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 무력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과정 기록
1.1. 간호 사정
1.1.1. 일반 정보
1.1.2. 간호 력
1.1.3. 검사 결과
1.2. 문헌 고찰
1.2.1.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정의
1.2.2. 병태 생리
1.2.3. 증상 및 징후
1.3. 약물 보고서
1.3.1. 약물 정보
1.3.2. 부작용 및 환자/가족 교육
1.4. 검사 보고서
1.4.1. MMSE
1.4.2. GDS
1.5. 간호 진단 및 계획
1.5.1. 간호 진단 목록
1.5.2. 개념도
1.6. 간호 수행 및 평가
2. 가족 간호와 간병인 간호를 받는 입원 노인의 무력감과 우울 비교
2.1. 연구의 필요성
2.2. 연구의 목적
2.3. 용어의 정의
2.4. 문헌 고찰
2.5. 연구 방법
2.5.1. 연구 설계
2.5.2. 연구 대상
2.5.3. 연구 도구
2.5.4. 자료 수집 방법
2.5.5. 자료 분석 방법
2.5.6. 윤리적 고려
2.6. 연구의 기대 효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과정 기록
1.1. 간호 사정
1.1.1. 일반 정보
고령화로 인한 노인성 질환 환자의 증가로 간호 대상자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경우 인지기능 저하와 더불어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겪게 되므로 이들에 대한 통합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대상자는 75세 여성으로, 주요 진단명으로는 상완골의 골절, 폐쇄성 만기발병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상세 불명의 철 결핍 빈혈 등이 있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당뇨, 심질환, 관절염 등이 있으며, 현재 인슐린과 심장약을 복용 중이다.
일반 정보를 살펴보면, 대상자는 기혼 여성으로 무직이며 교육수준은 무학이다. 신체계측 결과 키 158cm, 체중 65kg으로 나타났고, 알레르기와 흡연, 음주 경력은 없다. 현재 당뇨병과 심장약을 복용 중이며, 활력징후는 정상 범위 내에 있다. 가족력으로는 남편의 간암 수술력이 있다.
이처럼 대상자는 노령, 치매, 당뇨병, 빈혈 등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어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문제행동과 신체기능 저하로 인한 일상생활 수행 능력 저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1.2. 간호 력
간호 력은 대상자의 과거력 및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정보이다. 대상자의 과거 병력, 약물 복용력, 수술력, 알러지 및 기타 특이사항 등을 기록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현재 질병 양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향후 간호 중재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본 대상자의 경우 고혈압, 당뇨, 심질환, 알츠하이머성 치매, 뇌졸중 등의 과거력이 있다. 특히 뇌졸중 과거력으로 인한 우측 편마비가 관찰되었다. 또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앓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신체 증상과 약물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수술력으로는 역행성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으며, 이로 인한 불편감과 재활 필요성이 있다. 대상자는 현재 다양한 약물을 복용 중이며, 이로 인한 소화기계 및 정신신경계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 알레르기 병력은 없었으나, 투약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주의 관찰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본 대상자는 복합적인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신체적, 인지적 기능 저하가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건강 상태와 치료 경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별화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1.3. 검사 결과
검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는 저혈색소증, 저철혈증, 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혈구(RBCs), 혈색소(Hgb), 적혈구용적률(Hct) 수치가 모두 낮게 나타나 빈혈 소견을 보였다. 적혈구(RBCs)는 2.38-3.23×106/㎕로 낮았고, 혈색소(Hgb)는 7.4-9.5g/dL, 적혈구용적률(Hct)은 21.5-29.0%로 정상범위 이하를 보였다. 이는 흔한 노인성 빈혈로 볼 수 있으며, 철분 결핍, 만성질환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크레아티닌(Creatinine) 수치가 낮게 나타나 영양 섭취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이 0.0021-0.0025 μIU/mL로 매우 낮게 나타나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시사한다. 이는 대상자의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대상자는 다양한 검사 결과 이상 소견을 나타내고 있어, 종합적인 건강관리와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 문헌 고찰
1.2.1.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정의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이상 단백질(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타우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면서 뇌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퇴행성 신경 질환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령의 증가, 외인성 독소 노출, 유전적 요인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상보다 빠르게 일어나는 노화과정에 의해 발생하며, 환경적 독소나 유전적 요인도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비정상적 축적으로 인한 신경반과 신경섬유 덩어리 형성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대표적인 병태생리학적 특징이다. 또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부족으로 인해 기억과 학습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1.2.2. 병태 생리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태 생리는 다음과 같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특징은 신경반과 신경섬유 덩어리가 뇌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신경반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포함하는 퇴행된 축삭과 수상돌기 말단이 뭉친 것이며, 신경섬유 덩어리는 기억과 학습을 조절하는 뇌의 해마, 뇌피질 등의 영역에 있는 비정상적 신경원의 세포질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신경 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부족으로 기억과 학습 문제가 나타난다.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이 존재하는 데에는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이라는 거대 단백질의 일부분이다. 대부분의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은 뇌에서 생성된다. 신경반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염증반응을 일으켜 궁극적으로는 신경원을 죽게 하는 세포 손상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신경섬유 덩어리의 중요 부분은 타우(Tau)라고 하는 단백질인데, 이 단백질은 중추신경계에서 세포 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단백질은 미세관들을 가지고 있는데 타우 단백질에 변성이 오면 엉켜서 알츠하이머병의 뇌에서와 같은 신경섬유 덩어리를 형성한다.
신경반과 신경섬유 덩어리는 신경세포를 죽게 하며, 인지적 장애가 없는 뇌에서도 발견되지만, 알츠하이머 병의 경우 훨씬 더 많이 발견된다. 알츠하이머 병 환자는 기억과 인지에 중요한 영역에서 콜린성 신경원을 상실하며 세로토닌이나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다른 신경흥분 전달물질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서히 상실된다.
1.2.3. 증상 및 징후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력 감퇴이다. 최근 대화 내용을 반복적으로 묻게 되고, 약속을 잊으며, 최근의 일이나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둘째, 언어능력 저하이다. 말을 할 때 적절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대명사로 표현하거나 단어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셋째, 시공간파악능력의 저하이다. 날짜나 요일을 모르고, 심해지면 연도나 계절을 파악하지 못하며, 낮과 밤을 혼동하게 된다. 넷째, 판단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저하이다. 추상적 사고와 문제해결, 적절한 결정 및 판단 능력이 저하되어 기본적인 일상활동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다섯째, 정신행동 증상이다. 성격변화, 초조,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장애, 무감동 및 무관심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주요 증상과 징후는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대상자의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한다.
1.3. 약물 보고서
1.3.1. 약물 정보
'1.3.1. 약물 정보'
대상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주요 약물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글리아타민정(콜린알포세레이트)은 뇌기능 개선제로, 뇌혈관 결손에 의한 2차 증상 및 변성 또는 퇴행성 뇌 기질성 정신증후군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기억력저하와 착란, 의욕 및 자발성 저하로 ...
참고 자료
아주대학교병원 건강정보 검사정보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대한민국 의약품 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약품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순천향대부천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최경숙 외(2015). 노인간호학. Elsevier.
박명화 외(2013).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제 3판. 현문사.
이은옥 외.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출판부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ev.iseverance.com)
강영례(2001).입원노인환자의 가족수발과 간병인수발시의 만족 비교 연구.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춘천
김경애(2002).노인의지각된건강상태,일상생활수행능력,건강증진행위에대한상관연구.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서울
김금자,차영남,장효순,한혜실,정정숙,윤진,공은숙,정여숙,황성자,
양복순,심정하,형희경,이정옥(2012).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서울:현문사
김도환(2001).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자아존감 우울과의 관계연구.한국노인복지학회 ,13,113-144
김재영(2008).입원노인의가족지지와일상생활수행능력이주부양자의부담에미치는영향에관한연구.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부산
김현미(2004).만성질환노인환자의무력감에자아존중감의가족지지가미치는영향.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부산
기백석(1996).한국판노인우울척도단축형의표준화예비연구신경정신의학,35(2),298-307.
대한노인병학회 ( 2010).노인병학(2nd).서울:도서의학출.
박미나(2005).입원한만성질환자를돌보는가족구성원의삶의질에대한사회적지지의기능.전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광주
박선영박정숙(2000).류마티스관절염환자가받는가족지지정도에따른일상활동과삶의질차이류마티스건강학회지,7(1),63-76.
박정문(2001).노인복지시설입소노인의무력감에영향을미치는요인.서울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서울
배지연(2004).노인자살에관한사례분석신문기사내용을중심으로한국노인복지학회,23,65-82.
배찬희(2002).노인의죽음불안과가족지지간의관계.단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천안
선우덕,오영희(2001).간병전문인력의 제도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22
손조욱(2006).걷기운동이 양로시설여성노인의 생리지수,체력,자아존중감,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부산.
송자경(2000).학병원내 간병인 관리체계와 이용환자들의 만족도. 대한병원협회지,제5호,58-66
심정선(2008).노인의 분노표현양식,우울,가족지지삶의 질 정도 관계 연구.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서울
유경자(2004).노인의우울과무력감의관계.충남대학교석사학위논문대전
이국형(2007).일개의료원에입원중인노인환자의우울성향조사.부산대학교석사학위논문부산
이선자채은희장숙랑(2001).노인장기입원환자와보호자의우울불안정도에따른간호요구도에관한연구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11(1),25-38.
이정화(2008).노인관상동맥질환자의가족지지와자가간호수행.한양대학교석사학위논문서울.
장희숙(2002).가족간호와간병인간호의만족도비교연구.목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대전
전산초최영희(2009).노인간호학.서울수문사
전신아(1992).E.양로원노인의 건강상태,무력감,생활만족도조사.부산학교 석사학논문,부산.
정경옥(2004).종합병원유료간병인이용행태에따른의료소비자의만족도.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서울
정연이(2012).가족간호와간병인간호를받는노인수술환자의사회적지지와자아존중감비교.고신대학교석사학위논문부산
조윤희(2007).지역사회치매노인의 증상정도에 따른 가족간호자 의문적 도움요구.연세대학교 석사학논문,서울.
조정화(2003).만성질환노인환자가 인지한 가족지지,우울,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대전대학교 석사학논문,대전
최순인(2002).입원노인환자의영적안녕과우울.연세대학교석사학위논문서울
최재은 ( 2005).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사기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경희학교 석사학논문,서울.
Miller,J.F.(1992).Coping With ChronicIllness : Overcoming Power less .2ndEd,Phi l ade l phi a:F.A.Davi sCompany.
Morgan,L.,& Kunkel,S.(2001).Aging:TheSocialContext.2nd Ed,Califonia:PineForgePress.
Robert,S.L.(1986).Behavioral concepts and the critically ill patients :
Powerlessness.2nd Ed, New York:Appleton Century Crofts.
Sheikh,J.I.,& Yesavage,J.A.(1986).GeriatricDepressionScale(GDS) :Recentevidenceanddevelopmentof ashorterversion.Clinical
Gerontology,5(2),165-173.
최경숙 (역). (2015). 노인간호학. 엘스비어코리아.
박상연, 조명옥, 김영경, 태영숙, 김명애, 강윤희 (2006). 간호계획 II. 서울: 정담미디어.
김정애, 장은정 (2009).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서울: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