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과정설계 및 교수요목 적용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 이해
1.1. 절차 중심 교수요목
1.1.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이해
1.1.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1.1.3.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의의
1.1.4.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한계
1.2. 내용 중심 교수요목
1.2.1.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이해
1.2.2.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1.2.3.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의의
1.2.4.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한계
2. 교수요목의 한국어 교육 적용 모색
2.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한국어 교육 적용 모색
2.2. 내용 중심 교수요목의 한국어 교육 적용 모색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과정 지향적 교수요목 이해
1.1. 절차 중심 교수요목
1.1.1.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이해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학습자의 내용보다 학습 과정에서 목표하는 언어를 사용하면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상세화하는 데 중점을 둔 교수요목이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경우 학습자가 가진 인지적인 수준을 기준으로 하면서 학습의 난이도로 학습의 과제를 선정하고 배열하고자 한다.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는 학습자가 목표언어를 학습하도록 하므로 과제를 중심으로 하는 교수요목으로도 볼 수 있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언어의 구조나 체계보다 의미에 초점을 두고자 하면서 과제를 완성시키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과제와 활동이 구체화 되는 과정으로 교수요목의 내용일 결정되는 것이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에서는 프라부가 개발한 CTP에서 시작되었고, 여기서는 과제의 완성에 초점을 두고 학습자가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면서 의미 중심의 목표어를 이해하고 언어체계를 무의식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문법체계의 발달을 이루게 된다고 보았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에서 과제는 학습자가 목표언어를 이해하고 다루면서 발화 및 실제로 말하는 과정을 상호작용을 위한 교실 과제로 본다. 과제를 완성하는 것에 의미를 두며, 완성하는 것 자체가 의사소통할 수 있게 만드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도 의미를 중심으로 목표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며,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행한다.
1.1.2.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
절차 중심 교수요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은 언어의 구조나 체계보다 의미에 초점을 두고자 하면서 과제를 완성시키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교실 수업에서 학습자가 참여하고자 하는 과제와 활동이 구체화되는 과정으로 교수요목의 내용이 결정되는 것이다.
절차 중심 교수요목에서 과제는 학습자가 목표언어를 이해하고 다루면서 발화 및 실제로 말하는 과정을 상호작용을 위한 교실 과제로 본다. 과제를 완성하는 것에 의미를 두며, 완성하는 ...
참고 자료
김윤주(2019) [내용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학습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중언어학 제74호
Ngo Tran Viet Trinh(2018) [베트남학습자를 위한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방안] 상명대학교/석사
이은주(2015) [일본인학습자를 위한 실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석사
김정숙(2003)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명광(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론] 소통
배재원(2014)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출판사
서종학,이미향,바긴욱(2017) [한국어교재론] 한국문화사
배두본(2000) [외국어 교육 과정론] 한국문화사
박선옥 / 201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설계 교안(9주차-14주차) 교안 /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김지영 / 2008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 내용 보호 교수 모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