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2.1.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2.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3.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목표 및 원리
3.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목표 및 원리
3.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목표 및 원리
4.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과정
4.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과정
4.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과정
5.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수방법
5.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수방법
5.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수방법
6.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6.1. 공통점
6.2. 차이점
7. 한국 유아교육 현장에의 적용 시 시사점
8. 결론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개별 또는 소집단의 유아들이 흥미나 관심을 갖는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유아들 스스로 몰입하여 탐색해 나가게 하는 접근법이다. 이 과정에서 주제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고, 이것은 주변 세계에 대한 유아의 이해를 포괄적으로 증진시키며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도 길러진다. 레지오 에밀리아에서는 교육을 계속되는 의사소통의 과정이라 보고, 교사와 유아는 학습을 위한 공동체의 공동 참여자이자 구성원으로서 지식과 지식 구성의 맥락을 구축해 가는 교육의 공동 주역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 교수방법 등을 살펴보고, 두 접근법의 교육과정 측면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2.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2.1.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프로젝트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중심 골자인 '프로젝트에 의한 학습'이라는 아이디어는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 아이디어나 실제 시도는 이미 19세기초, 지식의 기계적 전달을 주로 하던 학교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나타난 바 있다. 프로젝트법이 수업에 변혁을 가져오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에 과학과의 실험수업 방법 및 농업과의 실험수업 방법 및 농업과의 실험연구 방법으로 활용되면서부터이다. 그러나 'project'라는 용어가 교육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00년 컬럼비아 대학에서 학생들의 공작학습에 프로젝트를 활용한 데서 비롯된다. 그 후 1908년 메사추세츠에 있는 농업학교에서 가정학습과제로 'home project'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부터 프로젝트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진보주의 교육 운동 및 통합 교육 과정의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Dewey는 1886년에 세운 실험학교인 Laboratory(Tanner, 1997)에서도 학습자의 요구에 초점을 둔 통합교육 과정인 프로젝트에 의한 학습을 이용하였다. Dewey가 시도한 교육의이면에는 아동들이 진정으로 흥미 있어 하는 문제를 탐구하고 사고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에게 있어서 사고하는 방법의 학습이란 곧 문제 해결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Dewey는 학습을 '경험의 계속적인 재구성', 교육을 '계속적인 재구성과 변형의 과정'으로 보면서 학습을 수동적 흡수로 인식하는 것과는 달리 교육을 적극적이며 구성적인 것으로 보아 경험이 교육과 삶 속에서 원동력이 되는지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배경 아래에 Kilpatrick은 1919년 컬럼비아대학 논문집인 'Teacher's College Record'에 '프로젝트법'을 저술하였다. 여기서 Kilpatrick(1919)은 프로젝트를 '진심을 다하는 유목적적 활동'이라고 정의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정한 활동 목적이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Kilpatric의 발표 후에 그것을 실제로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아동과 부모, 학교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도 더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2.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배경 및 이론적 기초는 다음과 같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이탈리아 북부 레지오 로마냐(Reggio Romagna) 지역의 레지오 에밀리아시에서 발전된 유아교육 접근법이다. 이 지역은 사회주의적 성향이 강한 진보적인 도시로, 여성의 인권보장, 남녀의 고용 평등, 교육, 교사단체의 활동 등 다양한 개혁이 시도된 곳이었다. 또한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지역 구성원들이 협력하여 공동의 목적을 이루려는 분위기가 강하고 재정적으로도 여유로운 편이었다.
이러한 사회, 문화, 역사적 배경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이 발전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특정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부모들의 경험을 통해 구성된 지식을 바탕으로 기존의 이론을 확인하고 발전시켜 온 것이다. 따라서 이 접근법은 교사의 개인적 철학, 직관, 경험이 반영되고, 교사 자신이 속한 특수한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교사와 교사가 가르치는 집단의 유아, 학부모, 동료 교사,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된 교육체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로는 진보주의 교육사상, 인지적 구성주의, 사회문화적 구...
참고 자료
서영숙, 서지영(2002)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학지사
오문자(1995)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워크샵 자료
김희진,오문자(1997) 레지오 에밀리아의 유아교육
이기숙저(2000) 유아교육과정 개정 2판 교문사
오문자저(2010) 레지오 알아가기 정민사
김영호저(1999)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김정규 (1999) 유아교육과정 동민사
김은희(200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해와 현장 적용, 창지사
유정희(2004) 유아들의 미래를 위한 도전 레지오 에밀리아접근법, 양서원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2016). 이소은⋅이순형, 방송대출판문화원.
오문자(2015). 레지오 알아가기: 한국에서 레지오 교육의 재구성, 정민사.
유승희 외(2013). 프로젝트접근법: 레지오 에밀리아의 한국적용, 양서원.
홍순옥 외(2014).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에서의 프로젝트 이야기, 창지사.
김신영 (2003). 레지오 접근방법을 적용하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로서의 문제점. 진리논단.
문지영 외(2004).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한국적용에 대한 교사 인식. 아동교육.
이연선 (2014). 레지오 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아교육연구.
이소은ㆍ민하영(2021),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교재).
유주연ㆍ김혜전ㆍ장민영(2021), 유아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이기숙ㆍ강숙현(2018),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정민사.
지성애(2018), 유아교육개론, 정민사.
지옥정(2017),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창지사.
김혜민(2004), 유아교육에 있어서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과 프로젝트 접근법의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상도(2000),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적 효과 비교, 계명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