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본 글에서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이론에 대해 제시하고 각각의 이론이 실제 교육의 장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접근하여 살펴볼 것이다. 또한 행동주의 이론과 인지주의 이론을 교육에 적용했을 때 어떠한 성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우리는 여러 이론에 입각해 수업을 설계하고 교육 활동을 한다. 하지만 보다 나은 수업을 위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각 학습이론이 어떤 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성과를 이루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2.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비교 및 분석
2.1. 행동주의 학습이론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자극(Stimulus)과 반응(Response)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두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환경이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주요 학자로는 Pavlov, Watson, Thorndike, Skinner 등이 있다.
Pavlov은 전조자극(Conditioned Stimulus, CS)과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CS) 사이의 결합을 통해 전조반응(Conditioned Response, CR)이 발생한다는 고전적 조건화 이론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개에게 종소리(CS)와 함께 먹이(UCS)를 주면, 개는 종소리만 들어도 침을 흘리게 된다(CR). 이처럼 특정 자극과 반응이 결합되어 새로운 행동이 학습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Watson은 인간의 행동이 자극-반응 연결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는 관찰할 수 있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며, 내적 경험이나 의식은 배제했다. 따라서 모든 행동은 환경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Thorndike는 연습과 효과의 법칙을 제시했다. 연습의 법칙에 따르면 특정 행동을 반복할수록 그 행동이 강화된다. 효과의 법칙에 따르면 행동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그 행동이 강화되고, 부정적이면 약화된다. 이를 토대로 시행착오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Skinner는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원하는 행동이 나타나면 이를 강화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행동을 적절히 통제하고 강화하여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은 실증적으로 검증 가능한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매우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인간의 내적 과정과 잠재력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는다"이다.
2.2. 인지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이란 학습자가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정보들이 학습자의 인지구조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론이다. 인지주의 이론에서는 학습자의 내적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하고 구조화한다고 보았다.
인지주의 이론 중 정보처리이론은 외부로부터 투입된 정보가 인간의 두뇌 속에서 일어나는 지각, 시연, 부호화, 파지, 재생, 인출과 같은 일련의 인지 처리 과정을 연구하며, 인간의 인지를 정보처리 과정으로 바라본다. 이에 따르면 교사는 학습자들의 동기유발에 신경 써야 하고, 새로운 정보와 기존 지식을 연결시켜 유의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반복적인 복습을 통해 학습 내용이 잘 기억되고 이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인지주의 이론 중 인지발달이론은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지를 강조한다. 대표적인 학자인 피아제는 인지발달 단계를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르면 교사는 학습자의 인지발달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수준의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이처럼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