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판타지 동화 소개
1.1. 판타지 동화의 정의와 특징
판타지 동화는 현실 세계를 벗어나 상상의 세계를 다루는 동화이다. 판타지 동화는 인간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문화 가운데 상상력의 작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학 양식이다. 판타지 동화는 비현실적인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 내어 독자가 그 세계를 인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다른 문학 장르보다 상상력의 비중이 강조된다. 이러한 판타지 동화의 특징으로 인해 독자, 특히 상상력이 풍부한 아동들은 주인공의 고난을 극복하고 갈등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에 함께 참여하게 된다. 아동들은 판타지 동화를 읽으며 주인공과 동일시하게 되고, 직관력과 통찰력을 습득하면서 삶의 총체성을 체험할 수 있다.
1.2. 판타지 동화의 선정 기준
판타지 동화의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는 다양하고 가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야 한다. 주제는 사회·정치적 문제, 선악의 대결, 삶과 죽음의 의미 등 심오한 것에서부터 가벼운 것까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독자가 새로운 인식과 통찰력을 갖게 되고, 상상력을 확장하며 꿈을 심어줄 수 있어야 한다. 주제가 인물이나 플롯과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표현되어야 한다.
둘째, 플롯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는 일련의 사건들이 논리적 일관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줄거리가 믿을만한 내용이어야 하며, 환상의 내용과 실제 내용이 잘 융합되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 또한 우연적인 사건이 남발되지 않고, 현실과 환상 세계의 전환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한다. 환상적 요소와 마술적 요소가 일관성 있게 구현되어야 한다.
셋째, 등장인물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의 등장인물은 감정과 상황이 인간생활의 보편성에 맞게 실제와 연결되어 묘사되어야 한다. 독자가 등장인물과 동일시할 수 있어야 하며, 환상적 인물이든 현실적 인물이든 그 행동이 일관성 있고 믿을만한 방식으로 사건에 반응해야 한다. 주된 등장인물은 평범하고 순진한 아이 같은 모습을 가지며 선한 본성과 풍부한 호기심을 지녀야 한다.
넷째, 문체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는 환상을 그리는 데 적합한 문체를 지녀야 한다. 세부 묘사가 줄거리, 장면, 인물, 관점에 일관성을 가져야 하며, 선명한 수식적 언어와 풍부한 상상력을 사용하여 독자가 만들어낸 세계를 상상할 수 있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배경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의 시간적 요소는 사실처럼 표현되어야 하고, 공간적 배경의 진실성이 있어 이야기 내용과 잘 융합되어야 한다.
여섯째, 결말 측면에서 판타지 동화는 환상을 깨뜨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맺어야 하며, 인간 본연의 진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결말이 이루어져야 한다.
1.3. 판타지 동화 작품 분석
1.3.1. 구름빵
'구름빵'은 홍비와 홍시가 구름으로 엄마에게 빵을 만들어 달라고 하자, 구름빵을 먹은 아이들이 날아가서 아빠에게 구름빵을 전하고 아빠도 구름빵을 먹고 하늘을 날아 회사에 가는 내용의 판타지 동화이다. 이 그림책은 유아의 상상력을 키우고 미술활동의 선택에도 도움이 되는 작품이다. 의인화된 고양이를 비롯하여 작가가 만든 사물을 사진으로 찍어 보여주어 그림의 입체감이 돋보이며, 그림의 배치에 변화를 주어 보는 즐거움이 크다. 또한 나무, 종이, 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배경 위에 직접 그림을 그리고 오려서 만든 종이 캐릭터들을 움직여 찍어낸 독창적이고 독특한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처럼 '구름빵'은 유아의 상상력과 미술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판타지 동화라고 할 수 있다.
1.3.2. 괴물이 사는 나라
『괴물들이 사는 나라』는 모리스 샌닥이 1963년에 출판한 그림책이다. 이 그림책은 샌닥의 대표작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1964년 칼데콧 상을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주인공 맥스가 집에서 엄마에게 혼나고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면서 시작된다. 그의 방은 점차 숲으로 변해가고, 맥스는 스스로 만든 보트를 타고 괴물들이 살고 있는 나라로 가게 된다.
이 상상의 세계에서 맥스는 괴물들과 친구가 되어 신나게 놀다가, 엄마가 저녁 식사를 준비해 놓은 자신의 방으로 돌아오게 된다.
샌닥은 이 작품에서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처리하여 독자들이 주인공의 경험을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작품 속 그림의 배치와 크기에 변화를 주어 현실 세계와 환상 세계의 대조를 강조하였다.
특히 괴물들이 사는 나라의 장면에서는 페이지 전체를 차지하는 큰 그림으로 환상의 세계를 표현하여, 독자들이 주인공과 함께 몰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 현실 세계의 장면은 작고 여백이 많은 화면으로 구성하여, 좁고 답답한 느낌을 전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