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포츠 마케팅의 정의
스포츠 마케팅이란 기업이 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 향상, 소비자 충성도 제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신뢰 창출 및 유지, 글로벌 진출의 교두보 확보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행하는 스포츠 후원 활동이다. 기업은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비용대비 효율적인 미디어 효과와 팬 로열티를 제품 판매로 연결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PR 관리(Public Relation Management)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대중과의 입소문 커뮤니케이션(word-of-mouth communic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유명 스포츠 경기일수록 스폰서를 따기 위한 액수가 크고, 다른 기업과 함께 스폰서를 함으로써 다른 광고에 묻혀버리는 cluttering effect가 존재하며, 효과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2. 스포츠 마케팅의 역사
스포츠 마케팅의 역사는 약 1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52년 미국 뉴잉글랜드 철도회사가 최초로 하버드대학과 예일대학의 스포츠 팀에 무료 교통편을 제공하며 자사를 홍보한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1896년 근대 올림픽 부활 이후 기업의 스포츠 후원이 본격화되었다. 1928년 암스텔담 올림픽에서 코카콜라가 미국 선수단에 콜라 1천 박스를 제공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후 1850년대부터 기업들의 스포츠 마케팅이 점차 확대되었다. 특히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의 스포츠 마케팅이 급성장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대기업을 제외한 대다수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은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전략적 접근과 이해도가 낮고 마케팅 효과 분석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스포츠 마케팅이 브랜드 가치 제고와 국내외 진출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인지도가 낮은 국내 기업들에게 스포츠 마케팅은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이처럼 스포츠 마케팅의 역사는 약 1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국내에서는 1980년대 후반 이후 빠르게 성장해왔다.
3. 스포츠 마케팅의 전략적 가치
3.1. 브랜드 인지도 제고
과거에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가 스포츠 마케팅의 주요 목적이었다. 대형 스포츠 경기나 유명 스포츠 선수들의 스폰서에 치중하여 단순 노출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브랜드 인지도 향상 효과는 브랜드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마이클 조던과 같은 유명 스포츠 스타를 스폰서하고 광고모델로 활용한 많은 기업들 중에서 실제로 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 향상에 성공한 기업은 나이키를 비롯한 소수에 불과했다"이다.
따라서 단순한 브랜드 노출만으로는 충분한 인지도 제고 효과를 기대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