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라반 움직임요소2024.12.141. 인간 움직임의 분석과 활용 1.1. 라반의 움직임 이론 1.1.1. 라반의 인간 움직임에 대한 인식 라반은 인간의 움직임이 의도적으로 어디에서, 무슨 목적으로 발생하든 동작을 묘사하는데 활용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것이 그것을 행한 사람의 의도와 목적, 생각, 감정을 읽을 수 있는 단초가 된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유독 턱을 치켜들고 시선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듯한 동작을 취한다면 그것은 그가 지금 자기가 처해 있는 시간과 장소에서, 함께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기가...2024.12.14
-
발레의 정의2024.09.211. 무용의 정의와 특징 1.1. 무용의 정의 무용은 감정 혹은 감각이나 사상의 인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해서 표현하는 시간과 공간의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춤을 영어로는 dance, 프랑스어로는 danse, 독일어로는 tanz, 이탈리아어로는 danza라고 하며, 산스크리트어원은 tan 이다. 예술로서 무용의 정의는 인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한 공간 형성에 의해서 우리들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또한 미적 가치 판단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따라서 다른 예술과 달리 몸이 표현 수단인 무용은 리듬을 토대로 한순간의 동작에 예술성이 ...2024.09.21
-
발레의 개념 및 정의2024.09.211. 무용의 개념과 종류 1.1. 무용의 정의 무용이란 "일정한 리듬과 의식적인 기교가 일치하여 미리 정해진 공간에서 움직이는, 몸의 예술적인 동작"이다. 춤과 무용은 영어로 모두 'dance'로 해석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무용과 춤이 서로 다른 뉘앙스와 개념으로 받아들여져왔다.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무용"이라는 단어는 고전적이고 격조 있는 감각을 담고 있는 반면, "춤"은 보다 일상적이고 오락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무용은 음악, 무대 장치, 의상, 조명 등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 종합 예술의 성격을 지니고...2024.09.21
-
라 실피드 작품 분석2024.10.241. 낭만주의 발레의 전개 1.1. 낭만주의 시대와 발레 낭만주의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체에 걸쳐 서구에 나타난 문예사조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좁은 의미로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주관적, 개성적, 공상적, 상징적, 신비적, 초자연적 특성을 보이는 문학예술을 지칭한다. 이러한 낭만주의의 발생은 산업혁명과 프랑스 대혁명으로 인한 시대적 변화에 기인한다. 산업혁명은 전통적 삶의 방식을 완전히 뒤바꾸었고, 프랑스 혁명의 역효과로 혁명에 대한 염증과 환멸이 생겨났다. 이에 따라 꿈과 이상, ...2024.10.24
-
라 실피드 작품의 음악 특징2024.10.241. 발레의 역사 1.1. 무용의 탄생 무용은 인간의 삶이 시작되면서부터 함께 시작되어 왔다. 구석기 시대부터 종교적 의미와 생산적 의미로 제사를 지내면서 자연스럽게 춤이 생겨났다. 이때에 종교는 모든 정신활동의 가장 중요한 매개체로 여겨졌기 때문에 무용은 종교의식과 결합하여 신성시 되었다. 이 시대의 무용은 여신에게 비는 출산을 위한 춤 또는 동물을 흉내내는 춤과 제사 의식에서의 춤, 사냥의 춤 등으로 모든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수단이 이 춤의 의미였던 것이다. 이 시대의 춤이 정말 인간의 원초적인 또는 본능적인 표...2024.10.24
-
목신의 오후 발레2024.10.071. 발레의 역사와 발전 1.1. 발레의 개념 및 정의 발레(ballet)는 음악, 무대 장치, 의상, 팬터마임 등을 갖추어서 특정한 주제의 이야기를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무용이다. 발레 안무가는 이야기를 구성하고 특별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일련의 춤을 서로 연결하거나 무용수들을 추상적인 모형 속에서 개체로 이용하기도 한다. 발레는 일반적으로 다리의 포지션에 기초한 클래식 댄스의 정형적인 기법을 사용하는 무용으로 알려져 있다. 그와 달리 그 기법에 제한을 받지 않는 무용은 모던댄스(modern dance)라는 명칭으로 구분하고 ...2024.10.07
-
정신간호학 블랙스완 치료적의사소통2024.10.031. 서론 1.1. 영화 '블랙스완'의 주제와 배경 영화 '블랙스완'은 고전 발레극 '백조의 호수'를 주요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 니나의 내면에 존재하는 양면성과 그로 인한 정신병리학적 변화 과정을 다룬다. 이 영화는 완벽을 추구하는 니나의 강박적인 모습,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적 혼란과 갈등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백조의 호수'는 순수함과 관능성이라는 상반된 이미지를 동시에 지닌 작품으로, 주인공 니나가 바로 이러한 '백조'와 '흑조'의 이중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감독 아로노프스키는 이를...2024.10.03
-
인생 연출2024.11.151. 미래의 나의 인생 연출 1.1. 나의 가치관과 신념 투영하기 나의 가치관과 신념은 나의 인생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미래의 나의 인생을 연출하는 데 있어서 나의 가치관과 신념이 투영된 대화문을 만들고자 했다. 나와 나의 성인이 된 아들과의 담화를 통해 나의 가치관과 신념을 드러내고자 했다. 내가 지닌 가치관과 신념 중 가장 핵심은 '가슴 뛰는 쪽으로 가자'라는 좌우명이다. 나는 어린 시절부터 남에게 의지하기보다는 내가 내 돈을 벌고 싶었고, 그러한 목표를 위해 시공사에 취직하여 실무적인 경험을 쌓아왔다. ...2024.11.15
-
세계여러나라 동작2024.11.151. 문화적 이해와 소통 1.1. 한국인의 특이한 몸동작 한국인의 특이한 몸동작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발전해왔다. 우선 약속을 할 때 서로의 약지를 걸며 엄지를 맞대는 동작은 약속을 더욱 굳건히 하는 독특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신뢰와 약속을 강조하는 한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말하기 전 "음~~" 또는 "스읍~~"과 같은 소리를 내거나, 술이나 음료를 마신 후 "크아~~"와 같은 소리를 내는 행동은 사고의 과정을 표현하거나 만족감을 드러내는 무의식적인 몸동작이다. 이는 상대방과의 소통을 돕...2024.11.15
-
고전발레 3대 거ㄹ작2024.10.151. 서론 무용은 고대사회부터 문명을 거쳐 현재 21세기까지 지속되어온 예술 활동이다. 무용은 가장 형이상학적이고 초자연적인 종교적 제의 역할을 지니기도 하고, 남녀가 서로 사람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며 유혹하는 구애의 수단이 되기도 하며, 어떠한 존재를 표명하며 세계관을 드러내는 예술 그 자체이기도 하다. 무용은 제례의식에 쓰이는 원시무용으로부터 기원하였으며, 중세시대인 카톨릭 교회 성장 시기에 로마 교황청으로 부터 무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크댄스, 연희 댄스 등을 통해 이어졌다. 이는 르네상스 시대로 이어져 궁정 안으로 들여...2024.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