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인구

  • 1
  • 2
  • 3
  • 4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다문화 인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인구구성
1.1.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징
1.2. 한국 다문화사회의 인구구성
1.2.1. 체류외국인 현황
1.2.2. 결혼이민자 현황

2. 다문화 간호의 필요성
2.1. 결혼이민자의 건강 문제
2.2. 다문화 간호사의 역할 필요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인구구성
1.1. 한국 다문화사회의 특징

우리나라는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과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족이 대거 탄생하면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은 도시로 가족 단위의 이주가 주로 이루어지는 외국과는 다르게 '농촌'으로 '결혼이민자'를 통해 다문화사회로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1.2. 한국 다문화사회의 인구구성
1.2.1. 체류외국인 현황

우리나라의 체류외국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체류외국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7년 말 기준 국내 체류외국인은 2,180,498명으로 2016년 2,049,441명 대비 6.4% 증가하였다. 최근 5년간 연평균 8.5%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이 1,018,074명(46.7%)으로 가장 많고, 베트남 169,738명(7.8%), 태국 153,259명(7.0%), 미국 143,568명(6.6%), 우즈베키스탄 62,870명(2.9%), 필리핀 58,480명(2.7%)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체류자격별로는 재외동포(F-4) 415,121명(19.0%), 비전문취업(E-9) 279,127명(12.8%), 방문취업(H-2) 238,880명(11.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 인한 외국노동력 증가,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


참고 자료

강정향(2013). 결혼이민자 사회통합 정책의 부처 간 비교연구: 법무부와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경·최현미·김가희·성수미(2012). 다문화가족의 변화와 사회적 대응방안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인철(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진(2012).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자아존중감이 가족응집력 및 가족 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 무주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26(1), 107-125, 한국자치행정학회.
박재덕(2016). 농촌거주 외국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삼식·최효진·박성재(2009). 다문화가족의 증가가 인구의 양적질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3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순자(2013).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성 연구: 부부의시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박사학위논문.
통계청(2009). 2009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통계청(2015). 2015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통계청(2016). 2016년 혼인·이혼 통계 보도자료.

e-나라지표 법무부의 체류외국인 현황 (출처: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연보)
e-나라지표 법무부의 결혼이민자 현황 (출처: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연보)
질병관리본부의 국내 이주자 코호트 사업 동아시아 이민자 코호트 학술연구용억사업 최종결과보고서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