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라 실피드 작품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낭만주의 발레의 전개
1.1. 낭만주의 시대와 발레
1.2. 낭만주의 발레의 특징
1.3. 낭만주의 발레의 대표적 작품
1.3.1. 라 실피드
1.3.2. 지젤
1.4. 낭만주의 발레의 대표 무용수
1.4.1. 마리 탈리오니
1.4.2. 화니 엘슬러
1.4.3. 카를로타 그리시
1.5. 파 드 카트르
1.6. 낭만주의 발레에 대한 영향
2. 낭만발레 「라 실피드」와 현대발레 「레 노즈」 비교 분석
2.1. 낭만발레와 현대발레의 비교
2.2. 작품설명 및 전체적 분석
2.2.1. 라 실피드
2.2.2. 레 노즈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낭만주의 발레의 전개
1.1. 낭만주의 시대와 발레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체에 걸쳐 서구에 나타난 문예사조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좁은 의미로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주관적, 개성적, 공상적, 상징적, 신비적, 초자연적 특성을 보이는 문학예술을 지칭한다. 이러한 낭만주의의 발생은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으로 인한 시대적 변화에 기인한다. 산업혁명은 전통적 삶의 방식을 완전히 뒤바꾸었고, 프랑스 혁명의 역효과로 혁명에 대한 염증과 환멸이 생겨났다. 이에 따라 꿈과 이상, 환상의 세계에 몰입하고자 하는 사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낭만주의 문학은 19세기 발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발레에서는 초자연적 신비주의 추구와 이국적 매력의 추구라는 두 가지 현상이 나타났다. 낭만주의 예술가들은 현실에 대한 저항이자 도피처로서 낭만적 사랑과 아름다운 꿈들을 발레 작품의 주제로 구성해 나갔다. 환상과 요정이야기가 작품의 전반적인 스토리라인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불가사의하고 비현실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요정으로 표현되었고, 이러한 천상의 존재에 대한 이루 수 없는 비극적 사랑은 가질 수 없는 것에 대한 인간의 열망을 대변하였다.
이처럼 낭만주의 사조가 발레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발레는 낭만주의 문학과 예술의 영향을 통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고, 이는 발레예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이어졌다.
1.2. 낭만주의 발레의 특징
낭만주의 발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낭만주의 발레는 당시 새롭게 일어난 낭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 낭만주의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전체에 걸쳐 서구에서 나타난 문예사조로, 주관성, 개성, 상상력, 신비주의, 초자연적 특성 등을 보였다. 이러한 낭만주의 사상은 발레에도 적용되어, 발레 작품에서 환상적이고 초월적인 내용을 다루게 되었다. 즉, 고전주의 발레의 신화적 주제에서 벗어나 요정, 엘프, 윌리 등 환상적 존재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둘째, 낭만주의 발레에서는 여성 무용수들이 중심이 되었다. 여성 발레리나들은 공중에 떠있거나 공중을 넘나드는 것 같은 환상적인 움직임을 구현해냈고, 이를 통해 비현실적이고 초월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다. 특히 마리 탈리오니는 당대 최고의 발레리나로 손꼽혔으며, 발끝으로 서서 춤추는 기술을 완성함으로써 요정 같은 이미지를 창출해냈다. 이로써 발레리나는 남성 무용수에 비해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셋째, 낭만주의 발레에서는 음악, 무대장치, 의상 등 공연의 모든 요소들이 환상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 연출에 기여하였다. 가스등이 도입되어 달빛과 같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었고, 여성 발레리나들의 하얀 로맨틱 튀튀 의상은 환상적인 이미지를 더욱 고조시켰다. 또한 음악에서는 주악상, 둔주곡 등이 등장하여 극적인 효과를 더하였다."
이처럼 낭만주의 발레는 당시의 사상적,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여 환상적이고 초월적인 주제와 이미지를 구현해냈으며, 여성 발레리나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무용 양식을 창출하였다.
1.3. 낭만주의 발레의 대표적 작품
1.3.1. 라 실피드
「라 실피드」는 1832년 5월 12일 파리 오페라좌에서 초연된 2막 발레로, 가장 오리지널한 낭만발레 작품으로 꼽힌다. 아돌프 누리의 대본에 필리포 탈리오니가 안무를 맡았고 쉬네제페가 음악을, 시세리(P.L.C. Ciceri)가 무대장치를, 라미(E. Lami)가 의상을 맡았다.
이 작품은 낭만발레의 효시라 불릴 만큼 발레사에 큰 획을 그었다. 기존의 고전적 신화에서 벗어나 환상과 로맨스로 가득 찬 유럽의 전설을 소재로 삼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실피드(공기의 정령)라든가 꼬마요정, 난장이들, 물의 정령 등 마음을 사로잡는 초자연적 존재들이 인간이 추구하는 영원히 붙잡을 수 없는 대상으로 등장한다. 이는 당시 낭만주의 예술가들이 현실에 대한 도피처와 저항으로 구현한 환상의 세계를 잘 반영한다.
안무적인 측면에서도 「라 실피드」는 큰 영향을 미쳤다. 주연인 마리 탈리오니가 발끝으로 춤추는 새로운 기법을 선보였는데, 이는 이전에 결코 개발된 적이 없는 것이었다. 발가락 끝으로 뛰어오르며 천상적이고 불멸의 존재를 연상시켰던 그녀의 모습은 발레의 테크닉을 묘기와 아름다움의 새로운 정점으로 이끌었다. 이후 발레리나를 중심으로 한 전형적인 여성발레의 틀이 구축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라 실피드」는 낭만주의 발레의 흐름 속에서도 가장 부각되는 작품 중 하나이다. 아돌프 아당의 인상적이고 분위기 있는 음악은 단순한 반주가 아닌 주악상과 둔주곡을 통해 줄거리 전개에 기여했다. 또한 안무적으로도 낭만주의 특징인 부드러운 곡선, 허리와 머리의 비스듬한 기울기, 팔의 완만한 움직임 등이 잘 드러난다. 이처럼 「라 실피드」는 낭만주...
참고 자료
1. “발레의 탄생”, 김경자 역, 한성대학교 출판부
2. “역사 속의 춤”, 조앤카스 작(김말복 옮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3. “서양 춤 예술의 역사”,수잔 오 작(김채현 옮김), 금광 출판
4. “무용사”, 김혜정 김경숙 안윤희 작 , 교학사
5. 발레와 현대무용 <<안무가와 그 작품>>, 장정윤, 이진수 공역
6. 네이버 백과사전
7. 위키백과사전
무용예술의 이해, 김말복, 이화여대 출판부, 2013
무용학 개론, 권윤방, 대한 미디어, 2006
발레 이야기, 이은경, 열화당, 2001
역사속의 춤, 조엔 카스, 이화여대 출판부, 1998
무용의 역사 Ⅱ, 제르멘느 프리도모, 양선희(역), 삼신각, 1992
http://www.culture-arts.go.kr/index.jsp
http://www.sac.or.kr/magazine/s_m_view_a.jsp?mag_id=2016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
Mary Clarke & Clement Crisp 저 김민희 역(1989), 세계발레작품해설집, 서울, 교학연구사
이덕희(1981), 발레에의 초대, 서울, 홍진 프로세스
서정자 박충길 공저 (1997), 발레안무법, 서울, 대한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