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열등감과 인정욕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아들러의 열등감과 우월감 이론
2.1. 열등감과 우월감의 개념
2.2. 열등감 극복을 위한 우월성 추구
2.3. 긍정적 생활양식과 부정적 생활양식
3. 열등감과 우월감의 작용
3.1. 일상생활에서의 열등감과 우월감
3.2. 학업생활에서의 열등감과 우월감
4. 열등감의 극복과 발전을 위한 노력
4.1. 열등감의 수용과 인정
4.2. 우월성 추구를 위한 용기와 도전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는 "내가 제일 잘 나가"라는 노래를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런 노래가 유행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누군가는 우리 사회는 경쟁 그 자체라고 말한다. 인간의 욕구 면에서 생각해본다면, 자기 존재에 대한 우월감의 자극을 건드리기에 이런 노래 또한 유행하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월감이란 인간의 본능에 해당한다. 우월감은 나를 귀하게 여기는 마음이다. 만약, 우월감이 없다면 열등감이 그 자리를 대신해 지배할 것이다. 조금의 우월감도 없다면 삶이 너무 위축되고, 힘이 없지 않을까? 그러나 우월감은 아주 중요한 임계점을 지니고 있다. 만약, 우월감이 너무 지나치다면, 자만심으로 넘어갈 수 있다. 그래서 우월감이 좋게 작용하는가, 나쁘게 작용하는가에 따라서 이 경계선이 달라질 수 있다. 좋게 작용한다면 우월감은 곧 그 사람의 자신감에 해당하는 것이며, 나쁘게 작용한다면 그것은 거만함과 오만함에 해당할 수 있다. 열등감은 내가 남보다 못하다는 생각이다. 만약에 열등감이 지배적이라면, 내가 실제로 서툴고 어려운 분야뿐만 아닌 모든 분야에서 수동적이 되고, 실력 발휘는커녕 남의 눈치를 보며 망설이기 일쑤일 것이다. 열등감에 끊임없이 사로잡혀 사는 현대인들을 보면, 삶이 굉장히 무미건조하고, 괴롭다. 이 우월감과 열등감의 개념은 바늘과 실처럼 서로 같이 붙어 다닌다. 두 개념이 작용하는 심리가 한 끗 차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들러는 우월감과 열등감에 개념에 대해 설명한 학자이다. 나는 지금부터 아들러의 이론에 따라 열등감이 우월감을 추구하기 위해선 어떤 작용이 일어나는지를 알아보고, 우리 삶에서의 열등감과 우월감 작용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2. 아들러의 열등감과 우월감 이론
2.1. 열등감과 우월감의 개념
아들러는 인간에게 가장 근본적인 동기가 우월해지고 싶어 하는 욕구라고 주장했다. 이는 인간이 사회적 존재라는 점에서 기인한다. 인간은 오랜 시간 동안 집단 생활을 해왔고, 남보다 우월해야 생존에 유리하다는 것을 배워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월성의 욕구는 항상 충족되지는 않는다. 세상에는 나보다 잘나 보이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아들러는 이러한 심리를 곧 열등감이라고 했다. 누구나 우월하고 싶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결국 열등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즉, 기본적인 열등감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얻게 되는 상대적인 박탈감과 유사한 개념이다.
그러나 우월성의 욕구는 인간을 그 자리에 머무르지 못하게 한다. 사람은 어떻게든 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을 우월하게끔 만들려고 하는데, 자신만이 추구하는 그런 방식을 아들러는 '생활양식'이라고 불렀다. 개인이 느끼는 우월감과 열등감의 차이로 인해 사람마다 자신만의 우월성을 추구하는 방법도 다르고, 생활양식도 모두 다르다.
결국 열등감은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이며, 이를 인정하고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우월감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열등감과 우월감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2. 열등감 극복을 위한 우월성 추구
아들러는 열등감을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으로 보았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월성 추구를 강조하였다. 그에 따르면 모든 ...
참고 자료
김수정, 장수미, 2023,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노안영, 2021, 『개인심리학적 상담: 아들러 상담』, 학지사.
알프레드 아들러, 2016, 『아들러의 인간이해』, 을유문화사.
알프레드 아들러, 2017, 『아들러의 말』, 부글북스.
오창순, 장수미,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서수정.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열등감 개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울산 http://www.riss.kr/link?id=T15677999
차은경. "아동의 열등감과 그 극복의 방안 - 아들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신학과 실천 0.46 (2015): 293-312. http://www.riss.kr/link?id=A101027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