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동기 창의성 발달
1.1. 창의적 사고의 개념
1.1.1. 창의적 사고의 정의
창의적 사고의 정의는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협의의 개념으로 창의적 사고란 반응 수가 많고(many), 다양하고(varied), 그리고 독특한(unusual) 작품이나 아이디어를 생산해 내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광의의 개념으로 창의적 사고란 새롭고 유용한 어떤 것을 생산해 내는 행동, 통상적인 것이 아니고 기발하고 독창적인 '새로움'(신기성, new, novel)과 '유용성'(usefulness)이라고 볼 수 있다. 즉, 협의의 개념은 창의적 사고의 양적인 측면을, 광의의 개념은 질적인 측면을 강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창의적 사고의 특성
창의적 사고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고는 반응 수가 많고(many) 다양하고(varied), 그리고 독특한(unusual) 작품이나 아이디어를 생산해 내는 능력이다""
둘째, 창의적 사고는 새롭고 유용한 어떤 것을 생산해 내는 행동을 의미한다""
셋째, 창의적 사고는 기존의 정보, 지식, 즉 심상이나 개념들을 특정한 요구 조건에 맞거나 유용하도록 새롭게 조합(combination), 연결(connection) 또는 결합(association)시키는 과정이다""
즉, 창의적 사고는 다양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며, 새롭고 유용한 것을 생산해 내는 특징이 있고, 기존 지식을 새롭게 조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1.2. 창의적 사고의 요소
1.2.1. 창의적 사고의 정의적 요소
1.2.1.1. 민감성
민감성은 창의력를 발휘하는 기초능력이기도 하다. 민감성은 감각이 발달되어 관찰력이 뛰어나다는 말이다. 남들이 그냥 지나치는 것을 예민한 감각으로 포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이나 상황에 대한 민감성기라 말하기도 한다. 문제에 대한 민감성을 문제나 상황에 대한 '민감한 관칠, '관찰력이라고 하기도 한다. 관찰은 '사물이 있는 그대로의 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관찰력이 뛰어나야 감각이 예민해지고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어떻게 하면 잘 관찰할 수 있을까? 제대로 관찰하려면 주의 집중을 해야 하고,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오감을 통한 민감성 훈련은 어릴 때부터 훈련되어야 한다. 첫째, 끊임없이 질문하기 둘째, 호기심을 유발시켜 관찰하는 것이다. 셋째, 오감을 통하여 민감하게 활동해 본다.
1.2.1.2. 상상력
상상력은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심리학적 경험 중 하나이며, 창의적 사고의 핵심적 요소이다. 상상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를 구체적인 이미지로 구현해 내는 정신적 능력을 말한다. 특히 사고력의 원동력이 되는 상상력은 과거의 경험이나 지식, 아이디어 등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계획하고 나타내는 능력이다.
따라서 상상력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과거 경험과 지식의 축적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코끼리의 모습을 상상하고 흉내내려면 코끼리의 생김새와 특성에 대한 지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식과 경험을 새로운 상황에 맞게 통합하고 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상상력은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키고 창의적인 산물을 만들어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인슈타인과 생텍쥐베리가 강조한 것처럼, 지식보다도 상상력이 창의성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창의성 발달을 위해서는 상상력 함양이 필수적이며, 특히 어린 시절부터 상상력을 자극하고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2. 창의적 사고의 인지적 요소
1.2.2.1. 유창성
유창성은 문제해결의 여러 가지 대안을 산출할 수 있는 사고능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유창성이란 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사고의 신속성과 양적인 측면을 의미한다""."
유창성은 창의적 사고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어떤 자극이나 문제 상황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빨리 산출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유창성은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데 기초가 되는 기능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Torrance는 유창성을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고, Wil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