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술실 진료과 협력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 간 협력의 중요성
1.1. 환자 안전과 협력의 관계
1.2. 원활한 협력을 위한 필수 요소
1.2.1. 의사소통
1.2.2. 역할 및 책임 명확성
1.2.3.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1.3. 의료팀 간 협력 관련 사례
2. 전문 보건의료팀과의 협력과 조정
2.1. 협력이 잘된 사례
2.1.1. 협력한 전문 보건의료팀의 역할
2.2. 협력이 잘못된 사례
2.3. 협력 및 업무조정의 필요성
3. 간호단위와 전문분야 간 협력과 조정
3.1. 협력과 조정의 개념 및 필요성
3.2. 실제 사례
3.2.1. 간호사-의사 간 협력과 조정
3.2.1.1. 수술실
3.2.1.2. 중환자실
3.2.2. 간호사-간호조무사 간 협력과 조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 간 협력의 중요성
1.1. 환자 안전과 협력의 관계
환자의 안전과 의료진 간 협력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환자안전은 의료 서비스 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부상이나 사고를 예방하는 것으로, 환자를 보호하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환자안전법이 제정되어 병원 의료 종사자들의 의무이자 환자의 기본적 권리로 자리잡았다. 이처럼 환자안전은 의료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다.
하지만 환자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 협력이 필수적이다. 의료 기관은 다양한 전문직이 모여 있는 복잡한 조직이므로, 환자의 안전과 적합한 치료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 간 상호의존적이고 협력적인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업무가 전문적이고 복잡할수록 팀원 간 상호의존성이 증가하므로, 의료팀 간 긴밀한 협력이 더욱 중요해진다. 다양한 전문가가 모여 협력하여 환자 중심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때 환자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과 의료진 간 협력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의료진 간 원활한 소통과 역할 분담,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등 협력적 요소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비로소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2. 원활한 협력을 위한 필수 요소
1.2.1.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원활한 협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의료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정확하고 효율적인 환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핵심이 된다. 특히 병원은 다양한 전문직이 모인 복잡한 조직이므로, 직종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예기치 못한 안전사고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료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소통 구조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정기적인 회의나 보고체계 등을 통해 구성원 간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같은 기술적 지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단순히 체계를 구축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의료진들의 자발적인 관심과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고 소통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의사소통은 보건의료팀 간 협력의 핵심요소로, 체계적인 소통 체계를 마련하고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2. 역할 및 책임 명확성
역할 및 책임 명확성은 원활한 협력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이다. 각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어야 서로 간 업무와 역할 영역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갈등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팀워크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직종별 업무 범위와 책임 한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어야 하며, 환자 정보와 진료 결과 등이 실시간으로 공유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인지하고 협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역할과 책임이 명확해야 환자 안전과 관련된 사항들에 대한 주체와 절차가 체계화될 수 있다. 만약 업무 범위와 책임이 불분명하다면 환자 안전과 관련된 정보 공유나 대응 과정에서 혼선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예기치 못한 의료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보건의료팀 내에서는 각 직종별 업무와 책임 범위가 명확히 규정되어 있어야 하며, 환자 관리와 관련된 정보가 신속히 공유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구성원 간 역할과 책임이 명확해지고, 협력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1.2.3.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는 원활한 협력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이다. 효과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의사소통 구조와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 명확성도 중요하지만,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또한 필수적이다.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는 다양한 전문직종이 함께 일하며, 각자의 전문성을 발...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병원,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영상의학과
서울대학교 병원,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정형외과
서울대학교 병원,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내분비내과
대한진단검사의학과, 진단검사의학이란
https://www.kslm.org/sub01/sub02_3.html
대한재활의학회, 재활의학과 소개
https://www.karm.or.kr/info/info.php
세브란스병원, 진료지원팀, 영양팀
세브란스병원, 진료지원팀, 약제팀
동아일보(2019,07.05), 환자이송 끝났는데 도착한 재난의료팀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90705/96334760/1
권의옥 등. 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9:25(3):186-197.
이문재 등. 의사와의 관계에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갈등수준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1:12(11):4844-4851.
정면숙 등.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제4판. 서울; 현문사. 2020.
정서희 등. 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018:24(3):253-264.
의료사회사업과 팀 협력”, 성희자, 위덕대학교아시아태평양연구소, 2003.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진, 한지영, 신라대학교,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9.25.2.73
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수준과 조직행위 인식에 관한 연구", 홍은미,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간호사-간호사 및 간호사-의사 협력 정도와 의료 오류 발생 간의 관계.”, 이영주, 황지인, 간호행정학회지, 2019.
“환자가 바뀐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일어나는 의료사고.”, 전미옥 기자, 쿠키뉴스. 2019. 03. 01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637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