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도서 소개
이 도서는 웰튼 아카데미라는 유명 사립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도전하는 존 키팅 선생님의 참교육 철학과 그에 감화된 학생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웰튼 아카데미는 매년 졸업생의 70% 이상이 아이비리그로 진학하는 명문 고등학교로, 철저한 규율과 엄격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을 입시 위주로 길러내고 있다. 그런 학교에 부임한 키팅 선생님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과는 다른 자유로운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의 삶과 미래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의 교육 방침은 학생들과 학부모, 학교 당국과의 갈등을 불러일으키지만, 학생들에게는 자아실현의 기회가 되어 준다. 이 도서는 이러한 키팅 선생님과 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참된 교육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
1.2. 저자 소개
-저자 | N.H.클라인바움은 영화 시나리오 작가인 톰 슐만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여 이를 책으로 펴냈다"이다.
1.3. 영화 소개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의 장르는 '드라마'로 미국에서 1989년 제작되어 1990년 5월 19일 개봉되었다. 원작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피터 위어(Peter Weir)가 연출하였고, 주연은 로빈 윌리엄스(Robin Williams)가 맡았다. 이 영화는 다양한 수상내역을 가지고 있다. 제6회 바르샤바 국제영화제(1990)에서 관객상(피터 위어), 제43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1990)에서 안소니 아스퀴스상(모리스 자르), 작품상(스티븐 하프트), 제6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1990)에서 각본상(톰 슐만)을 수상하였다.
1.4. 내용 요약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의 주요 내용 요약은 다음과 같다.
미국의 명문 사립 고등학교인 '웰튼 아카데미'에는 8개의 아이비리그 대학 진학을 목표로 철저한 관리와 규율하에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새로 부임한 국어 교사 존 키팅 선생의 열정적이고 독특한 교육 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의 관점이 변화하기 시작한다. 키팅 선생은 입시 위주의 기존 교육 방식을 거부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이에 감화된 학생들이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비밀 조직을 만들어 자유로운 사고와 문학적 감성을 기른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학교와 학부모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게 되고, 결국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진다. 학생 닐이 아버지의 요구에 저항하다 자살하게 되면서, 학교 측은 키팅 선생을 전면 책임으로 돌리며 해직시킨다. 비록 키팅 선생은 학교를 떠나게 되었지만, 그의 가르침을 받은 학생들은 점차 자신들의 삶의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겪게 된다.
2. 교육적 관점
2.1. 전통적 교육관과 키팅 교사의 교육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묘사된 웰튼 아카데미는 1990년대 당시의 미국 명문 사립 고등학교를 대표하는 모습이었다. 이 학교에서는 엄격한 규율과 입시 위주의 교육이 행해졌는데, 이는 당시 한국의 학교 교육 현장과도 유사한 특징이었다. 웰튼 아카데미의 교육관은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성향이 강했다. 학생들을 어떠한 틀에 맞추어 가두려 하였고, 주입식 학습이 만연해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표준적인 기준에 맞추어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을 만들려 하였다.
반면 영화 속 키팅 교사는 학생 중심적인 교육관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학교와 교사의 역할은 단지 학생들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믿었다. 그는 학생들의 획일화된 걸음걸이를 싫어하였고, 이들의 개성과 인격체로서의 면모를 존중하였다. 키팅 교사는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 도왔으며, 전통에 도전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도록 장려하였다. 이러한 키팅 교사의 교육관은 급진주의 또는 진보적인 성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웰튼 아카데미의 전통적인 교육관은 보수적이고 획일적이었던 반면, 키팅 교사의 교육관은 학생 중심적이고 개성을 존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