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이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장기이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기이식의 역사 및 발전
1.1. 고대 장기이식에 관한 사람들의 생각
1.2. 근대의학의 발전
1.3. 현대의학의 발전과 신장이식
1.4. 장기이식의 발전

2. 장기이식을 통한 불로장생의 꿈
2.1. 불로장생을 꿈꾸던 인류
2.2. 장기이식의 역사
2.3. 장기이식의 종류
2.3.1. 자가이식
2.3.2. 동종이식
2.3.3. 이종이식
2.3.4. 인공장기이식
2.4. 인공장기의 대표적인 예 - 인공심장

3.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3.1. 장기이식 정의
3.2. 장기이식의 역사
3.3. 장기이식의 종류
3.4. 장기이식을 위한 준비사항
3.5. 장기이식의 부작용 및 후유증
3.6.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3.7. 장기이식을 위한 조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기이식의 역사 및 발전
1.1. 고대 장기이식에 관한 사람들의 생각

인간은 나이가 들수록 장기가 예전처럼 탄력적이지 못하고 잦은 고장으로 건강을 해치게 된다. 고로 병든 장기를 교체하면 건강이 회복될 것이라는 생각을 오래 전부터 해왔다. 기원전 2000년 이집트에서는 장기이식과 관련된 신화가 존재하며 기원전 700년 경 인도에서도 자기 조직을 이식해 코 성형수술을 한 기록도 남아 있다. 그 이후 11세기에는 치아이식을, 15세기에는 피부이식이 시도되었지만 자기 조직을 이식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1.2. 근대의학의 발전

18세기부터 유럽의 많은 학자들은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한 장기 이식에 관해 얻기 시작했다. 특히 영국의 외과의사 존 헌터는 닭의 고환이나 동물의 아킬레스건을 동종끼리 이식하는데 성공했다. 이러한 노력은 후에 19세기 후반 인간 사이에서의 각막이식을 성공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피부나 각막 같이 단순한 조직이 아니라 체내의 장기 같은 기관을 이식하는 것은 20세기가 될 때까지 불가능했다. 당시에는 작은 혈관이라도 막히지 않고 혈액을 통과시킬 수 있기 하는 봉합기술이 부족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이식한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어 버리는 현상을 해결하지 못했던 것이었다.

하지만 문제가 되었던 혈관 봉합기술은 1910년대에 동맥을 자르고 이어줄 때 혈관 조직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잠시 피가 흐르지 않도록 집어주는 동맥 겸자가 등장했고, 그 후에는 미국의 의학자 알렉시스 캐롤이 서로 이어줄 양측 혈관 단면을 삼각형처럼 만들어 봉합하는 삼각봉합법을 개발해냄으로써 해결되었다. 이로 인해 알렉시스 캐롤은 1912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혈관을 이어주는 수술 기술이 확립되자 가장 먼저 시행된 이식 수술은 신장이식이었다. 신장이식수술은 이미 1936년 러시아의 보로노이가 처음으로 시도했다. 비록 환자는 수술 후 이틀 만에 사망했지만 장기이식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수술로 기록되고 있다. 신장이 장기이식에서 최초로 시도된 이유는 우리 몸에 2개나 존재하고 있어 장기 제공자를 찾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내장 뒤에 위치해 비교적 쉽게 떼어낼 수 있는 데다 상대적으로 긴 동맥과 정맥, 요로를 간단하게 이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다른 장기에 비해 수술이 쉽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대부분의 수술이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하지 못해 실패로 돌아가는 동안, 극소수이지만 희망적인 결과도 있었다. 예를 들어 1947년 미국 보스턴에서 있었던 신장이식 수술이 그랬다. 독일의 의사 후프나젤은 임종 직전인 여자의 신장을 떼어 생명이 위독한 임산부에게 일시적으로 이식했다가 거부반응이 일어나기 직전에 이식한 신장을 도로 떼어냈다. 비록 완벽한 이식은 아니었지만 이식한 신장은 산모의 신장이 급성신부전에서 회복하는데 필요한 3일간의 시간을 벌어줬다. 1950년에는 혈액형만 동일한 타인의 신장을 이식받은 터커라는 사람이 11개월이나 살아남는 기적적인 사건도 있었다.


1.3. 현대의학의 발전과 신장이식

현대의학의 발전과 신장이식은 장기이식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기점이 되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장기이식에 있어 가장 큰 문제였던 거부반응은 정확한 이유조차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이후 의학자들의 활발한 연구 끝에 거부반응의 원인이 우리 몸을 방어하는 면역 체계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로써 의사들은 백혈구 항원이 비슷한 사람끼리 장기를 이식하면 거부반응의 확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54년 미국의 조셉 머레이가 일란성 쌍생아끼리의 신장 이식 수술에 성공하였고, 1960년 프랑스의 장 도세가 백혈구 항원이 거부반응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후 머레이는 1962년 쌍생아가 아닌 타인 사이에서의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하여 1990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또한 1972년 스위스 제약회사인 산도즈의 보렐이 이끄는 연구팀이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을 개발하면서 신장이식 성공률이 크게 향상되었다. 사이클로스포린과 다른 면역억제제를 함께 쓰는 칵테일요법이 등장하면서 장기이식에서 가장 큰 문제였던 거부반응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현대의학의 발전과 함께 신장이식이 점진적으로 발전해왔으며, 특히 면역억제제 개발은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 공여자 부족이라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4. 장기이식의 발전

거부반응의 원인이 밝혀짐에 따라 면역억제제 개발이 중요한 변수가 되었다. 그러나 거부반응을 완전히 억제해 주는 면역억제제가 없어 이식수술의 성공률은 매우 낮았다. 그러던 중 1972년 스위스 제약회사인 산도즈의 보렐이 이끄는 연구팀이 노르웨이의 흙 속에서 발견한 곰팡이의 부산물로 강력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면역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을 탄생시킨 것이다. 사이클로스포린은 당시 18%에 불과하던 신장이식 성공률을 68%로 끌어올리는 기적을 만들었다. 그 후로 사이클로스포린과 다른 면역억제제를 함께 쓰는 칵테일요법이 등장하면서 장기이식에서 가장 큰 문제였던 거부반응을 극복하게 해주었다.
하지만 현재 장기를 증여받기 위한 사람들은 넘쳐나나 장기공여자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장기를 개발하거나 돼지나 소, 양과 같은 동물의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는 이종간이식 연구 또한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장기이식의 수준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참고 자료

장기이식 정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89&cid=51007&categoryId=51007
장기이식 중요성과 절차
http://medicalreport.kr/news/view/47488
장기이식찬성
<뇌사와 심폐사 그리고 장기이식>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2, No. 8, 2009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뇌신경클리닉  남 상 욱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05620 (시사저널)
(보건복지부, 국립의료원과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2006)
사회복지 법인 호산나 복지재단 (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본 장기이식과 뇌사 (고려대 법무대    학원 강의록))
보건연구정보센터 <장기이식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 및 영향요인> 손 영 희*·조 정 민*
통계청  www.kostat.go.kr/ 주요지표100선  장기이식정보시스템 (질병관리본부)
대한의학협회(1993) “대한의학협회 뇌사판정 기준”.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2013 .8월 이태관 (석사논문)
국립장기이식관리 센터 (1997-2000) 뇌사자 장기이식 보고서
장기이식의 현황 및 추세  Vol.3.No.1:1-6 June, 1994 손광헌
https://www.youtube.com/watch?v=DJyIMs_pLmg&feature=share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080134 (국민 70%, 뇌사 법적 인정 찬성)
[네이버 지식백과]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臟器等移植─關─法律] (두산백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