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표현교육론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1.1. 학습자의 외국어 말하기 학습 경험
1.1.1. 외국어 말하기 학습에서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학습방법
1.1.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시사점
2.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2.1. 말하기 수업 상황에 따른 교사의 주요 역할
2.1.1. 관찰자로서의 역할과 그 중요성
2.1.2. 평가자로서의 역할과 그 중요성
2.2. 앞으로의 한국어 교사상
3. 말하기 과제 및 교수-학습 방법
3.1. 초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3.2. 중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3.3. 고급 학습자를 위한 말하기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교육
1.1. 학습자의 외국어 말하기 학습 경험
1.1.1. 외국어 말하기 학습에서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학습방법
외국어 말하기 학습에서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다.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은 말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첫째, 발음과 억양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외국어 발음과 억양은 모국어와 다르므로 이를 익히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어휘와 문법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유창하게 말하기 어렵다. 외국어 어휘와 문법 규칙을 숙지하고 실제 상황에 맞게 구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상황에 맞는 적절한 화용론적 지식이 부족하다. 말하기에는 단순한 언어지식뿐만 아니라 문화, 예절 등 다양한 요소가 필요하지만 학습자들은 이를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다. 넷째,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과 동기부여가 부족하다. 외국어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과 어려움으로 인해 말하기 연습에 소극적이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발음과 억양을 익히기 위해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 따라 말하는 연습을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어휘와 문법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대화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상황에서의 역할극이나 대화 연습을 통해 화용론적 지식을 익히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 교사의 격려와 피드백, 동료 학습자들과의 협력 활동 등을 통해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과 동기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국어 말하기 학습에서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정확한 발음과 언어지식 습득, 상황에 맞는 화용론적 지식 습득, 자신감 및 동기 부여 등 다각도의 접근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1.1.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을 위한 시사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말하기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과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토대로 한국어 말하기 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학습자의 모국어 특성과 배경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 간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간섭 현상이나 오류에 대해 교사가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한다. 예...
참고 자료
직업 목적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박현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3)
중국인을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말하기 수업 구성 방안, 장영,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논문 (2009)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20-54호(2020.11.27.)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세종학당재단, <세종한국어회화 3>, 세종학당재단, 2020년.
한국어로 말해요 유튜브(https://youtu.be/_DYAk5iSM98)
MBC 무한도전 유튜브(https://youtu.be/5d0OP41iq90)
JTBC 비정상회담 유튜브(https://youtu.be/RyTRYu51X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