 인간의 사회적, 문화적 활동에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사람의 언어적 지식과 문법은 음성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의 하위 범주로 구성된다. 음성론은 소리와 발음에 관한 지식을, 형태론은 단어 형성에 관한 지식을 다룬다. 통사론은 문장 구조와 단어 배열에 관한 지식을, 의미론은 단어와 문장의 의미에 관한 지식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화용론은 문맥과 상황에 따른 언어 사용에 관한 지식을 다룬다. 이러한 하위 범주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언어 사용의 전반적인 체계를 형성한다.

이처럼 인간의 언어적 지식과 문법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시스템이다. 이는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능력으로, 다른 생물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1.2. Characteristics of Human Language

인간의 언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간의 언어는 창의성이 있다는 점이다. 인간은 간단한 언어 구조를 이용하여 무한한 수의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이는 인간의 언어가 유한한 자원으로 무한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의 대단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인간의 언어는 이산적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언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들이 분리되고 독립적이며, 조합될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현실 세계나 추상적인 개념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인간의 언어는 분리성과 전이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분리성이란 언어 표현이 실제 상황과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을, 전이성이란 언어 표현이 현재 상황과 물리적으로 동떨어진 곳이나 시간을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현실 세계를 넘어 상상의 세계를 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인간의 언어는 복잡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의 언어는 단순히 구체적인 사물이나 행위를 표현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추상적 개념과 관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언어는 끊임없이 조합되고 재조합되어 점점 복잡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인간의 언어는 자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언어와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 간에는 필연적인 관계가 없으며, 이는 언어가 임의적으로 정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의성으로 인해 언어는 다양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인간의 언어는 창의성, 이산성, 분리성 및 전이성, 복잡성, 자의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인간의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인간 사고와 문화의 핵심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독특한 능력임을 보여준다""


1.3. Subcategories of Grammar

문법의 하위범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이다.
첫째, 기술문법(descriptive grammar)이 있다"". 기술문법은 화자가 실제로 구사하는 언어의 특성을 기술한 것으로, 화자가 가지고 있는 내재적인 언어 지식을 반영한다"". 그러나 기술문법은 화자에게 언어 사용의 규범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둘째, 규범문법(prescriptive grammar)이 있다"". 규범문법은 표준 언어 사용에 대한 규범을 제시하는 것으로, 주로 문법서나 교과서 등을 통해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언어 사용의 기준을 알려준다"". 그러나 규범문법은 실제 언어 화자의 내재적 언어 지식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문법의 하위범주는 언어 사용자의 내재적 지식을 기술하는 기술문법과 표준 언어 사용을 규정하는 규범문법으로 구분된다고 볼 수 있다"".


2. Morphology
2.1. Content vs. Function Words

언어에는 내용어(content words)와 기능어(function words)의 두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 내용어는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들로,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이 이에 포함된다. 반면 기능어는 개념적 의미보다는 문법적 기능을 하는 단어들로, 전치사, 접속사, 관사, 대명사 등이 이에 속한다.

내용어는 "parents", "clean", "play"와 같이 구체적인 개념을 나타내며, 새로운 단어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개방 어휘 부류(open class)에 속한다. 반면 기능어는 "and", "of", "the"와 같이 문장의 구조를 나타내며, 새로운 단어가 추가되기 어려운 폐쇄 어휘 부류(closed class)에 속한다.

기능어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체적인 의미보다는 문장 내에서의 문법적 기능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관사 "the"는 명사구가 특정한 대상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전치사 "in"은 장소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내용어는 가장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들로, 언어 사용자가 다양한 개념을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이처럼 내용어와 기능어의 구분은 언어의 문법적 구조와 의미 전달 방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용어는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적 특성이 강한 반면, 기능어는 문장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적 특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2.2. Bound vs. Free Morphemes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는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언어학적 개념이다"" 자유형태소는 단독으로 사용되어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이다. 예를 들어 "부모", "행복", "걸어가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반면, 의존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며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이다. 대표적인 예로 접사(접두사, 접미사)를 들 수 있다. "-하다", "-이", "re-", "-ful" 등이 의존형태소에 해당한다.

의존형태소는 자유형태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거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한다"" 접사가 대표적인데, 이들은 어근에 붙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행복"에 접미사 "-하다"가 결합하여 "행복하다"가 되거나, "책"에 접두사 "re-"가 결합하여 "재책"이 된다. 또한 복수, 시제, 격 등의 문법적 범주를 표시하는 데에도 의존형태소가 사용된다.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구분은 언어 습득이나 단어 형성, 번역 등 언어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언어 습득 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를 구별하여 학습한다. 또한 단어 형성 규칙을 설명할 때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결합 양상이 핵심적이다. 번역 시에도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대응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자유형태소와 의존형태소의 구분은 언어학 연구와 응용에 있어 기본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3. Roots vs. Stems

뿌리와 어간은 형태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뿌리(root)는 가장 기본적인 의미를 지니는 형태소이며, 어간(stem)은 뿌리에 접사(접두사 또는 접미사)가 결합된 형태이다"" 뿌리는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만, 어간은 뿌리와 접사의 결합으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play"는 뿌리이고 "player"는 "play"에 접미사 "-er"이 결합된 어간이다"" 이처럼 뿌리는 단어의 핵심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어간은 다양한 접사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단어를 파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뿌리와 어간의 구분은 단어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이며, 언어학적으로도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4. Derivational vs. Inflectional Morphology

파생 형태소와 굴절 형태소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파생 형태소(derivational morphemes)는 단어의 품사나 의미를 변화시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play"에 접사 "-er"를 붙여 "player"라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 수 있다. 이처럼 파생 형태소는 어휘부에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여 어휘부를 확장시킨다"

반면 굴절 형태소(inflectional morphemes)는 단어의 문법적 정보, 즉 수, 격, 시제 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play"에 과거 시제 접사 "-ed"를 붙여 "played"라는 과거형을 만들 수 있다. 이처럼 굴절 형태소는 기존 단어의 문법적 기능을 변화시키지만, 새로운 단어를 만들지는 않는다"

즉, 파생 형태소는 단어의 품사나 의미를 변화시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반면, 굴절 형태소는 단어의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파생 형태소는 어휘부를 확장시키지만, 굴절 형태소는 기존 단어의 문법적 정보만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5. Affixes vs. Bound Roots

본 문서에서는 '2.5. Affixes vs. Bound Roots'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아픽스(affixes)와 결속근(bound roots)은 두 개의 구분되는 형태소 유형이지만, 이들은 복합단어를 형성하는 데 모두 사용됩니다. 아픽스는 자립성이 없어 다른 형태소에 첨가되어야 의미를 가지지만, 결속근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만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접두사 "...


참고 자료

Radford (1981) Transformational Grammar

Stockwell and Minkova (200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