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와 특징을 제시하고, 이론의 한계점과 학습자가 생각하는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와 특징
2.1.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2.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2.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2.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한계점
3.1. 개인간의 변이 무시
3.2. 발달 단계의 강제성
3.3. 경험과 문화적 영향의 간과
3.4. 실험적 증거의 부족
3.5. 발달 후기 단계의 부적절한 처리
4.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방법
4.1. 감각운동기
4.2. 전조작기
4.3. 구체적 조작기
4.4. 형식적 조작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피아제는 생물학적 연구에서 시작하여 점차 아동의 심리학적 발달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생명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와 지식에 대한 철학적 연구의 연결고리를 찾고자 노력하였다. 피아제가 아동연구를 하면서 처음 맡은 일은 아동용 지능검사를 만드는 것이었는데 아동들의 반응을 정답과 오답으로 채점하는 일이 처음에는 매우 지루하다고 느꼈는데 얼마 후에 어린 아동들의 오답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어린아동들의 실수는 일정한 유형을 가지고 있어서 이들이 어른들보다 덜 똑똑한 존재가 아니라 다르게 사고하는 존재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본 것이다. 피아제는 어린 아동들의 독특한 사고를 밝히기 위해 지능검사와 같은 표준화된 검사방법을 버리고 아동들의 자발적인 사고의 흐름을 알아낼 수 있도록 자유로운 반응을 허용하는 임상적 면접방법을 고안하였다. 또 많은 시간을 아동들의 자발적인 활동을 관찰하는데 보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와 특징을 제시하고 이론의 한계점과 학습자가 생각하는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방법을 기술해 보겠다.
2.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와 특징
2.1.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
감각운동기(Sensory motor stage)는 출생부터 2세까지의 발달 단계로, 영아는 신체활동을 통해 사고를 구조화한다. 이 시기 영아의 행동은 주로 반사적 행동에서 시작하여 점차 상징적 사고가 나타나게 된다.
영아는 출생 시 반사적 행동만을 나타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조합하면서 점차 목적 지향적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젖병을 보면 바로 빨아들이는 반사행동에서 시작하여 노리개 장난감을 잡고 흔들어보는 등 능동적인 행동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감각-운동 활동을 통해 영아는 자신과 세상과의 관계를 점차 연결시켜 나가게 된다. 하지만 이 시기 영아는 아직 언어가 발달하지 않아 자신의 행동을 조작할 수 있는 수준에서만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자신과 세상과의 관계를 완전히 연결 짓지는 못한다.
따라서 감각운동기 아동의 교육에서는 구체적인 탐색 활동과 놀이 경험을 제공하여 감각과 운동 능력을 발달시키고, 자신과 환경과의 관계를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영아는 사고를 구조화하고 점진적으로 인지 발달을 해나갈 수 있다.
2.2.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는 아동의 언어와 심상이 발달하면서 세상을 표현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감각운동기에서 상징적...
참고 자료
권대훈(2012),「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전남련, 최진원, 권경미 (2007). 놀이지도. 파주:학현사.
Ginsburg, H.P., Opper,S., 김정민 (2006).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서울:학지사.
김윤화 (2005).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에 의한 조작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명희 외(2018), 「교육심리학」, 학지사.
김은아(2005), 「피아제 인지발달이론의 뇌과학적 해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김현우 외(2016),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른 유아체육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4), p.85-99.
조규판,주희진,양수민,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9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All About 심리학
교육통
아이들을 이해하는 바른지식/J의 지식소매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