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당한 전쟁의 가능성
1.1. 정당한 전쟁의 정의
1.2. 정전론의 발전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당한 전쟁의 요건
1.3. 정전론의 한계와 비판
2.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격차와 해소방안
2.1.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격차 발생
2.2.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
2.3.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추가 과제
3. 개별성의 중요성
3.1. 개인의 자유와 의견 표현의 필요성
3.2. 개별성 존중의 가치
3.3. 현대 사회의 개별성 부재 문제
3.4. 개별성 보존을 위한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당한 전쟁의 가능성
1.1. 정당한 전쟁의 정의
"정당한 전쟁의 정의는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 단체 사이에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하도록 무력을 사용하여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 '정당하다'는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하다는 뜻이며, '전쟁'은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당한 전쟁은 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 단체 사이에 이치에 맞아 올바르고 마땅하도록 무력을 사용하여 싸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정전론의 발전과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당한 전쟁의 요건
정전론은 아우구스티누스를 기점으로 하여 토마스 아퀴나스나 법학자들의 논의를 거쳐 초기 근대에 있어서 비토리아나 수아레스 등 신학자들에 의해 전개되었다"이다.
그 중 토마스 아퀴나스는 '정당한 전쟁'이 될 수 있는 세 가지 기본 요건을 정하였고 이 요건들은 아직까지 '정당한 전쟁'을 구분 짓는 데 사용되고 있는 조건이다"이다. 바로 올바른 목적, 군주의 권위, 정당한 명분이다"이다.
올바른 목적은 오직 단 하나, 평화의 회복을 목적으로 한 전쟁만이 정당하다는 것이다"이다. 군주의 권위는 정부나 국가 통치자 같은 권위자만이 전쟁을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이고, 정당한 명분은 개인의 이익이나 영광이 아닌 국민의 이익을 위해서만 전쟁을 할 수 있도록 권위자의 권력을 제한한다는 것이다"이다.
1.3. 정전론의 한계와 비판
정전론은 전쟁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하고자 하는 견해이지만, 여러 한계와 비판에 직면해 왔다. 첫째, 정전론은 개별 전쟁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할 수는 있지만, 전쟁 그 자체가 악이라는 평화주의의 반론에는 충분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한다. 전쟁을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려는 노력 자체가 전쟁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둘째, 정전론의 기준이 되는 전쟁의 정의와 부정의 구별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군주의 권위나 올바른 목적, 정당한 명분 등의 요건을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전쟁 당사자들의 주장과 입장은 상이할 수밖에 없다. 누가 정의로운 편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설령 정전론적 기준에 따라 정의로운 전쟁으로 판단되더라도, 실제 전쟁 수행 과정에서 '전쟁에 있어서의 법'을 무시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즉, 승리를 위해서라면 부정한 수단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딜레마에 봉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정전론은 전쟁에 대한 도덕적 논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전쟁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격차와 해소방안
2.1.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격차 발생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전국 학교의 개학이 연기되었고 이후 온라인 수업이 도입되었다. 아이들은 혼자 주체적으로 학습해야 했고 오랜 시간 디지털 기기를 보며 수업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아직 주체적인 학습이 어렵고 최대 집중시간이 적은 아이들의 학습 저하로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정전(정당한 전쟁) [just war, 正戰, bellum justum]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폴 켈리 외 공저, <정치의 책>
강대중 외, 『코로나19, 한국교육의 잠을 깨우다』, 지식공작소, 2020.
교육트렌드2022 집필팀,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2』, 에듀니티, 2021.
박상준, 『코로나 이후 미래교육 (학생 주도성·메타버스 교육·블렌디드 러닝)』, 교육과학사, 2021.
이종수, 『코로나 이후 세계 일류국가 어떻게 만들 것인가? (리부트40)』, 윤성사, 2021
황승우, 「코로나 19 팬데믹 시대 교육 불평등 해소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하지현, 『포스트 코로나, 아이들 마음부터 챙깁니다』, 창비,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