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학개론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의 개념과 특성
1.1. 언어의 정의
1.2. 언어의 유형
1.3. 인간 언어의 특징
1.3.1. 자의성
1.3.2. 추상성
1.3.3. 사회성
1.3.4. 역사성
1.3.5. 체계성
1.3.6. 분절성
1.3.7. 창조성
1.4. 동물 언어의 제한적 요소
2. 뜻과 지시
2.1. 뜻의 개념
2.2. 지시의 개념
2.3. 뜻과 지시의 차이
2.4. 문장의 뜻과 지시 분석
3. 새로운 언어 정보의 탐색
3.1. 표준국어대사전의 '에누리' 정보
3.2. 우리말 샘의 '에누리' 정보
3.3.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에누리' 정보
3.4. 나무위키사전의 '에누리' 정보
3.5. 우리 말 풀이사전의 '에누리' 정보
3.6. '에누리'의 뜻과 어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의 개념과 특성
1.1. 언어의 정의
언어는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이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사회관습적 의미를 지닌다." 언어는 크게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눌 수 있다. 음성언어는 말하기, 듣기의 언어활동과 관련되며 대면성과 즉시성의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별도 녹음하지 않는 한 기록과 보존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으며 부수적으로 문자언어에 대비하여 전달력이 낮은 편이므로 제스쳐나 표정과 같은 비언어적인 표현을 함께 사용하여 전달력을 높이기도 한다. 반면, 문자언어는 쓰기, 읽기 활동과 관련되며 비대면성, 비동시성을 지닌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으며 기록과 보존이 용이하고, 음성언어에 비하여 함축하는 정보가 많을 수 있다. 음성언어든 문자언어든 언어는 문화에 따라 상징적인 성격을 지니며, 인간의 고유한 본능이라고 보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1.2. 언어의 유형
언어의 유형에는 다양한 기준이 있다. 먼저 사용되는 양식에 따라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눌 수 있다"". 음성언어는 말하기와 듣기를 통해 전달되며 비대면성과 즉시성의 특징이 있다. 반면 문자언어는 쓰기와 읽기를 통해 전달되며 대면성과 비동시성을 지닌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도에 따라서는 정적언어와 동적언어로 나뉜다"". 정적언어는 시간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언어이고, 동적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언어를 말한다"".
언어의 계통에 따른 분류에서는 언어계, 어족, 방언 등이 있다"". 언어계는 언어의 계통을 나타내는 최상위 단위이며, 어족은 계통 내의 하위단위이다"". 방언은 동일 언어 내의 지역적·사회적 변이형태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치적 기능에 따라 공용어, 국어, 지방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용어는 국가 내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언어이고, 국어는 특정 민족의 언어이며, 지방어는 일정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처럼 언어의 유형은 사용 양식, 시간적 변화, 언어 계통, 사회·정치적 기능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나눌 수 있다"".
1.3. 인간 언어의 특징
1.3.1. 자의성
인간 언어의 자의성은 언어가 사물이나 개념을 표현하는 방식이 본질적으로 자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언어와 그것이 지칭하는 대상 사이에는 필연적인 관계가 없으며, 특정 언어공동체 내에서 약속된 관습적 관계만이 성립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와 실제 빨간 색의 과일 간에는 어떤 본질적 연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 단어가 그 대상을 지칭하게 된 것은 한국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습적으로 약속된 결과일 뿐이다. 다른 언어에서는 전혀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같은 대상을 지칭한다.
이처럼 언어기호와 지시대상 간의 관계가 자의적이라는 점은 언어가 인간이 창조한 상징체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는 자연적 필연성에 의해 결정된 것이 아니라 인간 공동체 내에서 관습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자의성으로 인해 언어는 유동적이고 변화가능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각 언어공동체는 자신들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언어를 자의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언어의 자의성은 언어가 인간 사회의 문화적 구성물이라는 점을 보여주며, 언어가 인간 활동의 반영이자 인간 이성의 산물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1.3.2. 추상성
언어의 추상성이란 사물을 전체적으로 범주화하여 명칭을 부여하고 언어화하는 특징을 의미한다. 인간은 실제 현실 세계의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건들을 추상적인 개념어로 표현하여 언어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는 빨간색, 둥근 모양, 단맛 등의 여러 가지 구체적인 특징들을 포괄하는 추상적인 개념어이다. 이처럼 언어가 가지는 추상성은 인간이 현실 세계를 범주화하고 개념화하는 능력에 기반하며, 이를 통해 언어는 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사건들을 추상적인 기호로 표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추상성은 인간 언어의 중요한 특징으로, 인간은 이를 통해 복잡한 사고와 추론, 나아가 문화의 발달을 가능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1.3.3. 사회성
언어의 사회성은 언어가 개인이 아닌 사회적 관습에 의해 기호화된다는 특징을 의미한다. 언어는 특정 언어공동체 내에서 공유되고, 그 언어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습과 규범에 따라 형성된다"이다. 이는 언어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 개인이 자의적으로 언어를 창조할 수 없고, 사회적 관습과 약속에 따라 언어가 발전한다. 때문에 언어는 공동체 내에서 통용되는 소통의 도구이...
참고 자료
임윤정, <언어의 의미와 지시와의 관계 연구>, 동서철학연구, 2013, vol., no.67, pp. 335-359
강범모,<의미론에서 "의미"와 관련된 용어들의 개념과 번역어>,언어와 정보 제 15권, 2011, pp.79-9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나무 위키백과사전(https://namu.wiki/w)
사전과 언어 정보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의 개발/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 말 풀이사전, 초판 1쇄 2004., 10쇄 2011., 박남일)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2009. 9. 25., 조항범)
네이버지식백과. 동물은 왜 말을 못 하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7645&cid=58943&categoryId=58966,
네이버 지식백과, 동물언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207&cid=40942&categoryId=32310
언어학개론 교안, 한울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