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밀란쿤데라의 불멸에서 자아정체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불멸에 대한 인간의 욕망
2.1. 큰 불멸과 작은 불멸
2.2. 베티나와 괴테의 불멸
2.3. 아녜스와 로라의 불멸에 대한 욕망
3. 자아 정체성에 대한 탐구
3.1. 축소지향적 자아 찾기: 아녜스
3.2. 확장지향적 자아 찾기: 로라
4. 공각기동대와 자아 정체성
4.1. 쿠사나기의 불완전한 자아
4.2. 인형사의 불완전한 자아
4.3. 완전한 자아 정체성
5. 타인의 이미지와 자아 정체성
5.1. 표현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회의
5.2. 자율성과 진정성의 파괴
6. 자아 정체성의 의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질문이다. 시인 김광규의 시는 이러한 고민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다. 시인은 "나는 나의 아버지의 아들이고, 나의 형의 동생이고, 나의 동생의 형이고, 나의 남편의 아내고... 오직 하나뿐인 나는 아니다. 과연 아무도 모르고 있는 나는 무엇인가"라며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고 있다.
필자 역시 나의 정체성은 수많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가 생각하는 '나'와 타인이 생각하는 '나'는 다를 수 있으며, 심지어 오늘의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내일의 내가 생각하는 '나'도 다를 수 있다. 또한 타인이 '나'를 바라보는 이미지에 맞추어 '나'를 연기할 수도 있다. 이처럼 수많은 '나' 속에서 진정한 '나'는 무엇이며,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독립된 '나'는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 필자는 이 소설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고민을 해보고자 한다.
2. 불멸에 대한 인간의 욕망
2.1. 큰 불멸과 작은 불멸
밀란 쿤데라가 말하는 불멸에는 큰 불멸과 작은 불멸의 두 가지 측면이 존재한다"" 큰 불멸은 자신이 불특정 다수에게 기억되기를 바라는 욕망으로, 베티나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베티나는 괴테가 젊은 시절 짝사랑했던 여자의 딸로, 괴테와 수차례 편지를 주고받으며 괴테에 대한 사랑을 드러냈다" 괴테가 사망한 이후 베티나는 괴테에 대한 자료를 남기면서 괴테가 불특정 다수에게 기억되는 큰 불멸을 이루게 되었다" 한편 작은 불멸은 자신이 사랑했던 소수의 사람들에게 기억되기를 바라는 욕망으로, 아녜스와 로라의 사례에서 잘 드러난다" 로라는 "인생은 한 번뿐이야 피할 일이 아니라고 그래도 뭔가 우리 뒤에 남겨둬야 하지 않겠어?"라며 큰 불멸에 대한 욕망을 보였고, 연인에게 버림받고 자살을 암시하는 장면에서는 작은 불멸에 대한 욕망을 드러냈다" 결국 로라는 아녜스의 남편인 폴과 결혼하여 작은 불멸을 이루어냈다" 즉, 베티나와 로라의 사례를 통해 인간이 큰 불멸과 작은 불멸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불멸에 대한 욕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베티나와 괴테의 불멸
작품의 큰 줄기를 이루는 내용은 괴테와 베티나의 불멸이다. 베티나는 젊은 시절 괴테가 짝사랑했던 여자의 딸로 괴테와 여러 차례 편지를 주고받으며 괴테에게 사랑을 표현했다. 그리고 괴테의 사후 베티나에 의해 괴테가 기억될 만한 가치가 있는 그의 자료가 남았고 베티나의 기록에 의해 괴테는 불특정 다수에게 기억되는 큰 불멸을 이루게 되었다. 베티나 역시 후대의 사람들에게 괴테와 베티나가 연인관계가 아니었는지에 대한 의심이 제기되면서 이름을 남기고 큰 불멸을 얻게 되었다. ""아이, 젊은이라는 것은 내가 죽고 나서도 계속해서 이 세상에 살고 있는 이로 대변할 수도 있다. 베티나는 바로 그러한 불멸적 이미지로 자신이 실존하게 한다. 베토벤에게도, 괴테에게도, 그의 남편 아르님에게도 말이다. 그녀의 의지는 '사랑이 아니라 바로 불멸'이었다."" 작중 대사처럼 결국 베티나는 자신이 원했던 ...
참고 자료
정용환.(2019).기계 속의 영혼 :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불멸』에 나타난 개인정체성의 문제.비교문학,(77),119-151.
이재훈.(2022).인간의 존엄성(dignitas hominis)에서 인간의 완전성(perfectio hominis)으로: 르네상스에서 데카르트로.근대철학,19(),5-34.
밀란쿤데라,『불멸』, 민음사, 2011-김병욱
채널예스, ‘김민철 “내 취향을 소중히 여길 사람은 나 자신”’, 2018.07.23.
오마이뉴스, ‘천재적인 예술적 감각? 그런 작가는 없다‘, 2014.04.18.
기계 속의 영혼 : 밀란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불멸>에 나타난 개인정체성의 문제, 상명대학교, 정용환, 2019
밀란 쿤데라의 <불멸>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글쓰기, 한국비교문학회, 이지숙·노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