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질병 연구의 필요성
여성들의 사회적·경제적 수준이 증가하는 오늘날, 여성의 사회 생활에 곤란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ime, PMS)'이다. 월경 전 증후군은 집중력 저하, 건망증, 공격성, 우울, 불안, 통증 등의 월경 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정서적, 행동적, 신체적 증상들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증상군을 일컫는다. 그중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은 바로 월경과다와 복부 또는 골반통증이며, 그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월경을 경험하는 대부분의 여성들은 이런 증상을 호소하며, 월경곤란의 증상을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치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월경통은 정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일차성 월경통과 다른 숨어 있는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이차성 월경통으로 나뉘며, 그 질병에는 난소난종, 자궁선근종,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이 있다. 다수의 여성들은 월경통, 배뇨곤란, 월경과다와 같은 증상을 단순 월경증상이라고 생각하고 넘기고, 이후 건강검진이나 종양의 크기가 커져 터지게 되며 응급실을 내원해 증상의 여부를 아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질환 중 하나인 '자궁근종'의 정의와 원인, 증상, 치료방법 등에 대해 파악하고, 여성 질환 예방의 발전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한다.
1.2. 연구대상 및 방법
202X년 0X월 XX일부터 202X년 0X월 XX일까지 EMR, lab sheet, 간호 기록지 등의 대상자 차트를 통해 ○○○에 대한 기초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문헌고찰을 통하여 질환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조사하였다.
2. 문헌고찰
2.1. 자궁근종의 정의
자궁근종(myoma uteri, Leiomyoma of uterus)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나며,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나뉜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서 생긴 근종으로 자궁강내로 돌출되며, 근층내근종은 자궁근층내 존재하는 근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장막하근종은 장막 아래 발생하여 육경을 형성하는 근종이다""
2.2. 자궁근종의 원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궁근종은 호르몬 의존성 종양이기 때문에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초경이 빠를수록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임신력이 있는 경우 미산부에 비해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70~80% 낮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즉, 연령, 호르몬 수치, 임신력 등이 자궁근종 발생의 주요 원인 및 위험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2.3. 자궁근종의 증상
자궁근종을 가진 환자의 50%이상은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근종의 위치, 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그 정도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다"이다.
첫째, 비정상 자궁출혈이다. 자궁근종이 있는 여성에게 가장 흔한 증상은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다. 출혈은 월경시 과도한 월경량 증가(menorrhagia), 부정 자궁출혈(metrorrhagia), 불규칙 과다월경(menometrorrhagia)으로 나타나며, 심한 출혈은 빈혈로 이어지기도 한다.
둘째, 골반통증이다. 근종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통증의 정도가 달라진다. 주로 후벽에 위치한 자궁평활근종은 요통을 유발하며, 광인대내근종은 일측성 하복부 통증을 유발한다. 근종이 거대할 경우, 혈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조직허혈과 괴사를 일으키며, 급성 중증 골반 통증으로 이어진다. 또한, 육경성 근종의 경우, 염전되면 허혈상태가 되어 골반통증을 유발한다.
셋째, 월경통이다. 주로 근종이 있는 여성들은 극심한 월경통을 경험한다. 이는 본래 본인이 월경통의 정도가 심하다고 생각하여, 근종의 존재를 의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넷째, 성교통이다.
다섯째, 배뇨곤란이다. 근종으로 인해 비대해진 자궁은 방광을 압박해 잦은 뇨의감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부분적으로 요관이 폐쇄되는 등의 배뇨적 문제를 일으킨다.
여섯째, 오심, 구토, 변비, 장폐색이다. 자궁근종의 크기가 커져 장을 압박할 경우 배변활동을 저하시키며, 이는 변비, 장폐색 등으로 이어지며, 오심과 구토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2.4. 자궁근종의 진단
자궁근종은 대개 골반 내진 시 발견되며, 환자 스스로 복부에서 덩어리가 만져져서 병원에 오는 경우도 있다. 이는 난소암, 장에 생긴 종양, 임신 초기에 커진 자궁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자궁근종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에는 병력 청취, 복부 촉진, 초음파 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