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질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질염의 정의
2. 질염의 유형
2.1. 트리코모나스 질염
2.2. 칸디다성 질염
2.3. 세균성 질염
2.4. 노인성 질염
3. 트리코모나스 질염
3.1. 원인
3.2. 증상
3.3. 진단 및 검사
3.4. 치료 및 간호
4. 칸디다성 질염
4.1. 원인
4.2. 증상
4.3. 진단 및 검사
4.4. 치료 및 간호
5. 세균성 질염
5.1. 원인
5.2. 증상
5.3. 진단 및 검사
5.4. 치료 및 간호
6. 노인성 질염
6.1. 원인
6.2. 증상
6.3. 치료 및 간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질염의 정의
질염은 여성의 질 내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질은 보통 질액 1g 당 약 109개의 박테리아 콜로니 형성 단위를 포함하는 역동적인 생태계이다. 정상적인 질 분비물은 흰색에서 무색이며 점도가 높다. 정상적인 세균성 식물상은 유산균에 의해 지배되지만 다양한 다른 세균들도 낮은 수준으로 존재한다. 락토 바실러스는 글리코겐을 젖산으로 전환시켜 정상적인 산성 질 pH를 3.8 ~ 4.5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부 유산균은 H2O2(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데, 이는 숙주 방어 메커니즘으로 작용하여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죽인다."
2. 질염의 유형
2.1. 트리코모나스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iasis)은 단세포 원충인 트리코모나스 균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성인 여성 질염이다. 이 균은 알칼리성 환경에서 잘 자라며, 대부분 성관계를 통해 전파된다"는 것이다.
트리코모나스 질염의 원인은 성인 여성 질염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알칼리성 환경에서 잘 자라는 단세포 트리코모나스 원충류에 의한 감염이다. 이 감염은 주로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므로 성병으로 간주되며, 그 외에도 욕실, 젖은 수건, 화장실 등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실제로 감염률이 매우 높아 한 번의 성관계로도 감염될 수 있으며, 많은 경우 남성은 무증상 보균자로 남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녹황색의 기포가 많은 다량의 악취나는 점액성 농성 분비물, 질점막 및 외음부의 부종과 발적, 심한 통증과 작열감, 소양증, 성교통 등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에는 질점막 특히 후원개에 과립상의 딸기모양(strawberry-like vagina)의 출혈반점이 관찰되며, 자궁경관에 미란(erosion)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분비물의 자극으로 인해 요도나 외음질샘에 2차감염이 동반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진단 및 검사는 질 분비물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운동성 있는 트리코모나스 원충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이때 질 세척을 하지 않고 윤활제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질 내 pH가 5-5.5 이상으로 알칼리성을 띄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 및 간호로는 메트로니다졸(flagyl)을 1회 2g 복용하거나 1일 2회 500mg씩 1주일간 투여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약물은 95%의 치료율을 보이지만 재발률이 매우 높아 동시에 배우자도 치료받아야 한다. 술과 함께 복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신초기에는 금기된다. 증상 완화를 위해 좌욕이나 스테로이드 크림 도포, 성교 자제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칸디다성 질염
칸디다성 질염은 모닐리아성 질염, 진균성 질염, 효모성 질염 등 여러 이름으로도 불리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칸디다 알비칸스로 알려져 있다. 진균성 질염은 질분비물을 호소하는 비임산부 중 10%, 그리고 임산부의 약 1/3의 빈도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칸디다성 질염의 주요 원인들로는 임신, 당뇨병,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며 현재 증상 없이도 질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할 때는 질내의 정상 균주와 질의 산성도 및 효소를 변화시켜 칸디다 감염이 증가한다. 스테로이드 요법, 세포 독성 제제 및 고단위 에스트로겐 제제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여도 감염 빈도가 증가된다. 잦은 질세척, 향료, 분무 약제, 비누, 합성제품 내의 등에 의한 자극도 칸디다 질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킨다. 대변, 구강 내, 대퇴부 내측, 남자의 성기의 포피 및 피부, 외음의 포피와 음핵, 질 등의 습한 부위에 존재하고 있다가 앞에서와 같은 환경에 노출되면 외음질염이 발생된다. 또한 칸디다 알비칸스는 분만 시 감염된 모체의 산도로부터 신생아에게 전파될 수 있어 신생아에게 아구창이 발생될 수 있다.
칸디다성 질염 환자들의 주요 증상은 진한 백색의 크림 타입의 냉대하증이며, 특징적으로 자궁경부와 질벽에 노란 치즈 같은 반점이 달라붙어 있다. 가끔은 옅고 우유빛인 대하증도 있다. 질 분비물은 자극적이어서 외음부와 회음부에 소양증이 있으며, 외음질점막의 발적과 부종이 있고 작열감, 배뇨 곤란, 빈뇨, 성교통이 있다.
진단 및 검사를 위해서는 채취한 질 분비물을 식염수와 10~20% KOH에 섞은 후 습식 도말하여 현미경으로 칸디다균의 균사와 포자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식염수 습식 도말은 질상피세포가 정상으로 나올 수 있으며, 10~20% KOH용액은 주위의 염증 세포...
참고 자료
여성건강간호학I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수문사 422-425
National STD Curriculum
https://www.std.uw.edu/go/syndrome-based/vaginal-discharge/core-concept/all#bacterial-vaginosis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20). 여성건강간호학Ⅰ. 파주:수문사
박영주 외 5명 외 공저, 『제 4판 여성건강간호학 II』, 현문사, 2019, 306~307쪽.
네이버지식백과, “세균성 질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63&cid=51007&categoryId=51007, 2020.05.11.
서울대병원, “질염”,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FS01/9.do, 2020.05.11.
네이버 블로그, 은하수, “세균성 질염이란?”, https://blog.naver.com/gkswlsdla31/221824931350, 2020.05.11.
다음 블로그, 숲속의 빈터, “질염, 성관계때문일까요?”,
http://m.blog.daum.net/myhi-kwon/12179?np_nil_b=-1, 2020.05.11.
네이버 블로그, 이원장, “세균성 질염-2.진단”, https://blog.naver.com/mephisto96/220636820342, 2020.05.11.
약학정보원, “메트로니다졸”, http://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 2020.05.11.