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시비율 축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대학입시제도의 변천
1.1. 대학 주도의 대학입시제도
1.1.1. 1945년-1953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1.1.2. 1954년: 대학입학연합고사제
1.1.3. 1955년-1961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1.1.4. 1962년-1963년: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시제
1.1.5. 1964년-1968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1.2. 대학과 국가의 병행기
1.2.1. 1969년-1980년: 대학입학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 병행
1.3. 국가 주도의 대학입시제도
1.3.1. 1981년-1985년: 대학입학 학력고사와 내신 성적 병행
1.3.2. 1986년-1987년: 대학입학 학력고사, 내신 성적, 논술고사 병행
1.3.3. 1988년-1993년: 대학입학 학력고사와 내신 성적 병행
1.4. 대학 자율의 대학입시제도
1.4.1. 1994년-1996년: 수능, 내신 성적, 대학별고사(본고사) 병행
1.4.2. 1997년-2001년: 수능, 내신 성적, 대학별고사(논술) 병행
1.4.3. 2002년-현재: 대학 자율 입시제도
2. 대학입시제도의 국가시험명 변화
2.1. 1954년: 대학입학연합고사
2.2. 1962년-1968년: 대학입학자격고사
2.3. 1969년-1981년: 대학입학 예비고사
2.4. 1982년-1993년: 대학입학학력고사
2.5. 1994년-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
3. 2020학년도 대학입시제도의 특징
3.1. 전체 모집인원 감소, 수시 및 정시 모집 선발비율 전년과 유사
3.2. 수시모집은 학생부 위주, 정시모집은 수능 위주 선발 안착
3.3. 학생부 위주 전형 및 고른 기회전형 선발비율 증가
3.4. 대입전형명칭 표준화, 대학입학전형 관련 기록물 보존기간 연장, 체육특기자 전형 개선
4. 2022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에 대한 의견
4.1. 정시 확대에 대한 우려
4.2. 수시/정시 통합의 장단점
4.3. 수능의 절대평가에 대한 찬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대학입시제도의 변천
1.1. 대학 주도의 대학입시제도
1.1.1. 1945년-1953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해방 후 1945년부터 1953년까지 대학 입학 시험은 대학별 단독 시험제로 운영되었다. 이 시기의 대학 입시 제도는 대학이 주도하여 변화했다.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 시험을 개발하고 시행하는 방식이었다. 이 시기의 대학 입시 제도는 입학을 위한 일종의 "본고사"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대학들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시험을 통해 학생들을 선발했다. 시험 과목과 내용은 대학마다 달랐으며, 학생들은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시 시험에 응시해야 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여러 대학의 입시 준비를 해야 했고, 학부모들의 사교육비 지출도 증가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대학 간 과도한 입학생 유치 경쟁이 이루어졌다. 각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입시를 운영하면서 입학생 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대학들은 입시 기준을 낮추는 등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처럼 1945년부터 1953년까지의 대학별 단독시험제는 대학이 주도한 입시 제도로, 대학 간 경쟁 심화와 수험생의 부담 증가 등 문제점이 발생했다.
1.1.2. 1954년: 대학입학연합고사제
1954년에는 대학들이 모두 협력하여 하나의 통일된 대학입학시험을 실시하는 대학입학연합고사제가 도입되었다. 이는 당시 각 대학이 독자적으로 실시하던 대학별 단독시험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 시도였다. 대학별 단독시험제로 인해 수험생들은 다수의 대학에 지원해야 했고, 이에 따른 경제적·시간적 부담이 컸다. 또한 대학마다 상이한 출제 범위와 출제 방식으로 인해 입시 준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대학입학연합고사제는 모든 대학이 공동으로 단일한 시험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입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었다. 이를 통해 수험생 부담을 경감하고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통일된 출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혼란을 줄일 수 있었다.
이처럼 대학입학연합고사제는 대학 주도의 대학입시제도 변천사에서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었다. 단일한 시험을 통한 대학 입학 선발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1.3. 1955년-1961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이 시기는 대학 주도의 대학입시제도 변천 과정에서 대학별 단독시험제가 다시 도입된 시기이다. 1954년에 도입되었던 대학입학연합고사제가 1년 만에 폐지되고, 1955년부터 1961년까지 대학별로 단독 입학시험을 실시하는 제도가 다시 시행되었다.
대학별 단독시험제의 주요 특징은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시험을 실시하여 학생을 선발한다는 것이다. 즉, 특정 대학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해당 대학의 입학시험에 직접 응시해야 하며, 대학마다 서로 다른 기준과 방식으로 학생을 선발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여러 대학의 시험에 응시해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되었고, 대학 간 경쟁 또한 심화되었다.
이 시기의 대학별 단독시험제는 1945년부터 1953년에 실시되었던 이전 시기의 대학별 단독시험제와 유사한 형태였다. 당시에도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시험을 실시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었으나, 1954년 대학입학연합고사제가 도입되면서 잠시 중단되었다가 다시 부활한 것이다.
대학별 단독시험제가 재도입된 배경에는 대학 간 경쟁이 심화되고, 대학 자율성 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제도는 학생들의 입시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비판을 받았고, 결국 1962년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시제로 전환되게 된다.
1.1.4. 1962년-1963년: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시제
1962년부터 1963년까지 1년간 시행된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시제는 기존의 대학주도 입시제도에서 벗어나 국가가 주도적으로 대학입시를 관리하는 제도였다. 이 시기에는 기존의 대학별 단독시험제와는 달리 국가가 주관하는 단일 대학입학 고사가 실시되었다. 즉, 대학별로 독자적인 입학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실시하는 단일 대학입학고사에 응시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 입학하게 되는 체계였다.
이러한 국가주도의 대학입시제도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정상화와 대학 입학자 선발의 공정성 제고를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당시 대학별 단독시험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교육 팽창과 대학 간 과도한 경쟁, 그리고 고교교육의 왜곡 등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가 직접 대학입학 전형을 주관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제도는 단 2년간만 시행되었는데, 그 이유는 대학의 자율성 침해와 획일화된 전형기준에 따른 문제점이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대학은 학생 선발에 있어서 자율권을 상실했고, 수험생들 또한 단일 전형에 의해 선발되는 것에 대한 불만이 있었다. 또한 국가가 주도하는 획일적인 전형기준으로 인해 대학 특성에 맞는 다양한 인재 선발이 어려워졌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 주도의 대학입학자격 국가고시제는 1964년부터 다시 대학별 단독시험제로 환원되었고, 이후 점차 대학과 국가가 병행하는 입시제도로 변화해 나갔다. 이를 통해 대학의 자율성을 일정 부분 인정하되 국가 주도의 공정성과 형평성 확보라는 목표도 함께 추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1.1.5. 1964년-1968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대학입시제도는 대학별 단독시험제의 형태로 운영되었다. 이 시기에는 과거 1962년-1963년에 이루어졌던 국가고사 형태의 대학입학자격고사가 폐지되고, 다시 대학 주도의 입시 제도로 회귀하였다. 대학별 단독시험제는 각 대학이 독자적으로 자체 입학시험을 실시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1945년부터 1953년까지의 입시 체제와 유사한 것으로, 대학이 자율적으로 학생 선발을 주도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 시기 대학입시 제도의 변화는 과거의 대학 주도 체제로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1964년부터 1968년까지 대학입시제도는 대학별 단독시험제의 특징을 나타냈다.
1.2. 대학과 국가의 병행기
1.2.1. 1969년-1980년: 대학입학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 병행
이 시기는 대학과 국가가 병행하는 단계로, 대학입학 예비고사와 대학별 본고사가 동시에 실시되었다. 정부는 1969년에 대학입학 예비고사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학입학 예비고사는 국가가 주관하는 시험으로 학생들의 학업능력을 측정하였다. 반면 대학별 본고사는 각 대학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고사로, 대학별로 자신들이 요구하는 적성과 수학능력을 평가하였다....
참고 자료
김혜원(2017), 「학생부종합전형제도에 대한고등학교 진학담당 교사들의 인식 분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허정은(2015),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고교교사의 인식분석」,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설승은, “수험생이 바라는 대입정책 "수시 줄이고 정시강화"”, 2017/05/1109:58 (2017.5.14)
김상길(2010). 대학입학 전형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19.
김천홍, 홍수진(2018). 영국 대입제도 분석 및 시사점. 교육종합연구, 16:1, 65-94.
교육부(2020).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0-236호.
안선회(2015). 대학입학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11-155.
안선회(2016). 대입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제 -학생·학부모의 관점을 중심으로-. 학부모연구3.2, 23-49.
정원규(2011). 교육의 본래 목적과 공정성의 입장에서 본 대학입시의 문제. 사회와 철학 (21), 107-140.
최정묵(2016). 대학입시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562-573.
허정은, 박창언(2019).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개선방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353-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