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기적 유전자
1.1. 서론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서론에서는 이번 과제의 주제와 필자의 입장을 소개하고 있다. 필자는 리처드 도킨스의 책 『이기적 유전자』에서 '서로 사랑하라'를 주장하기보다 '서로 협력하라'를 주장했다는 주제에 대해 3번 "도킨스는 그렇게 주장했다. 그리고 그의 주장을 지지한다."를 선택하였다. 이유는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 서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이타적이어야 하고, 이것이 협력의 일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즉, 유전자를 가진 생물들은 각자 이기적으로 살아가는 것보다 협력하며 살아가는 것이 더 좋다고 보았다는 것이다.
1.2. 협력에 대한 이해
1.2.1. 유전자와 생존기계
유전자와 생존기계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리처드 도킨스는 "유전자는 생존기계의 외형, 특성 등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의 성격이 발현되며 이것을 ESS(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생존기계들이 안정적으로 진화된 생존전략)라고 한다."라고 말한다. 즉, 유전자는 생존기계인 동식물 등의 매개체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고 진화시키며, 이를 위해 유전자는 각 생물체의 특성에 맞는 진화된 전략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유전자는 생물체라는 생존기계를 통해 자신의 생존과 진화를 도모하며, 생존기계 또한 유전자의 복제와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2. 이기적인 유전자와 이타적인 행동
이기적인 유전자와 이타적인 행동은 서로 모순되어 보이지만, 실제로는 유전자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개체의 이기적인 유전자가 다른 몸속에 있는 자신의 복사본을 도울 수 있을 때 이타주의가 나타나는데, 이는 자신의 유전자를 보존하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식 간에는 유전자를 공유하는 정도가 높기 때문에 부모가 자식에게 보이는 사랑과 헌신이 이타적인 행동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모의 유전자를 보존하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부모는 자신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자식을 돌봄으로써 자신의 유전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