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엔클렉스알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미국 간호사의 활동 분야
1.1. Bedside nursing
1.2. Home nursing
1.3. Nurses in Different Areas
2. 미국 간호사 관련 법
2.1. 미국의 간호에 대한 법적인 정의
2.2. 미국의 간호실무법(Nurse Practice Act)
2.3. 미국 간호사의 면허
2.4. 미국 간호사의 업무
2.5. 미국 간호사 면허시험
3. 미국 간호사의 연봉, 복지, 처우
4. 미국 간호사의 앞으로의 전망
5. 최근 간호계 이슈 및 정책에 대한 해결방안
5.1. 태움이란?
5.2. 태움과 관련된 간호계 이슈
5.3. 태움이 간호계에 미치는 영향
5.4. 해결방안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미국 간호사의 활동 분야
1.1. Bedside nursing
Bedside nursing은 환자의 입원 생활을 돌보며, 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미국 간호사들은 bedside nursing을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의사소통, 투약, 처치, 일상생활 지원 등을 수행한다. 특히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응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가족과의 소통을 통해 환자 중심의 통합적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 bedside nursing의 핵심이다. 이처럼 bedside nursing은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책임지는 간호사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업무라고 할 수 있다.
1.2. Home nursing
미국에서 Home nursing은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점차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80대 이상의 고령 환자들이 집에서 간호받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Home health nurse는 이러한 고령 환자들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진찰과 병원 방문 지원, 약물 관리 등을 통해 환자들이 독립적이고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의사 진료 시 함께 동행하여 환자를 돌보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Home nursing은 고령화 사회에서 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간호 서비스로, 점점 그 중요성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1.3. Nurses in Different Areas
미국 간호사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예를 들어 Second Life 같은 회사에서 가상 의료 환경 시나리오들을 만들어 의료인들을 트레이닝하기도 하고 다양한 의료 교육 게임 또는 앱을 개발하기도 한다. 또 국가기관에서 간호관련 정책들을 건의하고 검토하는 일을 하기도 한다. 또한 장기이식, 호스피스, 모유수유 카운슬링 등의 분야에서도 활동한다. 이처럼 미국 간호사들은 단순히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는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활동하고 있다.
2. 미국 간호사 관련 법
2.1. 미국의 간호에 대한 법적인 정의
미국의 간호에 대한 법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NCSBN(National Council of State Board of Nursing) 모델법에 의하면 '간호란 대상자 또는 집단에게 최적의 건강상태에 도달하거나 유지하도록 돕고, 이를 위해 계획적인 돌봄을 실행하며, 이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는 (1) 대상자 등이 실제적 또는 잠재적 건강 또는 상병 상태와 관련하여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기본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것과 (2)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즉, 미국에서는 간호란 대상자의 건강 관리를 돕고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하는 계획적인 돌봄 활동으로 정의되고 있다.
2.2. 미국의 간호실무법(Nurse Practice Act)
미국의 간호실무법(Nurse Practice Act)은 1930년 이후 각 주(州)별로 제정되어 현재까지 시행되...
참고 자료
https://bedsidenursing.wordpress.com/responsibilities-tasks/
https://www.nursingworld.org/practice-policy/state-law-and-regulation/#
https://nursesalaryguide.net/registered-nurse-rn-salary/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9968
http://reslaw.wku.ac.kr/wp-content/uploads/sites/60/2016/12/%EA%B0%84%ED%98%B8%EB%B2%95%EC%95%88%EB%AC%B8%EC%83%81%ED%98%81.pdf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2018), 태움,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397219&cid=43667&categoryId=43667
차유채, (2021, March 25), ‘태움’간호사 교수, 사과 대신 고소장···“진실 밝혀야”, MBN 뉴스, 검색일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s://www.mbn.co.kr/news/society/4459537
김하나, (2021, March 12), [천사들이 부루는 악마의 노래 ‘태움’ ②] 태움의 화신 그녀가, 지금은 ‘태움 근절’ 노조위원장?, 데일리안,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s://www.dailian.co.kr/news/view/971840/?sc=Naver
오예지, (2021, February 03), 인권 보장된 간호사 근무환경 기대, 김해뉴스,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684
이영민, 이동우, 방윤영 & 안재용, (2018, March 20), [MT리포트] 태움피해 미국 간 간호사 “주3일 근무, 연봉2배↑”, 머니투데이,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s://news.mt.co.kr/mtview.php?no=*************804332
조문희, (2019, October 30), “‘태움’ 멈추는 간호법 제정하라”, 간호사 5만명 광화문서 외침, 경향신문, 검색일 March 26, 2021, from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01&code=94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